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품기획능력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IT SMEs' Product Planning Capability and Manufacturing Capability in the Context of Digital Convergence: The Mediating Impacts of the Product Exterior and Interior Design Capabilities (디지털 융합 환경에서 IT 중소기업의 제품기획능력과 제조능력: 제품외부 및 내부 디자인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Hau, Yong Sau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12
    • /
    • pp.55-62
    • /
    • 2015
  • IT SMEs' product planning, product design, and manufacturing capabilities are of importance to creating their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s in the context of digital convergence. However, there have been few empirical studies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which has made this research attempt to model the relationships and empirically test them. Especially, this study divided IT SMEs' product design capability into the product exterior and interior design capabilities and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roduct exterior and interior design capabilities between the product planning and manufacturing capabilities. By analyzing the 310 samples of Korean IT SMEs with the ordinary least squares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has empirically revealed that IT SMEs' product exterior and interior design capability jointly and fully mediate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roduct planning and manufacturing capabilities.

A Study of the Home Appliance Contro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고령자의 생활가전제품 조작행동 특성에 관한 연구)

  • Lee, Ho-Soong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4 no.4
    • /
    • pp.617-626
    • /
    • 2011
  • Home appliance proposes the experience of new lifestyle to consumers, together with digital technology-applied highly advanced functions, beyond its natural quality like the basic function of reducing the burden of housework. However,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that populations are rapidly aging, the number of elderly consumers, who feel it inconvenient to smoothly use even the basic function of home appliance, is increasing in proportion to populations. Therefore, the necessity for developing home appliance with improved usa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elderly is rising up. This study analyzed the elderly's pattern of using home appliance and illustrated the procedure of their using home appliance, putting its focus on the home appliance that the elderly highly depend on in keeping their daily life and that they feel it inconvenient to control. And based on the illustrated procedure, this paper substituted various kinds of home appliance that were not surveyed by this study and found out 4 user behavioral models for home appliance. Same as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product designs, which are convenient to use by the elderly whose physical functions are reduced, are expected acceptable to various user classes. The found user behavioral models purport to give references to design process for product planning and design solutions.

  • PDF

Worksheet Input System for 2D Fashion Design (2D 패션디자인을 위한 Worksheet 작성 시스템)

  • Cho, Young-Hee;Lee, Hyae-Jung;Han, Sung-Kook;Lee, Yong-Ju;Jung, Sung-Tae;Joung, Suck-Te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v.9 no.2
    • /
    • pp.649-653
    • /
    • 2005
  • 패션 의류업계에서 기획의도의 명확한 전달을 위해 제품 사양서, 생산의뢰서, 생산 지시서, 제조지시서 등으로 불리는 작업지시서를 사용하고 있다. 명확한 작업을 지시하기 위해서는 소재, 제조방법, 제조규격, 불량사례 그리고 생산 공장의 작업능력을 등 다양한 정보를 기초로 작업지시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오프라인 작업지시서와 달리 손으로 직접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접목한 디자인과 작업지시서 작성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따라서 본 시스템의 특징은 사용하기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부지시사항을 위한 도구 지원과 보다 정확하고 쉬운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하며 기존 저장 데이터의 활용, 편리한 치수기입 등을 제공한다.

