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한급수

Search Result 114,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intermittent flow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due to restricted supply (상수도관망에서 제한급수에 따른 간헐적 흐름의 특성 및 제어)

  • Yang, Kangseung;Kim, Donghong;Jung, Kwansoo;Kim, Juh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 /
    • v.28 no.1
    • /
    • pp.1-11
    • /
    • 2014
  • The water distribution system should be invariably operated on continuous pattern for 24 hours a day. Occasionally, it is not practically possible to operate for 24 hours due to water shortage or financial constraints. Therefore an intermittent water supply is unavoidable in water shortage area and developing countries. But the intermittent water supply can introduce large pressure forces and rapid fluid accelerations into a water supply network. These disturbances may result in new pipe failure, leakage and secondary contamination. This paper proposed an improvement methodology to prevent the disturbances by intermittent water supply. For the study, the hydraulic variation of intermittent flow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was measured and analyzed in the field by comparing with simulation of hydraulic model. Installations of control valves such as, pressure reducing and sustaining and air valves were employed for pressure and flow control.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s are presented by comparing hydraulic conditions before and after introducing the proposed solutions.

Evaluation of Future Water Deficit for Anseong River Basin using Water Budget Analysis (물 수지 분석에 의한 미래 안성천 유역의 물 부족 평가)

  • Kim, Jungwook;Lee, Daewung;Hong, Seungjin;Joo, Hongj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2-42
    • /
    • 2016
  • 지난 135년(1880~2014년) 동안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지구의 평균 기온은 $0.85^{\circ}C$ 상승하였으며, 이는 수문현상에 영향을 미쳐 강우량 및 강우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기후변화로 말미암아 수문 현상의 변화에 따른 불확실성이 커져 물 순환 과정의 정확한 파악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미래 안정적인 물 공급을 위한 수자원계획 수립 및 관리를 위해 기후변화를 고려한 물 수요 예측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에 따라 물수요가 변화하고 있는 안성천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여 기후변화를 고려한 미래 물 부족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후변화 RCP 8.5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미래 강수량을 모의하였고, 준 분포 강우-유출 모형인 SLURP 모형을 이용하여 미래 유출량을 분석하였다. 미래 유출량을 토대로 정확한 물 수요 예측을 위해 통합수자원평가계획 모형인 K-WEAP 모형을 이용하여 소유역별 물수지 분석을 위한 네트워크 및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또한 용수이용량(생활, 공업, 농업용수)의 과거자료를 활용한 선형예측함수식을 통해 장래 물 수요 추정량을 산정하였다. 물 수지 분석 결과, 안성천 유역은 인구 증가,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용수 이용량이 증가하고 있었으나 농업용수는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있었다. 따라서 생활 및 공업 용수에 대한 수요를 충족하지 못해 미래 물 부족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물부족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 광역상수도 확충과 제한급수를 제시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Prospects for Extreme Drought Frequency Changes in the Future Using the Modified SPI Index (수정SPI지수를 이용한 미래 극한 가뭄빈도변화 전망)

  • Jeung, Se Jin;Choo, Kyung Su;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8-38
    • /
    • 2020
  • SPI지수는 강수량이 감소하기 시작하면 필요한 물수요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물부족을 유발하게 되고, 가뭄발생의 발단이 된다는 것에 착안하여 개발된 지수이다. 하지만 다른 가뭄지수와 마찬가지로 강수량 또는 유출량 시계열을 상대적인 표준정규분포로 산정하였기 때문에 인근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수량이 많은 지역도 실제로 발생하지 않은 가뭄이 발생한다고 분석이 된다. 이러한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수정된 가뭄분석 기법이 요구된다. 이에 Jeung et. al(2019)은 이런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SPI지수 계산과정에서 해당지점의 시계열을 대상으로 계산되는 Gamma 분포를 전국으로 확장 시켜 산정 후 표준정규분포에 적용하여 가뭄지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과거 제한급수가 발생했던 지역을 대상으로 극한가뭄과 가뭄지속기간을 이용하여 M-SPI지수의 효용성을 확인한 결과, 제한급수 실시년도와 SPI, M-SPI 결과와의 비교결과 과거 가뭄을 정확하게 모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M-SPI는 전국을 하나의 지역으로 가정하여 산정하였고, 증발산량과, 고도 등 지형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부의 가뭄사상을 재현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상학적 인자와, 지형학적 인자를 고려하여 지역화를 하고, 각 지역별로 대표 확률분포를 산정하여 가뭄지수를 산정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국가 표준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수집하여 M-SPI에 적용하여 미래 극한 가뭄빈도의 변화를 전망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Thermal and Dynamic Behavior of the Single Combustion Chamber Pulse Burner (맥동 연소식 열교환기의 열적 및 동적 특성에 관한 해석)

