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품지각

Search Result 397,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Perceived Value and Preference toward the Private Brand of the Discount Store (할인점 PB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적 가치와 선호도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 Kim, Chong-Eui;Han, Dong-Yeo;Kim, So-R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35-56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perception of consumer about the private brand and to investigate how the monetary utility of the private brand affects the consumer's preference. The main finding can be summarized in three points. The consumer's usage experience with PB have a positive but store image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perception of PB. The perceived quality and monetary utility of PB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perception while the perceived quality has stronger effect. The competitiveness of the national brand in the same store, post-usage attitude, the perceived quality, and perceived value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ference toward PB but monetary utility does not. The perceived effect has the strongest effect. This result suggests that even the value-seeking consumers prefer PB only when the perceived quality exceeds a certain limits. This study provides the strategic implications for retail managers and theoretical implication for the researcher studying PB.

  • PDF

Consumer Anxiety and Characteristics on Internet Shopping (인터넷 쇼핑에 대한 소비자 불안과 소비자 특성)

  • Yang,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161-116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쇼핑에서 소비자들이 구매결정으로 지연하고 불안해하는 원인을 제품군별로 기존의 지각된 위험과 더불어 새로운 쇼핑방식 이용에 따른 위험 그리고 소비자 특성 등과 관련지어서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인터넷 쇼핑 시 소비자가 지각하는 위험은 제품군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쇼핑경험이 없는 소비자들이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보다 위험을 더 높게 지각함으로써 더 불안해했다. 쇼핑빈도에 관해서는 제품군에 관계없이 쇼핑빈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지각된 위험이 감소하였다. 인터넷쇼핑을 경험한 집단과 무경험 집단을 판별해주는 소비자 특성변수로는 제품군에 관계없이 충동구매경향성과 의견선도로 나타났다. 소비자 특성과 불안 요소인 지각된 위험간의 관련성은 제품군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제품군별로 인터넷쇼핑 경험집단과 무경험 집단 간의 지각된 위험에서의 차이와 두 집단을 판별해주는 소비자 특성변수를 실증적으로 살펴봄으로서 인터넷쇼핑의 이용가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PDF

Research on a new type of Computer Market Failure Factors - Focusing on Consumer not Acceptance of Netbook - (새로운 유형의 컴퓨터의 시장실패 요인에 관한 구조적 연구 - 소비자의 넷북 미수용을 중심으로 -)

  • Kwon, Soon-Hong;Lim, Ya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405-40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존재하는 제품을 대체하고 보완하는 기능을 가진 새로운 유형의 컴퓨터가 시장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아 실패하는 요인을 연구하였다. 제품실패의 원인을 소비자가 제품의 가치를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에 두고, 가치 지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하여 얻게 되는 혜택과 제품을 사용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으로 구분하여 영향관계를 파악하였다. 넷북을 대상으로 실증 연구한 결과 소비자가 신제품의 가치에 대해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은 사용의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비자가 새로운 유형의 컴퓨터에 대해 지각하는 비용은 신제품의 가치를 부정적으로 지각하는데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소비자가 새로운 유형의 컴퓨터에 대해 혜택을 부정적으로 지각하더라도 이는 가치를 부정적으로 지각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A study on the usage intention of AI(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 Kwon, Soon-Hong;Lim, Yang-Whan;Kim, Hyun-Jeo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5 no.1
    • /
    • pp.199-206
    • /
    • 2020
  • In this study, the factors affecting consumers' intention to use AI speakers were focused on the perceived value of the product and the perceived necessity of the product. Factors affectationist consumers' perceived value of the product were divided into benefits and cost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technology products, I included perceptions of usefulness of product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consumers' perceptions of perceived benefits and usefulness of AI speaker products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 and perceived necessity. Perception of necessity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perception of value. Perception of necessity and perception of value had a positive(+) and positive effect on each intention of use. However, the cost perceived by consume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ption of value.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제품구매시 브랜드와 가격의 상대적 중요성 지각에 관한 연구

  • 전성률;허종호;강석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325-328
    • /
    • 2000
  • LG 경제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의하면, 국내 인터넷 쇼핑몰 시장이 2003년에는 1조 7000억원 규모를 상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인터넷 쇼핑 시장규모에 비해 아직까지도 소비자와 관련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인터넷 쇼핑과 관련된 자료를 보면 소비자들은 인터넷을 통한 제품구매 시 여전히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쇼핑에서의 지각된 위험에 대한 연구는 간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을 뿐이며, 이들 연구 역시 인터넷 쇼핑에서의 지각된 위험과 그 유형을 규명하는 데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 지각된 위험수준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행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위험수준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브랜드와 가격 의존도로 한정시켜 이들 요인들간의 상대적 중요성 지각을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에서 다룰 연구문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쇼핑몰에서 제품 구매시 제품유형과 인터넷 쇼핑몰의 명성 그리고 인터넷 쇼핑경험의 세 변수는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며, 탐색재와 경험재, 인터넷 쇼핑몰 명성의 정도 그리고 인터넷 쇼핑경험의 유무에 따라 어떤 차이점이 존재하는가\ulcorner 둘째,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의 수준과 브랜드와 가격의 상대적 중요성 지각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ulcorner 셋째, 브랜드와 가격의 상대적 중요성 지각정도에 두 매개변수인 제품 정보량과 제품 친숙도가 어떤 역할을 하는가\ulcorner 등이다.bition of severity of convulsions, decrease of seizures threshold, decrease of audiogenic seizures in rats of different strains and normalization of cerebral blood flow (measured by hydrogen test) were demonstrated in rats after i.c.v., intraperitoneally and orally administration, respectively. The antiepileptical effects by the combination of compounds from ginseng; were compared with the iuluence of Rg1, Rb1, Rc and with the well known antiepileptical drugs such as carbamazepine, valproic acid. The base for the research is obtained by using the WAG/Rij strain (Luijtelaar, Coenen, Kuznetcova), an excellent genetic model for human generalized absence epilepsy. The improving action of gensinosides was effectively demonstrated on the model of electrical kindling of amygdala of WA

