• 제목/요약/키워드: 제 2형 SLAP 병변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초

제 2형 SLAP 병변의 외상 유무에 따른 손상 기전 및 치료 결과의 분석 (Evauation of Injury Mechanism and Clinical Outcome Between Non-Traumatic and Traumatic Type II Slap Lesions)

  • 김용주;정훈;하종경;이관희;최성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244-249
    • /
    • 2010
  • 목적: 본 연구는 제 2형 SLAP 병변에서 외상의 유무에 따른 손상기전의 차이 및 임상 결과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제 2형 SLAP 단독 병변으로 수술을 시행한 2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제 2형 SLAP 병변의 분류는 Burkhart에 의한 분류법을 이용하여 병변이 전상방부에 위치하면 제 1형, 후상방부는 제 2형, 전후방 복합 병변은 제 3형으로 분류하였다. 치료 결과는 술 전, 술 후의 UCLA 점수와 KSS 점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총 27예 중 외상군은 16예, 비외상군은 11예였다. 제 2형 SLAP 병변의 형태는 외상군에서 제 1형은 12예, 제 2형은 2예 그리고 제 3형은 2예였다(p=0.013). 비외상군에서는 제 1형 2예, 제 2형 6예, 제 3형 3예였다 (p=0.026). 즉 외상군에서는 전방 병변이 더 많이 발생하였고 (p<0.05), 비외상군에서는 후방 병변이 더 많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p<0.05). 외상군에서 UCLA 점수 및 KSS 점수는 술 전 평균 18점 (14~23점), 48점 (32~76점)에서 술 후 32점 (28~33), 86점 (71~92점)이었다. 비외상군에서는 UCLA 점수 및 KSS 점수는 술 전 평균 21점 (18~25점), 58점 (41~68점)에서 술 후 29점 (26~31점), 81점 (68~89점)이었다. 임상결과에 있어서 두 군 사이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317, 0.405). 결론: 본 연구에서 제 2형 SLAP 병변의 형태가 외상 기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관절경 소견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 2형 SLAP 병변에 대한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때 외상 유무를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제 2형 SLAP 병변에 대하여 흡수성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관절경적 봉합 수술의 임상적 결과 (Arthroscopic Repair of Type II SLAP lesion with Bio-knotless Anchor)

  • 염재광;정형진;라호종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73-77
    • /
    • 2007
  • 목적: 견관절의 제 2형 SLAP 병변에 대하여 흡수성 봉합 나사못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봉합을 시행한 후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이 연구에는 25명에 대한 25례(남자가 20명, 여자가 5명)가 포함되었다. 평균 연령은 44.5세였다. 수술 전 ASES 점수는 평균 44점이었다. 모든 예에서 SLAP 병변을 관절경적으로 1개 또는 2개의 흡수성 봉합 나사못을 사용하여 수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5개월이었다. 결과: 최종 추시시 ASES 점수는 평균 92.7점으로 향상되었으며 견관절의 운동 범위는 23례에서 완전한 회복을 보였으나 2례에서 경미한 운동범위 제한이 있었으나 일상 생활에는 문제가 없었다. 결론: 제 2형 SLAP 병변에 대하여 흡수성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관절경적 봉합 수술이 만족할 만한 임상적 결과의 소견을 보여 매우 좋은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강직을 동반한 제 2형 SLAP 병변의 관절경적 관절막 유리술과 봉합술의 임상적 결과 (Clinical Result of Arthroscopic Capsular Release and Repair for SLAP II Lesion with Stiffness)

