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한 효소

검색결과 527건 처리시간 0.034초

우리 나라에서 분리한 이질아메바(Entamoeba histoItica)와 동형아메바(Entamoebn dispar)의 감별 (Differentiation of Korean isolates of Entamoeba histolytica from Entamoeba dispar)

  • 최성준;이미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1호
    • /
    • pp.15-20
    • /
    • 1996
  • 이 실아메바(Entamoeba histoIytica)와 동형 아메바(Entamoebc dispar. 동형아메바)의 포낭은 형태학적으로 구분이 안되어 종 감별에 관하여 논란이 있어 왔다. 최근에 이 둘이 별종이며 특히 이질아메바는 병원성이고 동형아메바는 비병윈성입이 확인퇴어 그 감별이 중요한 의미를 갖게 피었나 이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의 아메바 분리체를 중합효소 반응과 제한효소 반응을 이용하여 두 종으로 감별하였다. 1994-1995년에 대변을 통강의 방법으로 검색하여 포낭이나 영양형이 발견된 검체를 로빈슨 배지에서 배양하고 배양된 영양형에서 DNA를 분리하였다. PI 유전자 염기서열 중에서 시발페(primer)를 만득어 중합효소 반응으로 482 bp 크기의 산물을 얹고 이를 제한효소(Tuq I, Xmn I, Acc I)로 처리하였다. 또한 Xmn I과 Acc I 제한 효소의 특이 염기서열온 고함하는 시발체를 제작하여 따로 중합효소 반응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13개 분리체 중에서 S9, S12, YS-6, YS-27의 482 bp 산물은 Taq I과 Xmn I 의하여 그 외의 분리체 산물은 Acc I에 의하여 절단되었다. 이 결과는 특이 염기서열 시발체의 중합효소 반응에서 얻은 산물과 일치하였다, 이 결과에 의하여 분리체 S9, S12, YS-6는 대장염 창자에서. YS-27은 간농양 환자에서 분리한 병원성의 이질아메바(E. histolytica)이고 분리체 S1, S3, S11, S15, S16, S17, S20, YS-17, YS-44는 부증상의 포낭배출자에서 얻은 비병원성의 동형아메바(E. nispur)로 구별할 수 있었다. S1은 설사 환자에서 얻은 분리체 이지탄 동형아메바임을 확인하였고 따라서 이 환자의 설사는 다른 원인에 의한 것으로 판단 된다. 이로써 비병원성인 동형아메바가 우리 나라에서도 병원성 이질아메바보다 더 흔하게 존재한다는 것을 처음으로 기록하며 E. dispar의 우리 말 이름을 동형아메바로 제안한다.

  • PDF

간 대사효소의 유전자 발현조절에 관한연구

  • 신윤용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92-192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cytochrome P450 LA1 유전자의 5'-upsteam 조절부위의 클로닝을 실시하였다. pUC19 vector에 연결시킨 3.4 Kb 크기의 Pstl DNA조각을 Sst1, Nco1 제한 효소로 자른 뒤, Exonuclease III 를 처리하여 약 200bp 씩의 차이를 갖는 여러 크기의 plasmid들을 얻었다. 이 plasmid 의 핵산서열을 알아보기 위해 dideoxy nucletide를 이용한 sequencing방법으로 그 핵산서열의 결정 실험을 시도하였다. 또한, 다환상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에 반응성을 갖는 C57BL/6N 생쥐와 반응성을 갖지않는 DBA/2N 생쥐에 있어 phase II 대사 효소인UDP-glucuronosyltransferase 효소활성에 대한 3-methylcholanthrene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C57BL/6N 생쥐와 DBA/2N 생쥐에 각각 다른 농도의 3-methylcholanthrene을 처리하거나 각기 다른 시간에 3-methylcholanthrene를 처리하였다. 그 결과 UDP-glucuronosyl-transferase의 mRNA가 3-methylcholanthrene양의 증가에 따라, 처치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되어지며 그 mRNA위 크기는 약 2.2Kb 정도임을 알았다. 이로부터 UDP-ghucuronosyltransferase 또한 cytochrome P45O와 함께 다환상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 조절인자를 통한 조절을 받을 것이며 phase I phase II 약물 대사 효소가 조절상 밀접한 관련을 가짐을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Alcaligenes sp. J-482 로부터 분리한 제한효소 AspJI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 Restriction Endonuclease AspJI from Alcaligenes sp. J-482)

