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품혁신성

Search Result 52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Study on Rejection and Acceptance for Innovative Products of Information Technology - Based on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 of Mobile Phone Users - (정보기술 혁신 제품에 대한 거부와 수용에 관한 연구: 일반 휴대전화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의도를 중심으로)

  • Kwon, Soon-Hong;Lim, Ya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1a
    • /
    • pp.211-21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 혁신 제품이 출시되었을 때 소비자가 수용하는 과정에서 혁신 제품의 유용성 기대와 혁신제품에 대한 거부의 요인에 의해 사용의도가 형성된다는 관점에서 혁신 제품의 수용과정을 연구하였다. 휴대전화 사용자들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보기술 혁신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유용성 기대는 사용의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혁신 제품에 대한 거부감은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유용성 기대는 거부감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혁신 제품에 대한 유용성 기대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적 요인이 있었고, 기존 제품에 대한 만족은 유용성 기대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소비자의 혁신 제품 거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소비자의 기존 제품에 대한 만족과 소요되는 노력 예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에 근거하여, 소비자가 정보기술 혁신 제품에 대해 유용성을 기대하더라도 거부감을 가지고 있다면 해당 제품을 사용할 의도를 갖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전략이 필요하다.

  • PDF

The Empirical Study of the Influence of Consumer Innovativeness, Product Involvement and Product Expertise on Vicarious and Adoptive Innovativeness (소비자의 내재적 혁신성과 제품에 대한 관여도와 전문적 지식이 정보탐색 혁신성과 수용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Kim, Young-Kyu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7 no.7
    • /
    • pp.187-198
    • /
    • 2012
  • Consumer innovativeness is a force that leads to innovative behavior of consumer and it is crucial for companies to understand the innovativeness in association with the new innovative product adop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s the influence of Consumer's inherent innovativeness, product involvement, and product expertise on consumers's vicarious and adoptive innovativeness. For this purpose, the model has been set and examined the influence of consumer innovativeness, product involvement and product expertise on vicarious and adoptive innovativeness. The results revealed that 1) consumer innovativeness would not influence vicarious and adoptive innovativeness, 2) vicarious innovativeness had affect on adoptive innovativeness 3) product involvement had a affect on both vicarious and adoptive innovativeness 4) product expertise had a affect on vicarious innovativeness and yet had no affect on adoptive innovativeness.

하이테크 신제품 구매에 있어 브랜드 혹은 성능 위주의 제품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한 연구

  • Kim, Sang-Hun;Im, Jae-Yeon;Park, Hyeo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5-19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하이테크 제품 선택에 있어 브랜드와 제품 성능의 상대적 중요성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는데 있다. 영향 요인들은 크게 제품 요인과 소비자 요인으로 분류하였는데, 제품 변수로는 제품의 평가 용이성과 제품의 혁신성을 고려하였고, 소비자 요인으로는 소비자 관여도, 소비자 지식, 소비자 혁신성을 고려하였다. 또한 제품의 쾌락성/이성성 정도와 제품의 노출 정도에 의해 4가지 제품군으로 분류하여, 제품의 유형이 변수들의 영향력에 미치는 조절적 역할을 연구하였다. 연구에 대한 주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이테크 제품 전반적으로 소비자 혁신성, 소비자 지식, 제품 평가의 용이성, 제품의 혁신성이 제품 선택에 있어서 브랜드의 중요성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들은 지식수준이 낮을수록, 소비자 혁신성이 낮을수록, 제품의 평가 용이성이 낮을수록, 제품의 혁신성이 낮을수록 브랜드 위주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품의 쾌락성 정도에 따라서 브랜드의 상대적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달라지는데, 쾌락재의 경우에는 소비자 혁신성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브랜드의 상대적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나, 실용재의 경우에는 제품 평가의 용이성과 제품 혁신성, 그리고 소비자 혁신성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제품의 노출 정도에 따라서 공공재의 경우에는 소비자 혁신성, 제품 평가 용이성, 제품 혁신성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고, 개인재의 경우에는 소비자 지식과 제품 평가 용이성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가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소비자의 금전효용가치는 PB제품의 선호도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B제품구매의 지각적 가치가 PB제품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경제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라 하더라도 PB제품의 지각적 품질수준 여하에 따라 PB제품의 판매가치가 크다고 지각될 때에만 PB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최근에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PH의 연구자와 유통업계 실무자들에게 유익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자체가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것이다. 먼저, 대형유통점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감시감독과 처벌을 강화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정부가 아닌 지자체가 이를 주도하기는 사실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대형유통점이 영업행위를 영업시간제한에서부터 출점제한에 이르기까지 규제하는 건은 심사숙고하여야 한다. 대형유통점이 국가경제 및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적인가 긍정적인가에 대해 국내외 학계와 업계에서 여전히 많은 논란이 있기 때문이다. 정부와 지자체에 의한 시장개입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 한해 합당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는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다면적으로 평가한 결과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부분의 지자체는 체계적인 평가시스템과 객관적인 통계 자료를 갖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향후 가장 시급한 과제는 시장개방 이후 지난 10년간 대형유통점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관한 광범위한 통계자료를 수

