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화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7초

남화 건강제화용 기능성 라스트 기술개발연구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Optimal Last for Man's Healthy Shoes)

  • 황인극;김진호;박용복;김용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80-183
    • /
    • 2002
  • 이 논문의 목적은 중고가(15-20 만원) 건강제화상품의 실제 수요자 그룹(40세 이상의 일반인 및 발병 관련 환자 포함)을 설정하고 이들의 발 측정 자료를 근거로 하여 기존의 건강제화용 LAST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주요 LAST 설계인자들을 도출하고, 이들 설계인자들을 고려하여 건강 제화용 라스트를 개발하는데 있다.

고무와 구두

  • 이종석;김명웅;송영석;서교택
    • 고무기술
    • /
    • 제1권2호
    • /
    • pp.181-191
    • /
    • 2000
  • PDF

구두제품(남자)의 생산성 향상 방안 (A Study on Productivity Improvement of Man's Shoe Products)

  • 황인극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75-277
    • /
    • 2002
  • 한국인의 발 형태 또는 치수를 측정하거나 비교한 연구는 과거에도 이루어진 바가 있다. 그러나 측정 후 제화를 만들면서 제화를 고부가로 만들기 위한 제화에 대한 고객의 요구사항이나 불만, 가격 대, 색깔 등을 조사하는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초 기반기술의 핵심이 되는 족형 개발기술의 선결과제로써, 한국인들이 원하는 구두에 대한 요구조사 분석을 통하여 소비자가 느끼는 구두의 문제점, 원하는 사항 둥을 파악하여, 이를 족형의 설계에 반영함으로 구두 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통한, 고부가 가치산업으로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남자구두제품의 생산성 향상 방안 (A Study on Productivity Improvement of Man′s Shoe Products)

  • 황인극;김진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81-86
    • /
    • 2003
  • 한국인의 발 형태 또는 치수를 측정하거나 비교한 연구는 과거에도 이루어진 바가 있다 그러나 측정 후 제화를 만들면서 제화를 고부가로 만들기 위한 제화에 대한 고객의 요구사항이나 불만, 가격 대, 색깔 등을 조사하는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초 기반기술의 핵심이 되는 족형 개발기술의 선결과제로써, 한국인들이 원하는 구두에 대한 요구조사 분석을 통하여 소비자가 느끼는 구두의 문제점 원하는 사항 등을 파악하여, 이를 족형의 설계에 반영함으로 구두 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통한, 고부가 가치산업으로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송대 '대나무' 도상의 상징에 대한 고찰 - 『성화집(聲畵集)』의 '대나무' 제화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ymbols of bamboo icon in bamboo paintings - Focused on 'bamboo' Ti-hua-shi(題畵詩) in 『Sheng-hua-ji(聲畵集)』)

  • 서은숙
    • 동양고전연구
    • /
    • 제35호
    • /
    • pp.471-498
    • /
    • 2009
  • 본고는 그림에 제하거나 그림을 대상으로 한 제화시(題畵詩)의 특성에 비추어볼 때 묵죽(墨竹)의 형상성이나 형상 과정이 잘 묘사될 수 있다고 여겨, 송대(宋代) 제화시를 수록한 대표적 제화시집인 "성화집(聲畵集)"에 실린 '대나무' 제화시를 통해 북송대 이후 묵죽화의 발전 양상과 그것의 도상학적 의미를 살펴본다. 묵죽화 발전 양상과 그 유형을 살펴보면, 북송대에는 당시 어부(御府)에 148축의 묵죽화가 있었다고 전해질 정도로 묵죽화가 성행했다. 화면 속에 등장하는 묵죽의 모습, 즉 그림 속의 '도상'은 와룡처럼 누운 횡죽(橫竹)이나 교룡처럼 굽은 우죽(紆竹)이 많이 등장하고, 특히 많은 대나무가 겨울에 서리를 맞고 서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송대에 오면 '대나무' 도상에 대한 인식은 유가적 이상형인 군자라는 보편적 인식과 더불어, 대나무를 자기표현의 한 수단으로 여기고 문인 사대부 특유의 문인성을 표현할 수 있는 대상으로 보게 된다. 그 결과, 전업화가들이 단청(丹靑)과 형사(形似)에 몰두해 그린 대나무가 아니라 문인 사대부 즉 자신들이 '묵죽'을 창작하고 감상하는 것을 최고로 여겼다. 묵죽에 대한 송대 문인사대부의 애호와 관심에는, 유가적 이상형인 군자 외에 시련에도 불요불굴하는 의지의 구현자이자, 부귀와 공명이 아니라 사회를 위해 도덕적인 책임과 문화적 과제를 온전히 수행할 수 있는 진정한 '문인성'의 체현자라는 인식이 그 바탕에 깔려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여성화 건강제화용 기능성 라스트 개발연구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Optimal Last for Woman's Healthy Shoes)