  • 안길영;남일현;이영현;이정익;문기혁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2호
    • /
    • pp.118-122
    • /
    • 2008
  • 목적: 강직을 동반한 제 2형 SLAP 병변에 대하여 수술적 가료를 시행한 후에 임상적 결과를 알아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강직을 동반한 제 2형 SLAP 병변 13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술은 관절경적 관절막 유리술과 봉합술 및 동반 병변에 대한 치료을 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12개월 이상(평균 14.9개월) 이었다. 결과: 술 후 평균 VAS 점수는 1.5, ROWE의 점수는 92.3점으로 술 전에 비해서 의미 있는 호전을 보였다(P<0.001). 술 후 평균 관절 운동 범위도 술 전에 비해서 의미 있는 호전을 보였으며(p<0.001) ROWE의 점수는 13예 모두에서 우수의 결과를 얻었다. 결론: 강직을 동반한 제 2형 SLAP 병변에서 관절경적 관절막 유리술과 봉합술 및 동반 병변에 대한 치료는 통증 감소 및 관절 운동 범위 증가에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라고 생각된다.

비 운동선수에 있어 단독 제 2형 SLAP 병변의 관절경적 봉합수술의 임상적 결과 (The Clinical Outcomes of Arthroscopic Repair of Isolated type II SLAP Lesion in Non-athletes)

  • 유재철;안진환;고경환;김승연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85-190
    • /
    • 2008
  • 목적: 비 운동선수에 있어 제 2형 SLAP 병변의 관절경적 봉합수술의 결과를 알아보고 단독 제2형SLAP 병변이 있는 군과 봉합이 필요치 않은 극상건의 부분층 파열을 동반한 군간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7월부터 2007년 1월까지 제 2형 SLAP 병변에 대해 관절경적 봉합수술을 시행 받은 총 142예의 환자 중 50세 미만 비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같은 부위에 수술, 골절, 반복적인 탈구의 병력이 있거나, 봉합을 요하는 회전근개 전층 또는 50% 이상의 부분층 파열을 동반한 경우, 감염, 관절염, 염증성 질환을 동반한 경우는 제외하여 총 19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13예는 봉합이 필요치 않은 극상건의 부분층 파열을 동반하고 있었고(그룹 I), 6예는 단독 제 2형 SLAP 병변을 가지고 있었다(그룹 II). 평균 연령은 36.7세(29-49세)였으며 평균 증상 기간은 39.1개월(3-216개월)이었고 평균 추시 기간은 19.0개월(12-27개월)이었다. 외상의 병력은 그룹 I에서 9명, 그룹 II에서 5명 있었다. 모든 환자에서 술 전후로 관절운동범위, 통증 및 기능 VAS, Constant 점수 및 UCLA 점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그룹 I에서 견관절의 외회전은 최종 추시시 의미있게 감소하였으며(p=0.003) 그 밖의 관절운동 범위는 그룹에 관계없이 모두 술전 상태로 회복되었고(p>0.05), 그룹간에도 차이가 없었다(p>0.05). 최종 추시에서 모든 평가 점수(Constant 점수, UCLA 점수, 통증 VAS, 기능 VAS)는 술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5) : UCLA 점수는 $22.8{\pm}5.2$에서 $32.8{\pm}2.1$; Constant 점수는 $79.4{\pm}8.6$에서 $94.9{\pm}4.3$; 통증 VAS는 $5.4{\pm}2.7$에서 $1.1{\pm}1.4$; 기능 VAS는 $63.2{\pm}15.3$에서 $93.4{\pm}7.3$으로 향상되었다. 하지만 평균 UCLA 점수 및 Constant 점수의 그룹간 비교에서 두 그룹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비 운동선수에 있어 제 2형 SLAP 병변의 관절경적 봉합술은 임상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동반된 극상건의 부분층 파열은 1년 추시에선 최종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제 2형 SLAP병변에서 생체흡수성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관절경 봉함; 수술 술기와 임상 결과 (Arthroscopic Repair of Type II SLAP Lesion with Bioabsorbable Knotless Suture Anchor: Surgical Technique and Clinical Results)