  • PDF

Effect of Technological Collaboration on Firm's Product Innovation Output: The Moderating Roles of Appropriability (기술협력 활동이 기업의 제품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전유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Hwang, Namwoong;Lee, Jung Min;Kim, Yeunbae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2 no.1
    • /
    • pp.59-87
    • /
    • 2014
  • This paper focuses on effect of technological collaboration and securement of appropriability on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Additionally, moderating effect of appropriability on technological collaboration is investigated by using Korean Innovation Survey 2010 conducted by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in Korea. Result shows that technological collaboration with customer and affiliate affects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positively. Appropriability, in addition, not only gives positive effect on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by itself, but also it augments the positive effect of technological collaboration on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The results imply that technological collaboration and appropriability are the key determinant for the increase of the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therefore, firms need higher level of technological collaboration invigoration and possession of appropriability. at last, firms require profound insight concerning strategic use of technology protection methods to secure appropriability.

The effect of Forms of Openness and the Appropriation Mechanisms on Product Innovation (개방성의 형태와 전유성 메커니즘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

  • Shin, Seohwa;Huh, Moon-Goo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8 no.1
    • /
    • pp.53-80
    • /
    • 2020
  • Recent studies focus on how open innovation strategies affect innovation in enterprises, but lack research related to the forms of openness. There is also a paradox that an entity should open up for open innovation but also protect its innovation. In this regard, the need for research on innovation protection has expanded. Therefore, this study looked at the effect of the form of openness on product innovation, and explore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 of openness and product innovation depends on the appropriation mechanism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Korean Innovation Survey(KIS), which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by the OEC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orms of open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innovation. Specifically, external search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exploitative innovation, and collaboration has show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exploratory innovation. Second, the appropriation mechanisms h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s of openness and product innovation. Specifically, it was shown that formal appropriation mechanism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search and product innovation, and that informal appropriation mechanism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on and exploratory innov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irst, this study has divided the forms of openness into external search and collaboration, unlike the existing method, and thus identified the type of product innovation and the appropriation mechanisms and forms of openness by identifying the impact on product innovation. Secon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ropriation mechanisms, it was identified that it had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forms of openness and the relationship of product innovation, so that depending on the type of openness and the type of product innovation, the type of appropriation mechanisms more suitable was identified.

A Study on the Product Innovativeness Affecting SCM Value Chain (공급사슬관리(SCM)의 가치사슬에 영향을 미치는 제품 혁신성에 관한 연구)

