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주 연해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25초

제주 표선유역의 지하수 개발을 고려한 수문성분해석 (Analysis on the Hydrologic Components Considering Groundwater Development of the Pyoseon Watershed in Jeju Island)

  • 김남원;정일문;나한나;유상연;양성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2021-2025
    • /
    • 2010
  • 우리나라 대표적인 도서지역인 제주도는 대부분의 하천이 평상시 건천의 형태로 유지되며, 일정한 강우가 도달해야만 지표유출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하천특성은 내륙과 매우 상이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역 수문해석 방법으로는 정확한 수문성분의 산정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완전연동형 지표수-지하수 결합모형인 SWAT-MODFLOW을 이용하여 지표수 유출성분과 지하수 유동변화 및 지하수 개발까지 고려한 제주 표선유역의 통합수문성분 해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SWAT-MODFLOW에 포함된 양수모듈(MODFLOW의 well package 와 SWAT의 물이동 옵션 결합)을 이용하여 198개의 현 양수정 자료를 모의하였고, 현재 양수량, 현재양수량의 10배, 20배로 증대시켜 가며 수문성분 변화를 살펴보았다. 양수를 통해 지하수를 개발하여 사용하면 실질적으로 기저유출량의 감소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영향은 상류부 보다는 하류부에서 크게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제주도 지형적인 특성상 자연적으로 대수층으로 함양된 지하수가 대부분 바다로 유출, 손실되고 있으나 지하수를 양수할 경우, 손실량의 일부는 지하수 개발을 통해 효과적으로 사용됨으로써 제주 수자원의 추가 수자원확보량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제주도에서 출현한 농어목 어류의 3 미기록종 (New Record of Three Percoids (Pisces: Perciformes) from Cheju Island, Korea)

  • 윤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60-267
    • /
    • 1998
  • 1996년부터 1998년까지 매년 7월에 1주일 동안 제주도 주변에서 출현하는 어류를 채집, 동정한 결과, 농어목 어류의 한국산 3미기록종이 출현하였다. 실꼬리돔과의 Nemipterus bathybius Snyder, 1911(국명신칭: 긴실꼬리돔)는 뒷지느러미 연조가 7개이며, 꼬리지느러미의 최상단 연조가 사상으로 길게 뻗은 특징으로 구분된다. Family Cirrhitidae(국명신청: 황붉돔과)의 Cirrhitichthys aureus (Temminck et Schlegel, 1842)(국명신청: 황붉돔)는 체 측상단부에 5~6개의 연한 흑색 반점들이 산재되어있고, 둥지느러미 연조가 12개인 점 및 등지느러미에 반점이나 반문이 없는 특징으로 구분된다. 또한 양동미리과의 Parapercis aurantiaca Doderlein, 1884(국명신칭 : 황쌍동가리)는 결각없이 등지느러미의 극조부와 연조부가 연결된 점과 체측부에 눈 크기와 비슷한 짙은 황색반문이 5~6개 있는 특징에 의하여 구분된다.

  • PDF

AR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제주도 효돈천 유역의 수문학적 영향 전망 (Estimation of irrigation water need with climate change in Jeju Island)

  • 김철겸;김남원;조재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362-36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서귀포시에 위치한 효돈천 유역(유역면적 $52km^2$)을 대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미래의 수문학적 변화를 전망하였다. 대표적 유역모형인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을 기반으로, 제주도 지역의 독특한 유출 특성을 잘 모의할 수 있도록 한계유출모의기법(Chung et al., 2011)과 간헐하천 모의기법(Kim et al., 2013)을 적용하였다. 기후변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어 특정 기후모델 적용에 따른 불확실성을 피하기 위해 IPCC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제시하는 대순환모델 (General Circulation Model, GCM) 중 SWAT 모형의 기상입력자료(강수량, 온도, 상대습도, 풍속, 일사량)를 모두 제공하는 9개 GCM을 선정하고, 2개 기후변화 시나리오(RCP 4.5, 8.5)에 따른 미래 전망자료를 SWAT 모형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였다. 과거기간(1992~2013년)에 대해 SWAT 모의결과로부터 분석한 효돈천 유역의 평균 연 강수량은 2,694 mm, 증발산량은 642 mm, 유출량은 534 mm, 지하수 함양량은 1,521 mm로서, 강수량 대비 유출률은 약 19%로 나타났다. 9개 GCM 자료로부터 미래의 수문변화를 기간별(2010~2039, 2040~2069, 2070~2099)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연 강수량, 증발산량, 유출량, 함양량, 유출률 모두 미래 후반기로 갈수록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RCP 8.5에서 상대적으로 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과거기간 대비 강수량은 최대 24%, 증발산량 18%, 유출량 52%, 함양량 16%까지 증가가 예상되었다. 월별로는 8월과 9월의 강수량 증가로 인해 유출량과 함양량도 같이 8월과 9월에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증발산량은 1월에서 8월까지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9월~12월에는 약간의 감소 또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GCM 자료에 따른 결과를 보면 증발산량은 월별 차이가 크지 않으나, 강수량을 비롯하여 유출량과 함양량은 여름철을 중심으로 GCM에 따른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 PDF

