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CommonHTML/jax.js
  • Title/Summary/Keyword: 제주지역

Search Result 2,220,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Vegetation Structure of the Major Habitat of Quercus acuta Thunb. in Korea (국내 붉가시나무(Quercus acuta Thunb.) 주요 자생지의 식생구조)

  • Song, Kuk-Man;Hyun, Hwa-Ja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47-47
    • /
    • 2018
  • 붉가시나무는 기후변화에 따라 분포 확산이 예측되고 목재로서의 이용가치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붉가시나무의 자원량 및 생육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 분포 및 자생지의 식생구조를 분석하였다. 분포 범위 조사 결과, 제주도를 비롯한 남해안의 도서지역에 주로 분포하는데, 제주도 남부지역 약 200~800m에 분포하며 가거도, 완도, 진도 등에 주로 분포하였다. 지역별 자생지의 입지분석 결과, 교목층의 수고는 제주도에서 17.3m로 가장 높고 가거도의 경우 11.3m로 가장 낮았다. 또한 가거도 자생지의 경우 노출암 비율 70.7%, 평균 경사도 약 30로 경사가 매우 급하고 토양층이 가장 빈약하였다. 반면, 제주도에서는 계곡 사면이나 완만한 경사의 산록지대에 주로 분포하였다. 자생지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종별 평균중요도지수를 산출한 결과, 교목층에서는 붉가시나무가 가장 높았다. 아교목층의 평균중요도지수는 제주도, 완도, 진도 자생지의 경우 동백나무가 각각 150.93, 83.54, 91.38로 가장 높았는데 이는 동백나무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았기 때문이다. 반면 가거도 자생지에서는 붉가시나무의 평균중요도지수가 66.55로 가장 높게 산출되었다. 자생지 내 수종의 흉고직경에 따른 수고의 분포는 제주도, 진도, 완도 자생지의 경우 붉가시나무와 기타 수종이 전체 층위에서 고르게 분포하였지만 가거도 자생지에서는 상층일수록 경쟁 종없이 단일종이 분포하는 단순림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단순림에서는 일시적인 교란에 의해 상층 개체가 없어지면 안정적으로 후대 개체를 생산할 수 없기 때문에 숲 가꾸기와 같은 적극적인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종다양도지수 분석결과, 층위가 높을수록 균재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붉가시나무림의 조성이나 안정적 유지 등 인위적 조절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f Long-Term Runoff analysis in Volcano Island (화산도서지역에서의 장기 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 Lee, