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품혁신성

검색결과 527건 처리시간 0.036초

정보기술 혁신 제품에 대한 거부와 수용에 관한 연구: 일반 휴대전화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의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Rejection and Acceptance for Innovative Products of Information Technology - Based on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 of Mobile Phone Users -)

  • 권순홍;임양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3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1호
    • /
    • pp.211-21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 혁신 제품이 출시되었을 때 소비자가 수용하는 과정에서 혁신 제품의 유용성 기대와 혁신제품에 대한 거부의 요인에 의해 사용의도가 형성된다는 관점에서 혁신 제품의 수용과정을 연구하였다. 휴대전화 사용자들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보기술 혁신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유용성 기대는 사용의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혁신 제품에 대한 거부감은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유용성 기대는 거부감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혁신 제품에 대한 유용성 기대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적 요인이 있었고, 기존 제품에 대한 만족은 유용성 기대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소비자의 혁신 제품 거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소비자의 기존 제품에 대한 만족과 소요되는 노력 예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에 근거하여, 소비자가 정보기술 혁신 제품에 대해 유용성을 기대하더라도 거부감을 가지고 있다면 해당 제품을 사용할 의도를 갖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전략이 필요하다.

  • PDF

소비자의 내재적 혁신성과 제품에 대한 관여도와 전문적 지식이 정보탐색 혁신성과 수용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The Empirical Study of the Influence of Consumer Innovativeness, Product Involvement and Product Expertise on Vicarious and Adoptive Innovativeness)

  • 김영균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87-198
    • /
    • 2012
  • 소비자 혁신성은 소비자의 혁신적 행동을 유발하는 성향으로서 기업입장에서는 소비자들의 신제품 수용과 관련된 혁신성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관여도와 제품에 대한 전문지식이 소비자의 실제화된 혁신성 중 해당 제품에 대한 정보탐색 혁신성과 수용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소비자의 내재적 혁신성과 제품에 대한 관여도 및 전문적 지식이 수용혁신성과 정보탐색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연구모델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내재적 혁신성은 정보탐색 혁신성과 수용혁신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탐색 혁신성은 수용혁신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품관여도는 정보탐색 혁신성과 수용혁신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제품관련 전문성은 정보탐색 혁신성에는 영향을 미치는 반면 수용혁신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이테크 신제품 구매에 있어 브랜드 혹은 성능 위주의 제품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한 연구

  • 김상훈;임재연;박현정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65-19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하이테크 제품 선택에 있어 브랜드와 제품 성능의 상대적 중요성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는데 있다. 영향 요인들은 크게 제품 요인과 소비자 요인으로 분류하였는데, 제품 변수로는 제품의 평가 용이성과 제품의 혁신성을 고려하였고, 소비자 요인으로는 소비자 관여도, 소비자 지식, 소비자 혁신성을 고려하였다. 또한 제품의 쾌락성/이성성 정도와 제품의 노출 정도에 의해 4가지 제품군으로 분류하여, 제품의 유형이 변수들의 영향력에 미치는 조절적 역할을 연구하였다. 연구에 대한 주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이테크 제품 전반적으로 소비자 혁신성, 소비자 지식, 제품 평가의 용이성, 제품의 혁신성이 제품 선택에 있어서 브랜드의 중요성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들은 지식수준이 낮을수록, 소비자 혁신성이 낮을수록, 제품의 평가 용이성이 낮을수록, 제품의 혁신성이 낮을수록 브랜드 위주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품의 쾌락성 정도에 따라서 브랜드의 상대적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달라지는데, 쾌락재의 경우에는 소비자 혁신성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브랜드의 상대적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나, 실용재의 경우에는 제품 평가의 용이성과 제품 혁신성, 그리고 소비자 혁신성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제품의 노출 정도에 따라서 공공재의 경우에는 소비자 혁신성, 제품 평가 용이성, 제품 혁신성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고, 개인재의 경우에는 소비자 지식과 제품 평가 용이성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가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소비자의 금전효용가치는 PB제품의 선호도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B제품구매의 지각적 가치가 PB제품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경제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라 하더라도 PB제품의 지각적 품질수준 여하에 따라 PB제품의 판매가치가 크다고 지각될 때에만 PB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최근에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PH의 연구자와 유통업계 실무자들에게 유익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자체가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것이다. 먼저, 대형유통점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감시감독과 처벌을 강화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정부가 아닌 지자체가 이를 주도하기는 사실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대형유통점이 영업행위를 영업시간제한에서부터 출점제한에 이르기까지 규제하는 건은 심사숙고하여야 한다. 대형유통점이 국가경제 및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적인가 긍정적인가에 대해 국내외 학계와 업계에서 여전히 많은 논란이 있기 때문이다. 정부와 지자체에 의한 시장개입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 한해 합당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는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다면적으로 평가한 결과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부분의 지자체는 체계적인 평가시스템과 객관적인 통계 자료를 갖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향후 가장 시급한 과제는 시장개방 이후 지난 10년간 대형유통점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관한 광범위한 통계자료를 수

  • PDF

기술협력 활동이 기업의 제품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전유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Technological Collaboration on Firm's Product Innovation Output: The Moderating Roles of Appropriability)

  • 황남웅;이정민;김연배
    • 기술혁신연구
    • /
    • 제22권1호
    • /
    • pp.59-87
    • /
    • 2014
  • 본 연구는 기업의 제품혁신 과정에서 기술협력 활동과 전유성의 확보가 제품혁신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추가적으로 협력활동과 전유성의 상호작용효과 (전유성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과학기술연구원에서 조사한 2010년 한국 제조업의 기술혁신조사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 고객과의 협력활동과 계열사와의 협력활동이 제품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유성의 그 자체로 제품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고객과의 협력활동이 제품혁신에 주는 긍정적인 영향을 배가시키는, 다시 말해 제품혁신에서 전유성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품혁신 성과를 높이기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제품혁신에서는 기술협력활동뿐만 아니라 전유성의 확보가 혁신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기에 기업에서는 기술협력활동의 활성화 및 기술의 전유성 확보에 힘써야 할 것이며 이러한 전유성의 확보를 위한 기술보호 수단의 전략적 활용에 대한 통찰이 필요하다.

개방성의 형태와 전유성 메커니즘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orms of Openness and the Appropriation Mechanisms on Product Innovation)

  • 신서화;허문구
    • 기술혁신연구
    • /
    • 제28권1호
    • /
    • pp.53-80
    • /
    • 2020
  • 최근의 연구는 개방형 혁신이 전략적 측면에서 혁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중점을 두고 있어 개방성의 형태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하다. 또한, 개방형 혁신을 위해 개방을 해야 하지만 혁신을 보호해야 하기도 한다는 모순이 존재한다. 최근 이와 관련하여 혁신 보호 연구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방성의 형태가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개방성의 형태와 제품혁신의 관계는 전유성 메커니즘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OECD에서 개발하고 배포하는 CIS(Community Innovation Survey)를 기반으로 국내 실정에 맞게 작성된 KIS(Korean Innovation Survey)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성의 형태는 제품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외부 탐색은 활용적 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협업은 탐험적 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유성 메커니즘은 개방성의 형태와 제품혁신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공식적 전유성 메커니즘은 외부 탐색과 활용적 혁신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비공식적 전유성 메커니즘은 협업과 탐험적 혁신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개방성의 형태를 기존의 방식과는 다르게 외부 탐색과 협업으로 구분하였으며 이에 따라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제품혁신의 유형과 적합한 개방성의 형태를 파악하였다. 둘째, 전유성 메커니즘의 특성에 따라 개방성의 형태와 제품혁신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을 파악하여 개방성의 형태와 제품혁신의 유형에 따라 더 적합한 전유성 메커니즘 유형을 파악하였다.

공급사슬관리(SCM)의 가치사슬에 영향을 미치는 제품 혁신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duct Innovativeness Affecting SCM Value Chain)

  • 김정태;박은미;장주병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2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442-448
    • /
    • 2002
  • 오늘날의 경영환경은 불완전할 뿐만 아니라 경쟁이 심화되어 기업간 경쟁의 범위를 벗어나 공급사슬간의 경쟁으로 옮겨가고 있으며, 정보기술관리과 eBusiness가 급격히 발전하면서 공급사슬관리(SCM)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경쟁전략과 공급사슬전략 그리고 제품 특성을 반영하여 공급사슬이 설계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의 특성을 수요 측면을 중심으로 혁신적 제품과 기능적 제품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제품의 혁신성을 측정하고, 제품의 혁신성이 공급사슬 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공급사슬관리(SCM)의사결정영역에서의 공급사슬관리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전략에서의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품의 혁신성이 공급사슬관리(SCM)의사결정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기업들에게 자사 제품에 대한 전략적 분석 필요성의 개념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제품특성, 제품 전략, 공급사슬 전략, 기업경쟁전략의 연계적 개념을 제공하고 자사의 공급사슬의 효율성과 반응성을 진단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혁신적 제품 디자인 개발 가능성 (Innovation Product Design Development by Four Design Thinking Action)

  • 강범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87-596
    • /
    • 2012
  • 본 연구는 디자인 3대 요소인 '심미성', '재료', '기능성/구조성'의 요소에 '제거', '감소', '증가', '창조'라는 4가지 디자인 사고 틀 적용을 통하여, 새로운 제품디자인 컨셉 및 아이디어개발을 위한 사고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 된 혁신제품 아이디어 창출 방법의 검증을 위해서 성공적인 혁신 제품 디자인 사례로 소개된 232개의 제품들을 분석하였다. 그 연구결과의 대표적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대표적인 디자인 가치요소인인 '심미성', '재료', '기능성/구조성'의 요소를 기준으로 한 4가지 디자인사고 프레임?'은 혁신제품 디자인 개발을 위한 시스템적인 창의력 사고 방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혁신제품 디자인 사례 분석 결과 41%의 혁신제품디자인은 디자인 요소 중 '기능성/구조성'의 혁신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셋째, 기존의 혁신제품디자인(74%)은 디자인요소에 대한 가치의 '제거와 감소' 보다는 디자인요소에 대한 가치의 '증가와 창조'를 통하여 이루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 결과는 디자이너들이 가장 힘들어 하는 아이디어 창출에 있어서, 또 다른 시스템적인 아이디어 창출 방법을 제안한 것이다.

