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품이미지

Search Result 792,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The Effect of Intrinsic Attributes of IoT Product on Brand Image and Customer Loyalty (IoT제품의 내재적 속성이 브랜드 이미지와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Peng, Tian;Chen, Xi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5
    • /
    • pp.61-68
    • /
    • 2022
  •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consumers' subjective perception on the quality loyalty of the Internet of things, explores academic innovation schemes, and puts forward business strategies for on-site optimization of the industry. The research methods use online survey methods for Chinese consumers who have used or bought Xiaomi IoT products. The results show that the inherent attributes of Internet of things products have an impact on brand image, and brand image has an impact on customer loyalty. Brand image shows complete media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yper-connectivity and customer loyalty of Internet of things products. For the enterprises that develop the Internet of things, obtaining the perceived brand image has a very important strategic significance in expanding the loyal customer base.

Development of Evaluatin Techniques of Personal Image and its Application (대인(Personal) 감성 이미지 평가 기법의 개발과 적용)

  • 황상민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2
    • /
    • pp.105-113
    • /
    • 1999
  • 특정 사람에 대해 느끼는 이미지 또는 특정 사람이 가지는 이미지를 어떻게 평가하고 나타낼 수 있을까\ulcorner 본 연구에서는 사람에 대해 가지는 이미지를 표준적인 감성 어휘 척도를 활용하여 모델이 가지는 감성이미지가 무엇인지를 비교평가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연구 대상으로는 국내 화장품 회사의 모델을 활용하였다. 4명의 모델을 전체와 부분 모습의 두 가지 형태로 제시하면서 각 인물이 가진 이미지를 평가하게 하였다. Personal 감성이미지를 평가하기 위해서 사람의 특성이나 이미지를 묘사하는 형용사 쌍 103개를 이용하였다. 모델 이미지에 대한 평가 반응은 요인분석을 통해 7개의 감성어휘 요인으로 나타났다. 우아한-천박한, 신선감-답답함, 편안함-불편함, 순수함-가식적인, 세련미-촌스러운, 진취성-보수성, 여성성-남성성, 4명의 모델들은 이 7가지 감성 이미지 요인에 따라 상호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인물 감성이미지는 감성적 어휘로 표현됨과 동시에 각 인물이 가진 고유하고 대표적인 personal image로 나타낼 수 있는가를 보여줄 수 있엇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감성이미지척도는 사람의 이미지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감성척도로 이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정 제품을 나타내는 모델이 일반인들에 어떤 이미지를 전달하는지 그리고 모델의 이미지와 제품이 지향하는 이미지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Evaluation Techniques of Personal Image and its Application (대인(Personal) 감성 이미지 평가 기법의 개발과 적용)

  • 황상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310-317
    • /
    • 1999
  • 특정 사람에 대해 느끼는 이미지 또는 특정 사람이 가지는 이미지를 어떻게 평가하고 나타낼 수 있을까\ulcorner 본 연구에서는 사람에 대해 가지는 이미지를 표준적인 감성 어휘 척도를 활용하여 모델이 가지는 감성이미지가 무엇인지를 비교평가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연구 대상으로는 국내 화장품 회사의 모델을 활용하였다. 4명의 모델을 전체와 부분 모습의 두가지 형태로 제시하면서 각 인물이 가진 이미지를 평가하게 하였다. Personal 감성이미지를 평가하기 위해서 사람의 특성이나 이미지를 묘사하는 형용사 쌍 103개를 이용하였다. 모델 이미지에 대한 평가 반응은 요인분석을 통해 7개의 감성 어휘 요인으로 나누어졌다. 4명의 모델들은 이 7가지 감성 이미지 요인에 따라 상호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인물 감성이미지는 감성적 어휘로 표현됨과 동시에 각 인물이 가진 고유하고 대표적인 personal image로 나타낼 수 있는가를 보여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감성이미지 척도는 사람의 이미지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감성척도로 이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정 제품을 나타내는 모델이 일반인들에 어떤 이미지를 전달하는지 그리고 모델의 이미지와 제품이 지향하는 이미지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The comparison of emotional brand image of the domestic mobile phones (국내 휴대폰 브랜드의 감성 이미지 비교)

  • Jeong, Sang-Hoo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3 no.3
    • /
    • pp.493-500
    • /
    • 2010
  •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and diversity in user needs lead mobile phone manufacturers to establish new strategie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for user attraction. Product identity, and brand image are major strategies for differentiation and adding new values to a product. This research starts with stating emotional brand image as the brand image made by the actual usage and the emotion built from the experience while using the product. This research will compare emotional brand image of the three major mobile phone manufactures in Korea (Brand A, C, and S) using evaluation of six representative emotions from users while using the product. The result of evaluating actual mobile phone users and the emotion built while actually using the product showed the brand image, and especially the emotional side of Korean mobile phone manufacturer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self would not be sufficient to simply state the emotional brand image of Korean mobile phone manufactures, but with further research including age, profession, gender and other demographic factor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ould surely be able to abstract a clearer view of emotional brand image of Korean mobile phone manufactures.

  • PDF

Study of the corporate image and product attitude in view of consumer percep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image accordance (사회적기업의 책임활동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기업이미지와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아이미지 일치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Jin, Yong-Sam;Lee, Jae Kwa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12
    • /
    • pp.7077-7092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at how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of a social enterprise affect their image and product attitude. In particular, separating into a real self-image and social self-image, the moderate effects of the accordance of self-image were tested. The results showed that eac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f a social enterprise affects their image except for social image. In addition, an accordance of the real self-image moderates the effect of the corporate activity image and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image on the product attitude.