  • 이재칠;김성재;황창호;서동교;고상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59-64
    • /
    • 2007
  • 목적: 이 연구는 제 2형 SLAP 병변에 대한 생체흡수성 knotless suture anchor의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단독으로 발생한 제2형 SLAP 병변을 가진 14예의 환자가 관절경 하 생체흡수성 knotless anchor를 이용하여 수술적 봉합을 시행받았다. UCLA 및 통증에 대한 VAS, ASD가 평가에 이용되었으며, 술 후 추시 최소 2년째 견관절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평균 27.1 개월의 추시기간 동안 평균 UCLA 점수는 술 전 14.4에서 최종 추시에는 31.2로 향상되었다. 통증에 대한 평균 VAS 점수는 4.9에서 최종 추시에는 1.0이었다. 불안정성에 대한 평균 VAS 점수는 2.6에서 최종 추시에서는 0.5였다. 평균 ADL은 10.4에서 최종 추시에 25.0이었다. 12예의 환자가 우수, 우량의 만족도를 보였으나 14예 중 단 10예만이 수상 전 운동 범위로 돌아갔다(P<0.05). 결론: 생체흡수성 knotless suture anchor를 사용하는 관절경적 봉합술은 단독 제2형 SLAP 병변의 치료에 대해 효과적인 수술 술기이다. 전체 만족도는 단지 85.7%였으며, 게다가 1예에서는 심한 강직을, 1예에서는 활액막염으로 인한 장기간의 견관절 통증을 보였다.

SLAP 병변에서 회전근 개 부분층 파열의 빈도와 양상 (Frequency and Pattern of Partial Thickness Rotator Cuff Tear in SLAP Lesions)

  • 조덕연;윤형구;김형준;이승용;김재화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9-123
    • /
    • 2004
  • 목적: 견관절의 미세 불안정성의 한 원인이 되는 상부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과 회전 근 개의 병소를 관절경적으로 관찰하고 견관절의 운동 범위와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 그리고 이와 동반 된 회전근 개의 관절면 측 부분층 파열의 빈도와 그 형태를 확인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경술을 시행한 113예 중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으로 진단 받은 환자 45명, 46례를 대상으로하였다. interscalene마취하에서 견갑골을 고정한 후의 견관절의 전방 거상 및 견관절을 90도 외전한 위치에서의 내회전 및 외회전 운동 범위를 측정하고,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의 형태와 회전근 개 부분 손상의 형태 및 빈도를 수술 기록지 및 녹화한 기록을 통해 분류하였다. 결과: 관절 운동 범위는 견관절 전방 굴곡이 평균 150$^{\circ}$, 견갑골 고정 및 견관절 90도 외전하에서 견관절 외회전은 평균 65.5$^{\circ}$, 견관절 내회전은 평균 61.7$^{\circ}$로 측정되었다. Snyder의 분류에 의한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의 형태는, 제 2형이 40례로 가장 많았고, 회전근 개 관절면 측 부분층 파열을 동반한 경우는 전체 환자에서 24례l(52%)를 관찰 할 수 있었다.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 제1형 손상에서 관절면 측 부분층 파열은 5례 중 l례, 제2형에서 41례 중 22례, 제4형에서 1례 중 1례에서 발생하였고, 전 예에서 관절면 측 분분층 파열은 극상건의 전방부, 즉 이두박 건 바로 뒤쪽에 위치 하였다. 결론: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이 있는 환자에 있어서 회전근 개의 부분층 파열, 특히 관절면 측 손상이 흔히 동반되었고, 또, 2형 이상의 상대적으로 불안정성이 높은 경우에, 손상의 빈도가 높게 관찰 되었다 그러므로 미세 불안정성의 한 원인인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은 회전근 개 관절면 측 부분층 파열의 한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겠다.