  • PDF

품질경쟁력 평가모형에서 제품 디자인의 인과관계와 디자인 경영에 관한 실증적 분석 : 한국 제조업 부문을 중심으로

  • 임채숙;임양택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4.06a
    • /
    • pp.170-213
    • /
    • 2004
  • 생산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의 경영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이제 디자인 경영(design management)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즉, 제반 기능의 활동이 독립적이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기존 경영방식(즉, 제품 개발 $\rightarrow$ 제품 디자인 $\rightarrow$ 제조 $\rightarrow$ 마케팅 $\rightarrow$ 판매)과는 달리, 디자인 경영은 디자인을 중심으로 제반 기능간의 통합과 조정을 이룬다. 이 결과, 디자인 경영은 조직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며 소비자의 추상적인 욕구가 구체적으로 상품에 표현되도록 노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디자인 경영은 기업 이미지 창조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소비자 중심의 경영은 과거 제품의 판매(sales)지향적이던 기업 활동을 소비자와의 관계(relationship)지향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목적은 제품 디자인을 품질경쟁력의 결정요인으로서 포함시켜 품질경쟁력의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품질경쟁력의 결정요인 및 상관관계와 품질함수를 추정함으로써 제품 디자인 및 디자인 경영의 기능적 역할을 규명하고 디자인 경쟁력 수준을 평가 및 측정할 수 있는 모형을 정립함과 동시에 이를 제고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로써, 본 연구는 신상품의 개발과정에서 어떻게 제품 디자인이 연구개발, 제조, 마아케팅, 판매 등의 제반 기능들과 상호 작용하며 이들 기능들의 통합과 조정을 추구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디자인 경영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와 같은 연구목적과 분석목표를 위하여, 한국 제조업 부문의 400개 표본기업에 대하여 소정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추출된 측정변수들을 기초로 품질경쟁력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품질경쟁력 지수를 도출하여 산업부문별 및 제품유형별로 비교하였으며, 품질함수를 추정하였다. 전술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디자인 경영이론의 기초를 제공하기 위한 시도로서 제품 디자인의 파급효과와 인과관계에 대한 가설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품질경쟁력의 결정요인으로서 주요 제품들의 기능성, 기본 성능, 제품성과의 기술적 성취도, 제품 수명(내구성), 신뢰성, 핵심 기술력, 사용 편의성, 서비스 편의성, 생산 용이성, 제품 디자인의 우수한 정도가 a=0.01 수준 하에서 유의적으로 추정되었다. 이들 변수들 중에서 품질경쟁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측정변수는 제품의 기본 성능, 수명(내구성), 신뢰성, 제품 디자인의 순서로 추정되었다. 이것은 한국 제조업이 아직 산업 디자인이 품질경쟁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성숙단계에 이르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2) 제품 디자인에게 영향을 끼치는 유의적인 변수는 연구개발력, 연구개발투자 수준, 혁신활동 수준(5S, TPM, 6Sigma 운동, QC 등)이며, 제품 디자인은 우선 품질경쟁력을 높여 간접적으로 고객만족과 고객 충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상기의 분석결과로부터,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신상품 개발과 혁신을 위한 포괄적인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품질 경쟁력의 주요 결정요인(제품의 기본성능, 신뢰성, 수명(내구성) 및 제품 디자인)과 연계하여 추진해야 할 것이다. 둘째, 기업은 디자인 경영 마인드 제고와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을, 대학은 디자인 현장 업무를 통하여 창의력 증진과 기획 및 마케팅 능력 교육을, 정부는 디자인 기술개발 및 디자인 교육지원의 강화를 통하여 각각 디자인 경쟁력$\rightarrow$품질경쟁력을 제고시켜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f the image integration of Product in the digital age (디지털 시대의 제품 이미지 통합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김기수;정병로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2 no.4
    • /
    • pp.89-98
    • /
    • 1999
  • The application of tool which has grown rapidly by the age was used for the product development, however as today the computer digitalization has been fixed to the necessary process in every factory-made mass production, making the sensitive desire of designer the digitalization through systematic, rational information database building from the planning level of product to the final mass production in such a environment change. It should satisfy a variety of needs of consumer. The enterprise that hopes to get a winner in the present age brought in computer with useful tool to process information efficiently. The computer has displayed much more excellent computation ability than human to come up to their expectation and the growth of electronic technology was possible to make the computer's high-efficiency, economy and integration. No matter what we have a good economy and integration. No matter what we have a good information there is no meaning unless we are able to use it' so we should take it out by the our need. Therefore, this paper observes a future-oriented possibility of computer & Telecommunication in information society, information-oriented design environment and the trends of minimal and integrated computer. We will improve the designer's ability to develop a novel product that have the diversification of them using application, aiming at computer utilization and image identification design strategy of product in the age of network telecommunication.

  • PDF

Spray Visualization Using Laser Diagnostics (레이저를 이용한 분무 가시화)