  • 이정택;조태주;임재윤
    • 미생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85-290
    • /
    • 1994
  • 자연계에서 새로운 제한효소 생산균을 검색하여 한 균주를 선발하고, 형태학적, 생리학적, 생화학적 특성들을 조사하여 Alcaligenes sp.로 동정하고 제한효소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Alcaligenes sp. J-482가 생산하는 제한효소를 AspJI으로 명명하였다. AspJI은 pBR322, Adenovirus 2-DNA, ${lambda}$ DNA 등에 대한 절단양식이 AatII와 같아 AatII의 isoschizomer로 추정 되었으며, 효소활성에 12.5mM 이상의 $MgCl_2$를 필요로 하였으며, NaCl에 의하여 저해되었다. AspJI의 반응 최적 온도는 $37^{circ}C$, 최적 pH는 7.5로 확인 되었으며, 내열성을 조사한 결과 $85^{circ}C$이상에서 15분처리 할 때 안전히 실활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Pyruvate dehydrogenase phosphatase의 catalytical subunit의 구조와 활성에 대한 연구 (Structural and Functional Relationship of the Catalytical Subunit of Recombinant Pyruvate Dehydrogenase Phosphatase (rPDPc): Limited Proteolysis)

  • Kim, Young-Mi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7권1호
    • /
    • pp.73-80
    • /
    • 2002
  • Pyruvate dehydrogenase phosphatase (PDP)와 kinase는 당대사시 해당과정에서의 대사 산물인 pyruvate를 acetyl CoA로 만들어 구연산 회로로 진입시켜 주는 효소인 pyruvate dehydrogenase complex (PDC)의 활성을 조절하는 중요한 효소이다. PDP의 catalytic subunit는 PDC의 dihydrolipoamide acetyltransferase (E2), PDP regulatory subunit (PDPr), 그리고 칼슘 결합 도메인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추측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구조와 기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DPc를 E. coli JM101에서 발현시켜 순수 정제 후 단백분해 효소를 이용한 제한적 가수분해 방법을 이용해 그 구조와 기능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정제된 PDPc는 trypsin, chymotrypsin, Arg-C 그리고 elastase를 이용하여 3$0^{\circ}C$ 그리고 pH 7.0에서 제한적으로 분해시켰으며 각 분해산물의 아미노 말단의 아미노산 배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PDPc는 trypsin, chymotrypsin, elastase에 의해 N-terminal의 50 kD과 C-terminal의 10 kD의 두개의 분해산물을 만들었으며, Arg-C에 의해 50kD의 분해산물은 약 35kD와 15kD으로 더 가수분해가 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PDPc는 앞에서 추측한데로 세개의 주요한 기능적 도메인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terminal의 10kD은 PDPc의 활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다른 도메인의 기능은 더 연구가 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제1형 고셔병 환자의 새로운 치료로서의 기질 감소 치료 (A New Treatment Option for Gaucher Disease Type 1: Substrate Reduction Therapy)

  • 손영배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17-122
    • /
    • 2016
  • 제1형 고셔병(Gaucher disease type 1)은 리소좀 효소인 산성 ${\beta}$-글루코시다아제(acid ${\beta}-glucosidase$)의 결핍으로 인한 리소솜 축적 질환이다. 효소 활성도가 감소되어 기질이 축적되어, 간비종대, 빈혈, 혈소판감소증 및 골질환을 포함한 전신 증상이 발생한다. 재조합 효소 단백을 정맥 주입하는 효소 대체요법(Enzyme replacement therapy)는 지난 20년 넘게 고셔병의 표준 치료법이었다. 그러나 성공적인 효소 대체요법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폐증상과 골격 증상 등 고셔병 치료에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이 남아 있다. 기질 감소 치료(Substrate reduction therapy)는 기질의 생합성을 억제하여 축적을 감소시킨다. 최근 새로운 경구용 기질감소 치료제인 엘리글루스타트(eliglustat)가 적합한 CYP2D6 대사 표현형을 가진 고셔병 성인 환자를 위한 1차 치료제로 미국과 유럽에서 승인되었다. 엘리글루스타트가 아직 한국에서는 쓰이지 않고 있지만, 본 종설에서는 문헌 검토를 통해 고셔병의 새로운 치료로서의 효소 대체요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아직 확고한 결론을 도출하기에는 연구 결과가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현재까지의 데이터에 따르면 엘리글루스타트는 임상 효능에 있어서 효소 보충 요법에 비열등성을 보인다. 장기 결과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엘리글루스타트의 승인은 해당 1형 고셔병 성인 환자들에게 경구 치료제라는 새로운 선택을 가능하게 하였다. 향후 국내에서 엘리글루스타트가 처방 가능해 지면, 각 환자 마다 철저한 평가를 통해 치료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 국내 1형 고셔병 환자들을 위해 엘리글루스타트의 사용에 관한 임상적 지침 또한 조만간 개발될 필요가 있다.