제주 올레길이 인근토지가격상승율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제주 올레7코스를 대상으로 (Research into the Effect of Jeju Olle Tails on Nearby Land Prices using Feasirable Generalized Least Squares)

  • 이동원;정수연
    • 부동산연구
    • /
    • 제24권1호
    • /
    • pp.63-76
    • /
    • 2014
  • 본 연구는 제주 올레 트레킹코스의 개발이 인근 토지의 지가상승에 미친 영향을 FGLS(Feasiable Generalized Least Square)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로는 제주올레 7코스 주변의 2010년 개별공시지가자료를 사용하였는데, GI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주올레7코스로부터 각 필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설명변수로 사용하였고, 그 외 다양한 토지가격영향요인들을 설명변수로서 고려하였다. 종속변수로는 2002년과 2010년 사이 토지가격변화율을 사용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고속도로, 지하철 등 교통시설의 개발이 주변 토지가격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반면,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트레킹코스의 개발이 주변 토지가격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올레7코스의 개발은 인근의 토지시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올레7코스로부터 1미터 멀어질수록 토지가격 상승률이 0.03%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속도로나 지하철과 같은 교통시설의 건설만이 부동산시장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제주올레와 같은 트레킹코스의 개발도 인근의 부동산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인공지능 모델의 지하수위 모의결과 적절성 판단을 위한 허용가능 예측오차 범위 제안 (Proposal of allowable prediction error range for judging the adequacy of groundwater level simulation resul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 신문주;류호윤;강수연;이정한;강경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49-449
    • /
    • 2022
  • 제주도는 용수의 대부분을 지하수에 의존하므로 지하수위의 예측 및 관리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제주도의 지층은 화산활동에 의한 현무암이 겹겹이 쌓여있는 형태를 나타내며 육지의 지층구조와 매우 다른 복잡한 형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제주도 지하수위의 예측은 매우 난해하며, 최근에는 딥러닝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하여 지하수위를 예측하는 연구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인공지능 모델들이 지하수위를 적절히 예측한다고 보고하고 있으나 예측의 적절성에 대한 판단기준을 제시하지 못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명확한 제시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지하수위 예측오차가 허용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함에 있다. 이를 위해 전 세계의 과거 20년 동안 관련 연구결과들을 수집 및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인공지능 모델의 지하수위 예측오차는 지하수위 변동성이 큰 지역일수록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지하수위의 변동형태가 크고 복잡할수록 인공지능 모델의 지하수위 예측성능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관계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지하수위 최대변동폭과 평균제곱근오차 및 최대오차와의 관계를 선형회귀식으로 도출하여 허용가능한 예측오차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한 Nash-Sutcliffe 효율성지수와 결정계수를 분석하여 선형회귀식에 의한 기준을 보완할 수 있는 추가적인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인공지능 모델에 의한 지하수위 예측결과의 적절성 판단기준은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인공지능 예측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기획시리즈 - 조경수의 병해충 - 구실잣밤나무를 가해하는 해충 -