  • 윤영빈
    • 한국가시화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4a
    • /
    • pp.87-112
    • /
    • 2005
  • 분무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노즐의 설계와 개발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연소 시스템 전반의 효율 및 불안정성의 제거, 공해 저감 등의 요구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이를 위해 이전에는 분무장 내에 수집관을 삽입하는 기계적 패터네이터(Mechanical Patternator)와 같은 삽입식 측정 방식을 이용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고속카메라, Malvern particle analyzer, PDPA, 광학 패터네이터(Optical Patternator)와 같은 분무장을 교란시키지 않으면서도 빠른 측정이 가능한 가시화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광학 패터네이터는 레이저 평면광을 이용하여 분무를 측정하는 비삽입식 기술로 단시간 내에 분무장 내 액체 연료의 질량 및 액적 크기의 단면 분포를 동시에 얻어낼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분무 액적들의 수밀도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이들 액적에 의한 입사광 및 신호 감쇠, 다중산란 등에 의한 오차가 심하게 발생하여, 기존의 PDPA, PLIF 등의 광학 기법으로는 충분히 신뢰할 만한 결과를 얻기가 어렵게 된다. 이러한 분무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입사광의 감쇠뿐만 아니라 분무장 내 액적들에 의한 신호의 감쇠 과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주면 액적들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레이저 평면광을 사용하는 광학 패터네이터와 달리 레이저 광선을 분무장에 조사하여 고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중 산란에 의한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하는 광학 선형 패터네이터(Optical Line Patternator)를 이용하여 기존 레이저 계측기법으로 측정이 곤란하였던 고압 환경 하에서의 스월 동축형 인젝터의 분무 특성을 해석할 수가 있다. 2015(년도) 6,388, 2025(년도) 13,367, 2035(년도) 18,756, 2045(년도) 22,595, 시장점유율 증가로 인한 수출액 증가분 누적(억원) : 2015(년도) 3,411, 2025(년도) 8,847, 2035(년도) 14,433, 2045(년도) 18,005 또한 시나리오 비교평가를 실시하여 본 결과, 본 연구에서 정의한 순편익 누적(Cumulative Net Profit) 변수를 적용하면 현재 연구비 추세 대비 $30\%$ 까지 연구비를 증가 시키는 것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성, 생산 용이성, 제품 디자인의 우수한 정도가 a=0.01 수준 하에서 유의적으로 추정되었다. 이들 변수들 중에서 품질경쟁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측정변수는 제품의 기본 성능, 수명(내구성), 신뢰성, 제품 디자인의 순서로 추정되었다. 이것은 한국 제조업이 아직 산업 디자인이 품질경쟁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성숙단계에 이르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2) 제품 디자인에게 영향을 끼치는 유의적인 변수는 연구개발력, 연구개발투자 수준, 혁신활동 수준(5S, TPM, 6Sigma 운동, QC 등)이며, 제품 디자인은 우선 품질경쟁력을 높여 간접적으로 고객만족과 고객 충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상기의 분석결과로부터,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신상품 개발과 혁신을 위한 포괄적인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품질 경쟁력의 주요 결정요인(제품의 기본성능, 신뢰성, 수명(내구성) 및 제품 디자인)과 연계하여 추진해야 할 것이다. 둘째, 기업은 디자인 경영 마인드 제고와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을, 대학은 디자인 현장 업무를 통하여 창의력 증진과 기획 및 마케팅 능력 교육을, 정부는 디자

  • PDF

Genetic Diversity of Rana catesbiana Captured on various sites in Korea based on mitochondrial ND1 sequence (미토콘드리아 ND1 유전자 염기서열 비교를 통한 국내 서식 황소개구리의 유전적 다양성 조사)

  • Lee Ji-Young;Shim Jae-Man;Joung Insi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5.05a
    • /
    • pp.297-300
    • /
    • 2005
  • 1970년대 식용을 위한 양식을 목적으로 일본에서 수입된 황소개구리가 국내 하천과 호서생태계에 큰 피해를 주었으나, 최근 급속히 그 개체수가 줄어든 것으로 추정되므로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에 서식하는 북미산 황소개구리의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개체동태군에 대한 유전적 연관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라남도 지역에서 서식하는 황소개구리를 채집하여 이미 발표된 북미산 황소개구리와 미토콘드리아 ND1/tRNA 유전자 1215bp의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하였다. 북미산과 비교하였을 때 조사한 국내 서식 개체 모두에게 ND1/tRNA 유전자 1개 위치에서 염기변화가 발견되었으나 이는 도입 개체군의 유전자인지 국내 특이변이가 진행된 것인지 확실하지 않다. 또한 조사한 개체 일부에서 유전자 염기서열의 6위치에서의 변이가 발견되었으나 국내 서식 황소개구리는 미국산 황소개구리와의 유전적 차이가 거의 없으며, Kimura-2-parameter 분석결과 국내 서식 황소개구리 개체 내에서 $98.7\%\~100\%$의 높은 유사성을 보여 종내 유전적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Neighbor-Joining과 Maximum Parsimony 분석 결과, cluster를 이루는 개체군의 차이를 보였으므로 개체들이 분화되어 나온 시점과 위치가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장흥, 영암, 고흥의 개체가 국내 도입시기의 개체군에 속하며 광주, 남평 지역의 개체군이 고흥의 한 개체로부터 분화되어 나왔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국내에 서식하는 황소개구리가 도입 후 지역 특이적 분화가 일어났다고 결정하기는 무리가 있으며, 이와 같이 유전적 유전도가 높은 개체들간의 교배에 따른 유전적유전적 다양성의 감소가 최근에 관찰되는 국내산 황소개구리의 급격한 감소원인들 중의 하나일 가능성을 시사한다.년도) 18,756, 2045(년도) 22,595, 시장점유율 증가로 인한 수출액 증가분 누적(억원) : 2015(년도) 3,411, 2025(년도) 8,847, 2035(년도) 14,433, 2045(년도) 18,005 또한 시나리오 비교평가를 실시하여 본 결과, 본 연구에서 정의한 순편익 누적(Cumulative Net Profit) 변수를 적용하면 현재 연구비 추세 대비 $30\%$ 까지 연구비를 증가 시키는 것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성, 생산 용이성, 제품 디자인의 우수한 정도가 a=0.01 수준 하에서 유의적으로 추정되었다. 이들 변수들 중에서 품질경쟁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측정변수는 제품의 기본 성능, 수명(내구성), 신뢰성, 제품 디자인의 순서로 추정되었다. 이것은 한국 제조업이 아직 산업 디자인이 품질경쟁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성숙단계에 이르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2) 제품 디자인에게 영향을 끼치는 유의적인 변수는 연구개발력, 연구개발투자 수준, 혁신활동 수준(5S, TPM, 6Sigma 운동, QC 등)이며, 제품 디자인은 우선 품질경쟁력을 높여 간접적으로 고객만족과 고객 충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상기의 분석결과로부터,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신상품 개발과 혁신을 위한 포괄적인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품질 경쟁력의 주요 결정요인(제품의 기본성능, 신뢰성, 수명(내구성) 및 제품 디자인)과 연계하여 추진해야 할 것이다. 둘째, 기업은 디자인 경영 마인드 제고와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을, 대학은 디자인 현장 업무를 통하여 창의력 증진과 기획 및 마케팅 능력 교육을, 정부는 디자인 기술개발 및 디자인 교육지원의 강화를 통하여 각각 디자인 경쟁력$\rightarrow$품질경쟁력을 제고시켜야 할 것이