  • 김정태;박은미;장주병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442-448
    • /
    • 2002
  • 오늘날의 경영환경은 불완전할 뿐만 아니라 경쟁이 심화되어 기업간 경쟁의 범위를 벗어나 공급사슬간의 경쟁으로 옮겨가고 있으며, 정보기술관리과 eBusiness가 급격히 발전하면서 공급사슬관리(SCM)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경쟁전략과 공급사슬전략 그리고 제품 특성을 반영하여 공급사슬이 설계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의 특성을 수요 측면을 중심으로 혁신적 제품과 기능적 제품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제품의 혁신성을 측정하고, 제품의 혁신성이 공급사슬 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공급사슬관리(SCM)의사결정영역에서의 공급사슬관리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전략에서의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품의 혁신성이 공급사슬관리(SCM)의사결정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기업들에게 자사 제품에 대한 전략적 분석 필요성의 개념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제품특성, 제품 전략, 공급사슬 전략, 기업경쟁전략의 연계적 개념을 제공하고 자사의 공급사슬의 효율성과 반응성을 진단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Innovation Product Design Development by Four Design Thinking Action (혁신적 제품 디자인 개발 가능성)

  • Kang, Bum-Ky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12
    • /
    • pp.587-596
    • /
    • 2012
  • This research works has newly proposed ideation method for development of innovative product design by using four design thinking framework in the aesthetic issue, material issue, function & structure issue which are usually called three major design issues. The four design thinking framework is consisted of eliminate, reduce, raise and create. This research also analyzed 232 innovation products in order to verify the proposed ideation method. The main outpu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ideation method which was newly developed in this research can help to create new ideas for innovation product design. Second, 41% existed innovation product desig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ideation in the 'function & structure' issue. Three, 74% existed innovation product desig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aise & create' issue rather than 'eliminate & reduce' issu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help a designer who wants create new innovation product.

Exploring the Mediating Effect of Product Novelty of Business Ventur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벤처기업의 제품개발 전략 실행과 제품개발 성과간의 관계에서 제품 혁신성의 매개효과 검증)

  • Yoon, Hyunjoo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3 no.4
    • /
    • pp.23-34
    • /
    • 2018
  •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product inno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implementation and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of business ventures. The previous researches on product development has mainly focused on the role of venture firms' technological capabilities or that of entrepreneurship in product development. Although there are many important discussions related to the product development of business venture, a more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of product development is needed.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the R&D department on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To confirm the model of Day & Wensley(1988) that product novel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and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The research results of 703 Korean business ventures suggest that the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product development such as utilizing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R&D department are more effective for business ventures in terms of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Also product novelty was prove to be a mediator that intervene the relationships between implementation of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and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Those findings may provide implications for whom has inter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of business ventures. The differences in between new and existing product performance from the implementation strategy of product development may provide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who understand the process of product development.

The Impact of User Perception on Usage Inten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Attitude of Acceptance and Resistance - (기술제품에 대한 사용자 지각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수용적 태도와 저항의 매개적 역할을 중심으로 -)

  • Kim, Hyeon-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8.10b
    • /
    • pp.278-285
    • /
    • 2008
  • 기술발전에 따른 혁신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유용성과 편의성을 중심으로 그 수용 및 저항을 서로 다른 관점에서 보아왔다. 그러나 소비자 혹은 사용자들이 느끼는 혁신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태도와 평가는 수용하려는 측면과 저항하려는 측면이 동시에 작용하며 그 결과로서 사용의도 혹은 구매의도가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혁신제품 혹은 서비스가 갖는 다양한 속성을 기술수용모형(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에서의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 과 지각된 편의성 (Perceived Ease of Use) 개념을 사용자 지각에 기초하여 상대적 이점, 유용성, 편의성, 기술혁신성, 사용법의 변화 인식, 위험지각 등으로 구체화하고 각각의 개념이 수용적 태도와 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수용적 태도와 저항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동시에 분석 및 비교하였다.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중심으로 혁신제품에 대한 소비자 중심의 관리적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 PDF

The Impact of Design Innovation on Product Affinity and Intention to Buy -Bluetooth speaker focused on- (디자인 혁신성이 제품 호감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블루투스 스피커를 중점으로-)

  • Park, Junhong;Lee, Jun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1.05a
    • /
    • pp.597-599
    • /
    • 2021
  • As the number of successful business design innovation product cases increases, interest in design innovation is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design innovation (functionality, ergonomics, aesthetics) of Bluetooth speaker products affects the customer's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It proposes a research model through rational behavior theory (TRA)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for empirical research.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question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design innovation, favora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This is a study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success of design innovation products by examining how design innovation through research results affects customer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