  • 최광식
    • 조경수
    • /
    • 통권119호
    • /
    • pp.12-14
    • /
    • 2010
  • 제주도, 완도 등 남부해안 지역의 표고 200~700m의 해변과 산록에서 자생하는 상록활엽교목으로 수고 15m, 직경 1m에 달하는 나무로 잎 표면은 녹색의 윤채가 있고, 뒷면은 연한 연갈색의 인모가 있어 관상학적으로 우수한 수종이다. 따라서 남해안 지역에서 가로수 및 정원수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며, 병해충에도 비교적 강한 수종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가을과 겨울에는 혼자만이 꿋꿋이 녹색을 띠면서 적막한 해안도로의 거리를 조금이나마 부드럽고 훈훈하며 따뜻한 느낌을 주는 나무이다. 이러한 구실잣밤나무가 다량으로 식재된 까닭에 최근 구실잣밤나무를 가해하는 해충들이 많이 발생하여 방제에 도움을 주고자 주요해충에 대한 생태 및 방제법을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육지-제주간 초고압직류연계선로 제어용 해저광통신케이블 도입사례 (The cases of applying submarine optical fiber cable to control HVDC link between JEJU and main land)

  • 유승환;유동희;홍승택;신현조;주재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400-402
    • /
    • 2008
  • 제주도의 지속적인 전력수요 증가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자 육지-제주간 초고압 직류연계(HVDC) 추가 건설사업이 추진 중에 있다. 초고압 직류 송전계통을 신뢰성 있게 운전하기 위해 양측 변환소에 설치될 제어 및 감시계통간 정보전송로의 화보는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품질, 대용량화 되어가는 전력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고 해저케이블 고장감시 및 향후 정보 통신 분야의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최적의 해저광통신케이블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화산도서지역에서의 장기 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ong-Term Runoff analysis in Volcano Island)

  • 이남훈;이효정;김동필;안승섭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38-1241
    • /
    • 2010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화산도서지역인 제주도는 연 평균 강우량이 1,975mm로 우리나라 최대 다우지역이며, 투수성이 좋은 다공질 화산암류 및 화산회토로 이루어져 있어 지하수 함양율이 총 강우량의 48.5%로 국내에서 가장 높은 수문지질 여건을 지니고 있다. 또한, 강우 후에는 143개의 하천 중 6개의 하천을 제외한 나머지 하천에서 내륙과 달리 평상시 건천의 형태로 유지되고 있으며, 지표수의 발달이 매우 빈약하다. 이러한 연유로 인해 제주도는 수자원의 대부분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표수의 개발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제주도는 지하수와 관련된 연구는 부분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제주도 하천에 대한 유량 관측과 수문모델을 적용하여 유출량을 산정하는 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 강우-유출 모형인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상시 유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제주도 서귀포 유역에 포함되는 예례천, 궁산천, 영천을 선정하였으며, SWAT 모형의 입력자료인 기상자료와 지형자료(DEM, Land Use, Soil Type)를 구축하여 직접유출량 및 실제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2002. 01. 01~2008. 12. 31) 각 년도별 평균 직접유출량 및 평균 실제증발산량 산정 결과 예례천 유역은 570.14mm, 444.15mm로 나타났으며, 궁산천은 570.51mm, 585.41mm이며, 영천은 444.15mm, 602.51mm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는 장기 일 유출량 모의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 많은 유출량 자료를 확보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 비교 검정한다면 제주도 하천의 장기 일 유출량 모의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제주도의 유역 전반의 통합 관리 측면에서 뛰어난 적용성과 폭 넓게 활용함으로써 우수한 연구 결과를 도출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상피낭종을 동반한 신장의 상피모양 혈관근지방종: 두 희귀 질환의 조합에 대한 증례 보고 (Renal Epithelioid Angiomyolipoma with Epithelial Cysts Mimicking Cystic Renal Cell Carcinoma: A Case Report of Combination of Two Rare Entities)

  • 이상훈;이정섭;김정재;고수연;이경렬;황임경;현창림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5호
    • /
    • pp.1109-1115
    • /
    • 2022
  • 신장의 혈관근지방종은 전형적으로 고형 종괴지만, 낭성 형태의 신장 혈관근지방종이 소수 보고되었다. 그중에서 대다수의 보고는 상피낭종을 동반한 혈관근지방종으로 입방상피조직으로 둘러싸인 낭종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피모양 혈관근지방종은 호산성 세포질이 풍부한 상피모양세포를 포함하는데, 이것이 출혈이나 괴사로 인해 낭성변화를 일으킨 증례 보고도 있었다. 이런 낭성 형태의 신장 혈관근지방종은 영상검사에서 낭성 신세포암 등의 다른 낭성 종괴로 오인될 수 있다. 이 증례 보고에서는 58세 남성에서 발견된 상피낭종을 동반한 상피모양 혈관근지방종의 영상 소견을 살펴보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