  • PDF

제한효소 반응용 PDMS/유리 마이크로 항온조 제작 및 특성평가 (Study on PDMS/Class Microthermostat Fabrication and Evaluation for Restriction Enzyme Reaction)

  • 진석호;조용진;안유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8권10호
    • /
    • pp.1598-1602
    • /
    • 2004
  • In this paper, we report a microthermostat using PDMS (poly-dimethylsiloxane) and glass. This PDMS/glass chip is able to maintain constant temperature that is necessary for restriction enzyme reaction. Since PDMS is the low-cost and the mass-producible material and has very good biochemical compatibility, PDMS chip has more benefit than general Si chip. Heater was made of Au wiring patterned on Pyrex glass. A reaction chamber has a capacity of about 3 ${mu}ell$. We performed a restriction enzyme reaction by using the fabricated microthermostat and conventional method. Then, with the electrophoresis, we made a comparison between the result from the micro reactor and the one from conventional method.

DNA의 제한효소 반응 및 전기영동 검출용 PDMS/유리 마이크로바이오칩 (PDMS/Glass Based DNA Microbiochip for Restriction Enzyme Reaction and Electrophoresis Detection)

  • 최준영;안유민;황승용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0권1호
    • /
    • pp.26-31
    • /
    • 2006
  • This paper reports low-cost PDMS/glass based DNA microbiochip for the restriction enzyme reaction and its products detection using the capillary electrophoresis. The microbiochip ($25mm{\times}75mm$) has the heater integrated reactor ($5{\mu}{\ell}$) for DNA restriction enzyme reaction at $37^{\circ}C$ and the microchannel ($80\;{\mu}m{\times}100\;{\mu}m{\times}58mm$) for the capillary electrophoresis detection. It is experimentally confirmed that the digestion of the plasmid ($pGEM^{(R)}-4Z$) by the enzyme (Hind III and Sca I) is performed for less than 10 min and its electrophoresis detection is able to sequentially on the fabricated microbiochip.

콩 불마름병균 Xanthomonas campestris pv. glycines 8ra의 박테리오신 유전자 Cloning (Cloning of the Bacteriocin Gene from Xanthomonas campestris pv. lycines 8ra)

  • 안응진;조용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69-175
    • /
    • 1996
  • 콩 불마름병균 Xanthomonas campestris pv. glycines 8ra는 X. c. pv. vesicatoria에 길항력이 있는 bacteriocin인 glycinecin을 생성 분비한다. Bacteriocin 생성 분비 능력이 있는 콩 불마름병균을 효과적인 생물학적 방제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좀더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여, bacteriocin 생성에 관계되는 유전자의 분리를 시도하였다. 약 2,000개의 Xanthomonas campestris pv. glycines 8ra cosmid library에서 bacteriocin의 생성 분비 능력을 조사하여 다섯 개의 clone을, pG011, pG0113, pG33과 pG35, 선발하였다. 그중 한 clone pG08을 임의로 선택하여 plasmid DNA를 분리하였다. Plasmid pG08에서 약 6.0 kb의 DNA를 떼어내어 다른 plasmid vector에 넣은 subclone pBL5는 bacteriocin의 생성 분비 능력이 있었다. Plasmid pG08을 제한효소 처리후 다시 접함시켜 만든 몇 개의 subclone과 pBL5의 제한효소 지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약 3.0 kb의 BamHI-HindIII 부분의 DNA가 bacteriocin의 생성에 관계함을 알았다.

  • PDF

Multi-copy Streptomyces 플라스미드, pJY501의 재조합 유도체의 특성 (Properties of Recombinant Derivatives of pJY501, A Multi-copy Streptomyces plasmid)

  • 염도영;공인수;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4-97
    • /
    • 1990
  • Thiostrepton 내성 유전자(tsr)를 포함하는 multicopy 재조합 플라스미드 pJY502(5.5kb)의 제한효소 지도를 비교해본 결과 pJY502는 새로운 플라스미드로 확인되었다. pJY502는 Streptomyces에서 넓은 host range를 나타내었으며 cloning에 사용할 수 있는 단일 BglII 제한효소 인식부위를 갖고 있었다. pJY502의 형질전환 빈도는 S.lividans에서 $2.2 \times 10^5$이었다. 또한 E.coli-Streptomyces bifunctional 플라스미드 pJY504을 제조하였다.

  • PDF

한국산 가리비 2종의 28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에 의한 유전적 특성 (Genetic Characterization based on Partial 28S rRNA Gene Sequence of Korean Two Scallops)

  • Park, Gab-Man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7
    • /
    • 1997
  • 한국산 가리비, 큰가리비(Patinopecten yessoensis)와 주문진가리비(Chlamys swifti), 2종에 대한 28S ribosomal RNA 유전자의 PCR- 산물을 이용 RFLP 및 염기서열을 밝히고, 이미 보고된 2과 3종의 염기서열과 상동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28S rRNA유전자를 이용하여 7가지 제한효소를 처리한 PCR-RFLP의 종간 차이에서 Taq I 제한효소에서만 차이를 볼 수 있었다. 한편 두종간에 28S rRNA유전자의 D1 부위의 염기서열에서 231개 부위 중 14군데에서 변이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