  • PDF

Boosted DNA Computing for Evolutionary Graphical Structure Learning (진화하는 그래프 구조 학습을 위한 부스티드 DNA 컴퓨팅)

  • Seok Ho-Sik;Zhang Byo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265-267
    • /
    • 2005
  • DNA 컴퓨팅은 분자 수준(molecular level)에서 연산을 수행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실리콘 기반의 컴퓨터에서와는 달리, 순차적인 연산 제어를 보장하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DNA 컴퓨팅은 화학반응에 기초한 연산이기 때문에, 실험자가 의도한 연산을 많은 수의 분자에 동시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실리콘 기반의 컴퓨터와는 비교할 수 없는 병렬 연산을 구현할 수 있다. 병렬 연산을 구현하고자 할 때, 일반적으로 연산에 사용하는 모든 DNA 분자들을 대상으로 연산을 구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체가 아닌 일부의 분자들을 상대로 연산을 수행하는 것 역시 가능하며 이 때 자연스러운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배깅(Bagging)이나 부스팅(Boosting)과 같은 앙상블(ensemble) 계열의 학습 방법이다. 일반적인 부스팅과 달리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학습자(learner)를 나타내는 분자들을 증폭한다면 가중치를 분자의 양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분자 수준에서 앙상블 계열의 학습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앙상블 계열의 학습 방법 중 특히 부스팅의 효과를 DNA 컴퓨팅에 응용하고자 할 때, 어떤 방법이 가능하며, 표현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고려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규모를 사전에 한정할 수 없는 진화 가능한 그래프 구조(evolutionary graph structure)를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진화 가능한 그래프 구조는 기존의 DNA 컴퓨팅 방법으로는 학습할 수 없는 문제이다. 그러나 조합 가능한 수를 사전에 정의할 수 없기 때문에 분자의 수에 상관없이 동일한 연산 시간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DNA 컴퓨팅의 장정을 가장 잘 발휘할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개별 태스크의 특성에 따른 성능 조절과 태스크의 변화에 따른 빠른 반응을 자랑으로 한다. 본 논문에선 TIB 알고리즘을 리눅스 커널에 구현하여 성능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기존 인터벌 기반의 알고리즘들에 비해 좋은 전력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과는 한식 외식업체들이 고객들의 재구매 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한식 외식업체의 서비스요인, 식음료요인, 이벤트 요인 등을 강화함으로써 전반적인 종사원 서비스 품질과 식음료품질을 높이는 전략을 취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본 연구는 대구 경북소재 한식 외식업체만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실시하여 연구의 일반화와 한식 외식업체를 이용하는 이용 고객들이 한식 외식업체를 재방문하는 재구매 의도가 발생하는데 있어 발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종단적 연구를 실시하지 못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아직 산업 디자인이 품질경쟁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성숙단계에 이르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2) 제품 디자인에게 영향을 끼치는 유의적인 변수는 연구개발력, 연구개발투자 수준, 혁신활동 수준(5S, TPM, 6Sigma 운동, QC 등)이며, 제품 디자인은 우선 품질경쟁력을 높여 간접적으로 고객만족과 고객 충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상기의 분석결과로부터,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신상품 개발과 혁신을 위한 포괄적인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품질 경쟁력의 주요 결정요인(제품의 기본성능, 신뢰성, 수명(내구성) 및 제품 디자인)과 연계하여 추진해야 할 것이다. 둘째, 기업은 디자인 경영 마인드 제고와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을, 대학은 디자인 현장 업무를 통하여 창의력 증진과 기획 및 마케팅 능력 교육을, 정부는 디자인 기술개발 및 디자인 교육지원의 강화를 통하여 각각 디자인 경쟁력$\righta

  • PDF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y Development Activities Among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he Capability of Technology Innovation and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Focused on ICT Technology New Ventures (기술개발활동의 기업가적 지향성, 기술혁신역량과 기술사업화 성과와의 관계에서 조절적 효과 분석: ICT 창업기업을 중심으로)

  • Kim, Chang-Bong;Bae, Keun-Su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6 no.5
    • /
    • pp.31-4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y development activi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ies and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innovation and initiative among the sub-factor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he more positive the technical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and product completion. Among the sub-factor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risk-taking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product comple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and technology convergence capability, the higher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y development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technology development management ability, a sub-factor of technology development activities, controls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and risk sensitivity and technology performa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involvement in technology development planning controls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convergence capability and technology performance among sub-factors of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made three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the achievement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o achieve the superiority of corporate competition depend on progressive innovation and risk-taking based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buil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from within the organization. Second, due to the nature of the ICT industry, which has a fast pac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changes in market acceptanc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will be positive when the capabilities, technology, knowledge, and resources that can quickly lead to product production can be organically linked. Finally, corporate CEOs need to further promote innovation and risk-taking through phased and continuous research activities for technology develop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rporate culture that tolerates various strategies and failures so that understanding of technology convergence can lead to technological performance.

Success Strategy of Yuhan-Kimberly's Huggies Magic Panty through Product Repositioning (제품 리포지셔닝을 통한 유한킴벌리 <하기스 매직팬티>의 성공전략)

  • Park, Heung Soo;Choi, Sun-Mi;Kang, Seong Ho;Kwon, Gae Eun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1 no.3
    • /
    • pp.185-203
    • /
    • 2009
  • Yuhan Kimberly, a joint-venture company of Korean Yuhan Company and American Kimberly-Clark, opened a premium diaper market in Korea by launching Pull-Ups which was pants-typed diapers in 1993. Pull-Ups was imported as finished goods from Kimberly-Clark. However, in spite of its huge market share in United States, it failed to land down in Korean market because of wrong positioning strategy which did not consider domestic customers' tastes. In 1996, Yuhan-Kimberly brought out a pants-typed diaper, Huggies-Toddler, to Korean market again. This paved the way for the combination of Kimberly-Clark's production power and Yuhan-Kimberly's marketing power and led to launch new product superior to Pull-Ups. However, this product was unsuccessful in the market because of wrong positioning which did not catch domestic customer's life styles such as cultural, environmental and habitual differences in toilet training, the cost increase coming from IMF crisis in Korea, weak trust within the company, weak trust within the company, and too much higher price than regular diapers. In 2005, Yuhan-Kimberly redeveloped new pants market business strategy. It was organically combined with winning product development plan, winning communication strategy and the market structure change through the pants market creation. Customer's habit, usage and attitude were studied with total 55 times market investigations. Also, all processes from planning to designing were executed in the customer's view by investigating product research, positioning research and advertisement research. Yuhan-Kimberly repositioned new product as a wearing diaper not as a toilet training diaper and launched Huggies Magic Panty as a premium product which had 25% higher price than previous Huggies. Huggies Magic Panty was recognized as a great hit product in domestic diaper market and the sales recorded 37.6 bill won in 2006, 57.2 bill won in 2007, and 90 bill won in 2008 since launching in 2005. The reason of Huggies Magic Panty's success was the repositioning strategy deduced from the precise check of customer's usage habit. It was the winning strategy of Huggies that were market investigation in order to survive in domestic baby goods market where a lot of companies struggled intensively, the exact positioning based on its market investigation and aggressive 360 degree communication strategy to give customers impressions efficient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