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품 디자인 선호도

Search Result 20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effect of personality on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of negative novelty design product (부정이탈디자인 제품의 선호도와 구매의사에 미치는 성격의 영향)

  • Chung, Eun-Kyung;Kwak, Hae-Lie;Kim, Yoo-Kyoung;Sohn, Young-Wo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3 no.1
    • /
    • pp.243-250
    • /
    • 2010
  • A study is presented that examines the effect of personality on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novelty design products. Participants evaluated their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on 18 design products including positive and negative novelty design products. A cute Scream character was created as a positive novelty design and a skeleton Mickey character was used as a negative one. We measured extroversion, neuroticism, and visual product aesthetics as individual traits. The results shows that people, of course, prefer(and want to buy) the positive novelty design product to the negative novelty design product. Only in the case of the negative novelty design product, the more neurotic people is, the more they prefer it. Also, among the people who like the negative novelty design product, introvert ones are likely to purchase it but extroverted ones are not. These findings imply that personal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liking and purchasing negative novelty design product.

  • PDF

Semiotic Analysis of Cultural Influence on Design Semantics - concerning different preference in mobile phone design between Korean & French users in twenties - (디자인 의미에 대한 문화적 영향의 기호학적 분석 - 한국과 프랑스 20대 사용자의 모바일 폰 디자인 선호를 중심으로 -)

  • Yoon, Ji-Hye;Lee, Kun-Pyo;Shi, Chung-K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258-266
    • /
    • 2006
  • 시대의 흐름에 따라 문화적 차이를 극복한 전략적인 제품 디자인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의 성향을 파악하여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디자인이 필요하지만, 지금까지는 제품에 대한 선호도 또는 감성어휘 중심의 설문조사를 통해 각 문화의 통계적인 경향성을 파악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디자인의 선호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근본적인 문화 배경적 원인을 파악하지 않으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디자인 전략의 수립이 어렵다. 본 연구는 상이한 문화권에서 발생하는 제품디자인 선호 차이에 대한 원인을 문화적 성향의 차이에서 찾으려고 하였다. 또, 문화적 성향이 제품의 선호에 미치게 되는 원인을 문화연구 방법의 하나인 기호학을 통해 분석하고, 그 관계를 체계적인 모델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프랑스, 두 문화권에서 웹 기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문화적 성향과 모바일 폰 이라는 제품에 대한 기본적 개념을 파악하고 선호하는 디자인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문화적 성향이 모바일 폰의 개념 형성에 영향을 미쳐 한국에서는 필수품이자 자신을 표현하는 제품으로, 프랑스에서는 필수적이지 않으며 개인에게 유용한 도구로 여기며 그에 따라 한국에서는 디자인을, 프랑스에서는 기능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등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 상이한 제품개념이 디자인 선호에 차이를 유발하여 프랑스에서는 유(柔)하고 정적인 디자인을, 한국에서는 강하고 동적인 감성의 디자인을 선호함을 분석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기호학적 개념에 입각하여 체계적인 모델을 제안함으로써 상이한 문화에서의 상이한 디자인 선호에 대한 원인을 규명할 수 있었다.

  • PDF

The Fundamental Study about eCRM Solution Embodiment for Design Development - focused on the off-line research about preference, image, design elements of refrigerator- (디자인개발을 위한 eCRM솔루션구현에 관한 기초연구 - 냉장고의 선호도, 이미지, 디자인요소에 대한 off-line조사를 중심으로 -)

  • 홍정표;양종열;이유리;오민권;나광진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5 no.4
    • /
    • pp.149-156
    • /
    • 2002
  • The success of a product is only possible on the basis of user preference for products and the user preference for products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design. Designers have to understand user preference and convert it into the combination of specified design attribute, and after that they should design products which have the image that they want to get. Then the product will be sure to be a hit. Therefore, on the point of view of design, it is necessary to find oui definitely the consumer preference frame : the relationship among design preference - design images - design attribute. This study will give you guidelines on which designers can select and design some more objective and reliable design factors, finding out th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by which they can know what kind of product designs their consumers like and how the popular image which that products offer is composed of. Therefore, in this study, after we developed the consumer response framework which is proposed by Bloch(1995) : distinct relationship model among preference - design image adjective - design factors,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preference-design image adjective - design factors through the empirical researches. And then we give the way of design.

  • PDF

The Preferred Common Design Factors in Various Portable Electric Devices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공통적으로 선호되는 디자인요소)

  • Lee, Yu-Ri;Park, Sang-June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1 no.3
    • /
    • pp.301-312
    • /
    • 2008
  • Satisfaction of consumer preferences is a key factor for the success of the products. Therefore, design mangers try to develop the profitable products through the intensive survey on the consumer preferences. Although the studies on the preferable product design and the design factors have long been carried out, most of these studies dealt only with the design factors preferable for individual product category ignoring the relationship of the product categories which are related to each other. For designers and design managers,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guidelines of successful product development by finding preferred common and distinct design factors through analysis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consumer preferences and design factors in various portable electric device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preferred common and distinct design factors from portable electric devices including the electronic dictionaries, notebook computers, cellular phones, and MP3 players. We us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the effects of the design factors on the preferences among the product categories and regression analysis for the effects among each product category. The analysis on the preferred common design factors among the four product categories revealed that consumers did not care about the whole body type but preferred white color, metallic and glassy texture in the body. Also, the preferred design factors in the each product category are as follows; oval body shape and black color in electronic dictionaries, white color, metallic and glassy texture in notebook computers, plastic texture in cellular phones, rectangular body shape and plastic texture in MP3 players. In the case of notebook computers, the preferred common and distinct design factors were the same. We expect these results will be helpful for designers and design managers to identify the preferred design factors to consider when developing the various portable electric devices.

  • PDF

A Study of the Fashion Design Process Model for Mass Customized Clothing (대량 맞춤화(Mass Customization)형 의류 제품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 연구)

  • 박진아;이주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331-133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대량 맞춤화(Mass Customization)에 적절한 의류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를 연구하기 위하여, 맞춤화 정도를 달리한 두 가지의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종래의 대량 생산형 디자인 프로세스와 비교 고찰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디자인 프로세스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대량 맞춤화형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집단이 전체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맞춤화가 가장 심화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에서의 디자인 만족도가 높았으므로, 의류 제품에 있어 대량 맞춤화형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소비자 수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하여 디자인 요소별 선호도를 분석해 본 결과, 대량 맞춤화형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색채가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어 소비자에게 색채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집단으로 선정한 '대량 맞춤화형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 전체 응답자 집단에 비하여 소재 변수를 의미 있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응답자 집단과 연구집단의 경우 모두 스타일이 가장 중요하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대량 맞춤화형 의류 제품의 수용 가능성과 이에 적합한 의류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의 방향을 모색해 볼 수 있었다.

  • PDF

Aesthetic elements in Product Design of Korean and Chinese's Consumer preference (한국.중국 소비자 선호 제품디자인의 심미성 요소 연구)

  • Jeong, Su-Kyoung;Hong, Jung-Pyo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9 no.2 s.64
    • /
    • pp.63-72
    • /
    • 2006
  • The design in modern industrial society is the core of corporate administrational strategy and a factor that determines the competitiveness of a country. And the process of purchasing products is the matter related to the awareness of design which expresses the desire to own the design product that consumers prefer, implying that the aesthetic feature of product has become a critical characteristics of product design rather than the technical function of product. In this regard, the development of product design with a new dimension is urgently called for, by analyzing and shedding light on the aesthetic features of factors related to the preference of consumers. This study considers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aesthetic factors and the reaction of customers to the product design to figure out the importance of factors related to the preference of customers, in an effort to shed light on the aesthetic factors that affect the customers' preference of product and the evaluation of product. In addition to tha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ference that Korean and Chinese customers display toward the product and assessed the aesthetic features of preferred product in order to come to the conclusion from the experiment and analysis on how much effect the aesthetic factors and the aesthetic factors by product have on the preference of customer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propose the data that can be useful for the design of product targeted for consumers in Korea and China, by shedding light on what aesthetic factors that products preferred by consumers in Korea and China have and how much effect such factors have on the preference of consumers in an attempt to provide the guideline on the aesthetic factors of the product design.

  • PDF

A Study on the Typicality and Preference according to Determinants of Typicality (전형성 결정요인에 따른 전형성과 선호도 연구)

  • 나광진;양종열;홍정표;이유리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5 no.4
    • /
    • pp.87-96
    • /
    • 200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ideals(goal-directed design attributes) and physical common features on typicality of product desig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ypicality and preference that suggested different result in prior research. So for these objectives w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ypicality and preference with two dimensions composed of goal-directed attribute typicality and physical common features typicality. The result showed that consumers' judgment of typicality on product design was increased as the product design has ideals. This was a same result as the prior research. In addition, Increasing the physical common feature with other members in product category, consumers judged that the product design is typical. Otherwise, in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ypicality and preference were showed that the design of ideals(goal-directed design attributes) influenced on preference positively, but the design of physical common features had an inverted U-shaped.

  • PDF

Fiber Fashion Design Recommender Agent System using the Prediction of User-Preference and Textile 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 (사용자 선호도 예측과 Textile 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기술을 이용한 섬유패션 디자인 추천 에이전트)

  • 정경용;김진현;나영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224-228
    • /
    • 2002
  • 제품의 품질 및 가격 뿐만 아니라 물질적 풍요로움과 더불어 다변화 되어가는 생활 환경 속에서 소비자의 감성과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은 제품 판매 전략의 중요한 성공요소가 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제품의 기능적 측면 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정서적 감정과 선호도가 반영된 제품의 설계나 디자인 또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재 개발의 프로세스가 고객 중심으로 변화하는 것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감성과 선호도를 중심으로 소재를 개발하는 방법의 하나로 협력적 필터링 개인화 기법을 응용하여 섬유 패션 디자인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Textile 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시스템에서 예측에 사용될 이웃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Representative Attribute-Neighborhood를 사용한다. 이웃들간의 사용자 유사도 가중치는 피어슨 상관 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한다. 소재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이나 선호도에 대한 Textile의 대표 감성 형용사를 추출함으로써 소재 개발을 위한 감성 형용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한다. 구축된 감성 형용사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성향이 비슷한 사용자에게 Textile을 추천한다. 사용자 선호도 예측과 Textile 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기술을 이용한 섬유 패션 디자인 추천 에이전트를 구축하여 시스템의 논리적 타당성과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적인 적용을 시도하고자 한다.

  • PDF

Design Strategies of a Shaver for Men based on Consumers' Sensitive Images of Preference (소비자 선호 감성이미지 기반 남성용면도기 디자인 전략)

  • Lee, Yu-Ri;Yang, Jong-Youl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0 no.3
    • /
    • pp.393-40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design direction based on consumer sensitivity through the structure between product design preferences - sensitivity image - design elements. For the purpose, we selected men's shaver products for this study subject and collected 164 shavers' pictures released between 2001-2007 years. Then, we carried out a pilot test for collection of sensitivity images about shavers, made a survey using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and analyzed the survey. According the result, consumers preferred the sensitivity images "luxury, attractive, stable", design elements satisfied the preference images were "form of body is not a circular arcs or a polygon, material is steel, button is push style, and a color of body is not brown." This study can provide a base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sign preferences - sensitivity image - design elements and a design process to predict consumer sensitivity-oriented design.

  • PDF

The Influence of Aesthetic Elements on Preference to Product Aesthetics (제품 심미성에 있어서 선호도에 대한 심미적 요소의 영향)

  • 형성은;오정화;홍정표;양종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185-188
    • /
    • 1999
  • 디자인에 관련된 대부분의 사람들은 제품 심미성이 소비자 선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부인하지 않는다. 따라서 디자인 분야에 있어서 제품 심미성에 관한 연구는 아주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그것은 제품 심미성에 관한 연구가 제품의 심미적 요소 평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주고 또한 제품 심미성이 소비자 선호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나름대로 지대한 공헌들이 있었지만 제품 심미성을 어떻게 평가하고 그것들이 소비자 선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들은 아직 형성단계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품의 어떤 측면들이 소비자들로 하여금 선호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되는 지를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프레임 ?을 제공하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