  • PDF

The Impact of User Perception on Usage Inten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Attitude of Acceptance and Resistance - (기술제품에 대한 사용자 지각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수용적 태도와 저항의 매개적 역할을 중심으로 -)

  • Kim, Hyeon-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8.10b
    • /
    • pp.278-285
    • /
    • 2008
  • 기술발전에 따른 혁신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유용성과 편의성을 중심으로 그 수용 및 저항을 서로 다른 관점에서 보아왔다. 그러나 소비자 혹은 사용자들이 느끼는 혁신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태도와 평가는 수용하려는 측면과 저항하려는 측면이 동시에 작용하며 그 결과로서 사용의도 혹은 구매의도가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혁신제품 혹은 서비스가 갖는 다양한 속성을 기술수용모형(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에서의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 과 지각된 편의성 (Perceived Ease of Use) 개념을 사용자 지각에 기초하여 상대적 이점, 유용성, 편의성, 기술혁신성, 사용법의 변화 인식, 위험지각 등으로 구체화하고 각각의 개념이 수용적 태도와 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수용적 태도와 저항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동시에 분석 및 비교하였다.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중심으로 혁신제품에 대한 소비자 중심의 관리적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 PDF

The Influences of Charity and Negative Perception of Production on Purchase Intent toward Luxury brand: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Guilt Reduction (럭셔리 브랜드의 자선 연계와 생산방식의 부정적 지각이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죄책감 감소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Min, Dongw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6
    • /
    • pp.85-91
    • /
    • 2016
  • Recently, luxury research has been interested the basis of the effect of charity on luxury brand. Some of their results showed that guilt redu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is mechanism. Current research focuse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negative perception of production on the effect of charity and the moderated mediation of guilt reduction. An experiment using a well-known luxury brand is conducted. Results show that charity influences purchase intent toward luxury branded product positively and negative perception of production's main effect is negative. Charity x Production perception is significant. More importantly, moderated mediation of guilt reduction was significant, showing the mediated effect is greater when participants perceive the production negatively. Findings of this research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marketing of luxury brands, suggesting the new perspectives of ethic perception effect of production.

An Influence of Korean National Image on Japanese Consumer's Perceived Quality, Risk and Information Cost Saving: focused on Mediating Role of Brand Credibility (한국의 국가이미지가 일본소비자의 지각된 품질과 위험, 그리고 정보비용절약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신뢰성의 매개적 역할을 중심으로)

  • Kim, Jang Hyun;Bae, Il Hyun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5 no.1
    • /
    • pp.315-339
    • /
    • 2011
  • As the Korean economy grows, the brand value of Korean companies such as Samsung, LG and Hyundai Motor has been elevated greatly. Compared to the brand value of Korean companies, Korea's national image is very lowly ranked. In addition Korea's national brand is undervalued compared to economic volume.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 to enhance the Korea's national brand in Japanese Market through brand credibility.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ind that brand credibility is consist of expertise and trustworthiness in Japanese market. Second Korea national image positive impact on brand credibility. Third, brand credibility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quality and information cost saving. Finally, brand credibility negative impact on perceived risk. In conclusion, all hypothesis are significant. So these results are very useful to Korea government and Korean companies.

Study on the Innovation Acceptance Characteristics for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혁신수용특성에 대한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 수용의도에 대한 연구)

  • Suh, Hyun-Suk;Park, So-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9 no.4
    • /
    • pp.51-67
    • /
    • 2011
  • This research looks at the innovative product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properties, and personal attitudes as antecedents of consumer's perceived usefulness and easiness of product usage. And the attitudes toward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and its acceptability as consequences. The results indicate that relative advantage, expectation for better product, the social influence, mass communications, and attitudes toward the new technology, significantly influence the perceived usefulness. The current research revealed that perceived usefulness is more influential over perceived easiness on the formation of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product. The users of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put more weight on the availability of the product functions rather than easiness of use.

The Effect of Perceived Risks and Performance regarding Psychic Distance (심리적거리가 지각된 위험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Hwang, Hwa-cheol
    •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 /
    • v.7 no.2
    • /
    • pp.63-87
    • /
    • 2009
  • The conclusions shown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Despite the similarity of the objective distance caused by the geographic distance and cultural similarities. it is found that the psychic distance factor still exists. Secondly, a new affective factor of psychic distance has been noted. As to the shaping method, even though culture and psychic distance involve homeogenic factors, psychic distance is more complex in that it is affected not only by cultural changes but also by other affective factors. Culture is a very significant factor, which can have an effect on forming psychic distance, but it is short of being a measurement variable for measuring psychic distance. Thirdly, psychic distance can have a direct effect on customers' buying response. If it is just a belief shared among the people of a nation, it can't become an important no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