  • 황인극;김진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3권3호
    • /
    • pp.170-176
    • /
    • 2002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find design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man's foot, and to develop an optimal last for man's functional shoe design based on these factors. Analyzing 4000 men's foot data, three men were selected for fitting test with the last and shoes manufactured in the present work.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tting test, the modifications of last for the optimal design have been made using CAD/CAM technologies.

  • PDF

서울시 제화산업의 집적 특성 및 혁신환경 분석 (An Analysis of the Agglomeration Characteristics and Innovative Milieu of the Shoemaking Industry in Seoul)

  • 박래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53-670
    • /
    • 2005
  • 본 연구는 서울의 경제 환경 변화와 이로 인한 어려움 속에서 전통적인 도시형 제조업이 어떠한 이유와 방식으로 위기에 대응 해가고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서울시 제화산업을 사례로 공간적 집적 특성과 혁신환경의 속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수동을 중심으로 한 집적지가 성장 중에 있으며, 이 지역을 중심으로 기획 및 디자인, 생산기술, 창업 및 인력수급, 경영 등의 부문에서 국지화된 투입${\cdot}$산출관계와 관련한 정적인 효율성을 넘어 동적 집적경제가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요인들이 내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최근의 동적 집적경제 접근방식이 전통적인 제조업 집적의 발생과 집적경제의 속성을 설명하는 효과적인 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며, 바로 이러한 분석을 통해 위기에 대응해가는 현 상황에 대한 설명이 가능하다. 그러나 아직 산업을 둘러싼 외적 지원환경과 제도적 플랫폼이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있지 못하여, 제화산업집적지가 보다 높은 단계의 산업집적지구로 성장${\cdot}$발전해나가기 위한 전략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제화류의 고객지향적 품질평가를 위한 감성만족도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Human Satisfaction Dimension for Customer-Oriented Quality Evaluation of Shoes)

  • 김진호;황인극
    • 감성과학
    • /
    • 제7권2호
    • /
    • pp.107-12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생활용품이면서 의복과 함께 생활필수품인 신발을 대상으로 감성만족도 요소의 추출과 분류체계를 개발하였다. 제화류의 감성만족도 요소는 감각성(sense), 적합성(fitness), 묘사성(description), 평가성(evaluation), 선호성(attitude)의 5개 그룹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그룹에는 형태감, 볼륨감 등 29개 요소가 포함되었다. 이들 중에서 일반 제화의 평가에 적합한 요소들로 형태감, 볼륨감, 균형감, 색감, 인체적합성, 안락성, 안정성, 여유성, 개념적 이미지, 품위감, 고급감, 조화감, 견고성, 주목성, 간편성, 신뢰성, 선호도, 수용도, 만족성, 매력성 등 20개의 요소들을 선택하여 이들에 대한 평가양식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감성만족도 요소는 제화류의 고객만족도 평가 모델링에서 종속변수로 활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