  • ;Robert J. Schoenhals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9 no.6
    • /
    • pp.810-820
    • /
    • 1985
  • 배기 decoupling chamber룰 갖고 있는 맥동 연소 급수가열기에 대한 수학적인 모델링과 관련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하였고, 이 때 계에 대한 맥동 현상과 관련된 열적 및 동적 특성을 고려 였다. 시뮬레이션결과 시동기간에 대한 계의 각 부분에서 일어나는 열전달, 압력 및 온도를 구 였고 또한 해석의 제한성과 개선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도관에서 맥동에 의한 대류열전달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세우는데 활용될 수 있다.

Development of Groundwater Dam Operation Index Using daily Precipitation data (일 강우자료를 이용한 지하댐 운영지표의 개발)

  • Park, Jae-Hyeon;Choi, Young-Sun;Kim, Dae-Kun;Park, Chang-Kun;Yang, J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270-274
    • /
    • 2005
  • 우리나라의 경우 매년 인구증가와 도시화로 인한 용수부족으로 국지적인 제한 급수를 실시하는 등 점차 물 문제가 중요한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대체 용수원의 개발이 시급하게 대두되어지고 있다. 이 가운데 지하댐(Ground-Water Dam) 건설에 의한 지하수 자원의 개발이 제안되고 있다. 수자원의 계절적 편중에 의한 수자원 최적화 활용을 위해 지하댐 최적 운용기법의 개발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하댐 운영지표(Groundwater Dam Operating Index, G.O.I)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쌍천 유역의 수문학적 자료와 강수의 경향, 지하수위 그리고 지하댐 운영 자료를 이용하여 강수와 지하수위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일강우량 90일 이동평균의 대수값이 지하수위 변동특성과 가장 높은 상관도를 보였다. 이 결과 값을 G.O.I 로 정의 하였으며 G.O.I 지표가 1보다 작은 구간과 지하댐 운영시 제한급수가 실시되었던 구간이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G.O.I 를 이용한 지하댐 실시간 의사결정 시스템 구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a Site-limited Search using the ODYSSEUS Object-Relational DBMS (오디세우스 객체관계형 DBMS를 사용한 사이트 제한 검색의 구현)

  • 이재길;이민재;김민수;황규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755-757
    • /
    • 2003
  • 인터넷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활용되면서 웹 사이트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각각의 웹 사이트에 저장된 정보의 양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웹 사이트에서 자신이 보유한 정보를 방문자들이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자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를 위해, 각 웹 사이트의 정보를 중앙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고. 검색 범위를 자신의 사이트에서 제공한 데이타에 제한하여 검색하는 사이트 제한 검색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디세우스 정보검색용 객체관계형 DBMS 를 사용하여 사이트 제한 검색을 효율적으로 구현하는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사이트 제한 검색의 구현 방법은 대용량 데이타베이스에서 사이트 제한 검색을 수행하더라도 검색 속도가 전혀 저하되지 않음을 실험을 통해 입증한다.