The Product Color Effect on Product Color Preference, Product Image and Product Attitude (제품의 색채가 제품의 색채선호도, 이미지, 태도에 미치는 영향)

  • Jang, Nam-Seo;Kim, Sae-Bum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20 no.1 s.69
    • /
    • pp.79-88
    • /
    • 2007
  • A company's plan to reform its products' image cannot obtain expected results unless a color plan is included in the reformation plan. A color plan is essential since color conveys to customers much information on function, shape, and material quality of the product. In other words, color is the essential dimension or criteria that customers use when evaluating the quality of goods. Despite the importance of a color plan, companies in Korea are still behind in researching and receiving 'color information' compared to those in more advanced countrie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roducts color, many international companies constantly make their efforts to predict trendy colors and preferred styles of customers before they develop products. It is suggested that domestic companies invest more in color infrastructure to be more successful in making products which can catch the customers' eyes and emotion. Different life styles by age, income level, and gender would be only a few of many factors to be investigated to build color plans for a product. In this study, it is attempted to see the color tendency of young generation by gender, and also to analyze empirically the influence of product's color on its image and customers' behavior. The results a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cross tabul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using SPSS Win 12.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olor preference, product image and product attitude are influenced by product's color, and color is an important factor for forming additional emotional value together with the product's original functional value. Judging from the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a company undertake careful research before developing a product to find out how customers respond differently to products in different colors especially when the product belongs to the product category where color is considered to be a determinant factor in terms of choosing a brand.

  • PDF

The color development of cosmetics, suitable to the brand image (브랜드 이미지에 적합한 메이크업 제품의 색상개발)

  • 이진숙;신은영;송경석;신민경;신명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448-453
    • /
    • 1999
  • 본 연구는 메이크업 제품에 있어서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심리적 분석과 이를 통한 과학적인 색상개발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인 평가실험을 통해 이미지를 추출하여 브랜드가 추구하는 이미지를 설정한 후, 설정이미지에 부합된 메이크업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에는 다변량 해석방법이 적용되었으며, 분석결과에 따라 설정 이미지별 색채영역을 제시하였다.

  • PDF

The Influence on Congruency between Image Location, Regulatory Focus and Message in Digilog Product Evaluation (이미지배치, 조절초점, 메시지 일치성이 디지로그 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 Kwak, Jun Si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6
    • /
    • pp.613-621
    • /
    • 2017
  • Currently, there are many digilog products that combine convenience of digital product with feeling of analog produc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image location, regulatory focus, and message direction in digilog product evaluation. First, ad evaluation of digilog product is more favorable when regulatory focus and message direction is consistent. Especially, this effect is shown when image is located in the right side. Second, people evaluate digital product warmer when regulatory focus and message direction is consistent. This effect is stronger when image is located in the left side. Last, purchase intention is more favorable when regulatory focus and message direction is consistent. This effect is shown when image is located in the right side.

Automatic Crack Detection on Pressed Panels Using Camera Image Processing with Local Amplitude Mapping (카메라 이미지 처리를 통한 프레스 패널의 크랙결함 검출)

  • Lee, Chang Won;Jung, Hwee Kwon;Park, Gyuh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36 no.6
    • /
    • pp.451-459
    • /
    • 2016
  • Crack detection on panels during manufacturing process is an important step for ensuring the product quality.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traditional crack detection methods, which are performed by eye inspection, are dependent on human inspectors. Therefore, implementation of an on-line and precise crack detection is required during the panel pressing process. In this paper, a regular CCTV camera system is utilized to obtain images of panel products and an image process based crack detection technique is developed. This technique uses a comparison between the base image and a test image using an amplitude mapping of the local image. Experiments are performed in the laboratory and in the actual manufacturing line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techniqu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technique could be used to effectively detect a crack on panels with high speed.

A Study of feature-Extraction from the Specifically Intoned Product Design (제품의 특성추출을 통한 디자인 적용 방법에 관한 연구)

  • Jo, Gw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39-14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특정 목적을 가진 제품들의 특성들을 파악하여 디자인 개발시 이러한 특성들을 제품 컨셉 또는 디자인 형태에 응용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먼저 실험 대상을 설정하였고, 실험 대상을 선택한 후 실험 대상에 관한 기초 설문과 실험 대상 이미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실험 대상의 디자인과 기능적 요소를 추출하여 코딩하였다. 그리고 실험 대상의 이미지분석 후 얻은 요소와 실험 대상의 요소의 관계를 증명하였으며, 실험 대상의 특성 추출을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실험 프로세스를 거쳐 특정한 제품에 특성들을 추출함으로써 디자인 개발 시 소비자 니즈의 분석이 가능하며, 제품을 이해하는 기초 자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디자이너가 제품을 쉽게 이해하고 디자인 개발 시 컨셉 설정에 큰 기초가 된다. 본 연구의 MP3의 경우 MP3의 이미지 분석 결과 음악성, 확장성, 휴대성, 사용성, 신체 부담감, 인터페이스, 그리고 개성으로 나타났으며, 이들과 각각 연관된 특성들을 찾았다. 이로써 MP3를 디자인할 때 중요 특성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기초 연구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소비자 니즈 파악이 가능하고, 디자인 기초 학문 발전을 가져올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