벤처기업의 제품개발 전략 실행과 제품개발 성과간의 관계에서 제품 혁신성의 매개효과 검증 (Exploring the Mediating Effect of Product Novelty of Business Ventur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 윤현중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4호
    • /
    • pp.23-34
    • /
    • 2018
  • 본 연구는 벤처기업의 제품개발 전략 실행과 제품개발 성과간의 관계에서 제품 혁신성의 매개효과를 검토하고 있다. 벤처기업의 제품개발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은 주로 벤처기업의 기술력에 초점을 맞추어 보유한 기술 수준과 연구개발 투자가 어떻게 제품개발 성과를 증대시키는 지에 주목하고 있으며, 최근 연구들은 조직수준에 형성된 기업가정신이 제품개발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비록 벤처기업의 제품개발과 관련된 많은 중요한 논의들이 형성되어 있지만, 제품개발 전략을 실행하기 위한 연구개발 기능 분화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제품개발 성과가 높은지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며, 조직수준에 형성된 기업가정신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제품개발 성과를 달성하게 하는지에 대한 설명 또한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벤처기업의 연구개발 기능 분화로 나타난 연구개발 부서의 존재와 벤처기업에 형성된 기업가적 지향성이 제품개발 성과에 미치는 정(+)의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Day & Wensley(1988) 모형을 적용하여, 제품개발 전략 실행과 제품개발 성과간의 관계를 제품 혁신성이 매개하는 지를 확인하였다. 한국의 중소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수집한 703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개발 부서의 기능 분화 및 기업가적 지향성 수준과 같은 제품개발 전략 실행이 제품 혁신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품 혁신성은 제품개발 전략 실행이 제품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대체로 매개하여 성과로 연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존제품 개발의 경우, 연구개발 부서를 통한 제품개발 전략실행이 제품 혁신성을 높여 제품개발 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제품개발의 경우 기업가적 지향성이 제품 혁신성을 높여 제품개발 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벤처기업의 제품개발 전략 실행과 제품개발 성과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과 제품개발 전략이 제품개발 성과로 나타나는 과정을 파악하고자 하는 실무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기술제품에 대한 사용자 지각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수용적 태도와 저항의 매개적 역할을 중심으로 - (The Impact of User Perception on Usage Inten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Attitude of Acceptance and Resistance -)

  • 김현경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8년도 추계 공동 국제학술대회
    • /
    • pp.278-285
    • /
    • 2008
  • 기술발전에 따른 혁신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유용성과 편의성을 중심으로 그 수용 및 저항을 서로 다른 관점에서 보아왔다. 그러나 소비자 혹은 사용자들이 느끼는 혁신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태도와 평가는 수용하려는 측면과 저항하려는 측면이 동시에 작용하며 그 결과로서 사용의도 혹은 구매의도가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혁신제품 혹은 서비스가 갖는 다양한 속성을 기술수용모형(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에서의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 과 지각된 편의성 (Perceived Ease of Use) 개념을 사용자 지각에 기초하여 상대적 이점, 유용성, 편의성, 기술혁신성, 사용법의 변화 인식, 위험지각 등으로 구체화하고 각각의 개념이 수용적 태도와 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수용적 태도와 저항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동시에 분석 및 비교하였다.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중심으로 혁신제품에 대한 소비자 중심의 관리적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 PDF

디자인 혁신성이 제품 호감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블루투스 스피커를 중점으로- (The Impact of Design Innovation on Product Affinity and Intention to Buy -Bluetooth speaker focused on-)

  • 박준홍;이준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97-599
    • /
    • 2021
  • 비즈니스에 성공한 디자인 혁신 제품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디자인 혁신성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블루투스 스피커 제품의 디자인 혁신성 (기능성, 인간공학, 심미성)이 구매고객의 호감도와 구매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실증적 연구를 위한 합리적 행위이론(TRA)과 기술수용모델(TAM)을 통한 연구모형을 제언한다. 설문은 디자인 혁신성, 호감도, 구매 의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기능성, 인간공학, 심미성은 제품의 호감도와 구매 의도에 영향을 주었다. 블루투스 스피커 디자인 혁신 제품이 초기시장에서 수용되기 위해서는, 기능과 심미성을 중심으로 호감도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호감도는 디자인 혁신 제품의 구매 의도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기업은 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발굴, 강화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