  • PDF

제 5형 SLAP 병변에 대하여 Bio-knotless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관절경적 봉합 수술의 임상적 결과 (Arthroscopic Repair of Type V SLAP lesion with Bio-knotless Anchor)

  • 염재광;이상림;라호종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2-38
    • /
    • 2007
  • 목적: 견관절의 제 5형 SLAP 병변에 대하여 bio-knotless 봉합 나사못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봉합을 시행한 후 추시한 결과 만족할 만한 임상적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지속적인 추시가 가능하였던 10례에 대하여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32.7세($20{\sim}49$)였고 모두 남자였다. 손상의 원인은 7례에서 스포츠 손상이었으며 1례가 산업 재해, 2례가 교통 사고였다. 처음 수상한 날로부터 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47.2개월이었으며 수술 전 Rowe 점수는 평균 37.5점($30{\sim}55$)이었다. 모든 예에서 SLAP 병변을 먼저 관절경적으로 1개 또는 2개의 bio-knotless 나사못을 사용하여 봉합한 다음 Bankart 병변을 봉합하였는데 3개의 bio-knotless 나사못을 삽입한 경우가 7례, 2개를 삽입한 경우가 3례였다. 수술 후 3주간 상지 외전 보조기를 착용시키고 매일 간헐적인 수동적 견관절 굴곡-외회전-내회전 운동을 시행하였고, 관절의 운동 범위가 정상이 되면 회전근 개의 근력 회복을 위한 운동 치료를 시행하였고, 마지막 단계에서는 삼각근 및 견갑골 주위 근육 강화를 위한 근력 강화 운동을 시행하였다. 결과: 평균 추시 기간은 15.7개월($6{\sim}27$)이었으며 최종 추시시 견관절의 운동 범위는 8례에서 완전한 회복을 보였으나 산업 재해에 의한 손상의 환자에서는 굴곡 170도, 상지 내전 상태에서의 외회전 60도, 내회전은 제 12 흉추 범위를 보였으며 교통사고로 수상한 1례에서 견관절의 능동적 운동 범위가 굴곡 160도, 상지 내전 상태에서의 외회전 45도, 내회전은 제 12 흉추 범위를 보였으나 일상 생활에는 문제가 없었다. 최종 추시시 Rowe 점수는 평균 93점($75{\sim}100$)으로 모두 우수한 결과의 소견을 보였다. 결론: 제 5형 SLAP 병변에 대하여 bio-knotless를 이용한 관절경적 봉합 수술이 만족할 만한 임상적 결과의 소견을 보여 매우 좋은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스포츠 손상과 비스포츠 손상에 의한 상부 관절와 순 전후방(SLAP) 병변의 비교 (Comparison of Superior Labral Anterior Posterior (SLAP) Lesions: Sports versus Non-sports Induced Injury)

  • 이광원;이승훈;양동현;감병섭;최원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2호
    • /
    • pp.175-182
    • /
    • 2007
  • 목적: 스포츠 손상과 비스포츠 손상에 의한 상부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을 형태학적으로 분류하고 동반 손상의 빈도와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5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상부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으로 견관절경 수술을 받은 환자 중 추시가 가능하였던 54예를 대상으로, 평균 연령은 39세($18{\sim}67$세), 평균 추시 기간은 28개월(13개월$\sim$9년 5개월) 이었다. 상부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의 형태학적 분류는 Snyder 분류 및 Morgan분류를 이용하였다. 손상기전에 따라 스포츠 손상군과 비스포츠 손상군으로 분류한 다음, 동반 손상 병변의 빈도를 비교하였으며, 견관절의 기능 평가는 최종 추시 시 UCLA score, Rowe score 그리고 ASES score를 이용하였다. 결과: 상부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의 형태학적 분류는 스포츠 손상군과 비스포츠 손상군 모두에서 제 2형 이 가장 많았다. 손상 기전에 따라 스포츠 손상군은 반복 손상형이, 비스포츠 손상군은 압박 손상형이 가장 많았으며, 동반 손상 병변으로는 스포츠 손상군은 견관절 불안정성이, 비스포츠 손상군은 회전근 개 파열이 가장 많은 발생 빈도를 보였다. 수술 전과 수술 후 시행한 견관절 기능평가에서 스포츠 손상군과 비스포츠 손상군에서 모두 향상되었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P>0.05). 결론: 상부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은 다른 질환의 동반 가능성이 많으므로 술 전 동반 손상 병변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치료의 결과에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