  • PDF

Study of improvement control logic about unit master control(UMC) (Unit master control(UMC) 제어로직 개선에 관한 연구)

  • Park, Doo-Yong;Lim, Gyun-Py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707_1708
    • /
    • 2009
  • Unit master control(UMC)는 발전소의 요구 부하신호를 설정하는 최상위의 제어레벨이며 UMC의 설정값은 자동급전 지령신호(Automatic Dispatch System : ADS) 또는 운전원이 설정하는 값에 따라 보일러 및 터빈 Master에 Unit 요구 신호를 출력하여 하위제어 레벨인 공기, 연료, 급수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기기에 Unit 부하 요구 신호(Unit Load Demand : ULD)에 따라 제어 되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Unit 목표부하 설정, Unit 목표부하 상/하한 제한, 목표부하 변화율 제한, 주파수 보정, Runback/Rundown/ Runup, 보일러 및 터빈 Demand 신호생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 PDF

Evaluation method of Drought for Irrigation Reservoir (관개저수지의 가뭄평가 방법)

  • 김태철;이성희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44 no.2
    • /
    • pp.75-80
    • /
    • 2002
  • The severity of drought in (the) irrigation reservoir could be evaluated by the accumulative rainfall method, soil moisture content method, storage ratio method, and water supply restricted intensity method, etc. The storage ratio method would be the most reliable one for irrigation reservoir. The pattern of drought might be forecast with the most similar pattern of accumulative rainfall and/or storage ratio out of the file of past operation history.

Development of Agricultural Reservoir Inflow Prediction Model Using Deep Learning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농업용 저수지 유입량 예측 모델 개발)

  • Seon Mi Lee;Chul Hee Lee;Jae Eung Y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90-390
    • /
    • 2023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이 5 ~ 7년 주기로 발생하고 있으며 가뭄 강도가 심화되고 있고, 이러한 현상은 향후 10년 이상이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러한 가뭄으로 인해 2022년에는 각 지역에서 제한급수 및 운반급수 피해인구가 발생하였으며, 전국의 다목적댐 또는 용수전용댐에서는 가뭄 대응을 위해 용수를 감량하였다. 특히 2018년에는 농업용수 공급이 어려워 다수의 지역에서는 논이 마르고 밭이 시들어 농업피해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농업용 저수지에서는 가뭄 대응을 위해 저수지 운영곡선 및 연계운영 등과 같은 저수지 운영방안 수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하지만 다목적댐과는 달리 농업용 저수지에서는 수문 계측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저수지 운영방안 수립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심각한 가뭄이 발생한 섬진강 유역의 농업용 저수지를 대상으로 딥러닝 모델 기반의 일단위 유입량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저수지 유입량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유역평균강우량 및 과거 유입량 등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였으며, 시계열 자료 분석을 위해 딥러닝 모델 중 GRU(Gated Recurrent Unit) 모델을 활용하였다. 향후에는 예측 유입량을 활용하여 농업용 저수지의 수요량을 고려한 저수지 운영방안 수립을 통해 가뭄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mputing Modular Exponentiations based on Constructing Efficient Initial Block Tables (효율적인 초기 블록 테이블 구축을 통한 모듈러 멱승 계산)

  • 김지은;김동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12-115
    • /
    • 2003
  • 모듈러 멱승은 주어진 값 X, E, N에 대하여 X$^{E}$ mod N으로 정의된다. 모듈러 멱승은 대부분의 공개키 암호시스템과 전자서명에 사용되므로, 이 연산을 빠르게 수행하는 문제는 암호학 분야에서 중요하게 연구 되고 있다. 모듈러 멱승을 계산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은 VLNW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d, q 인자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제한적인 결과를 제공한다. 일반화된 그래프 모델은 VLNW방법의 f 인자를 제거하여 그 성능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고 인자는 여전히 VLNW방법과 동일하게 고정되어 있다. d 인자는 초기 블록 테이블을 결정하는 인자로써, 이것을 확장할 경우 천 처리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본 논문은 전 처리 시간의 기하급수적인 증가를 저지하면서도 고 인자를 확장하기 위해서 초기 블록 테이블을 만드는 몇 가지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은 VLNW 방법과 일반화된 그래프 모델보다도 효율적이며, 그 성능은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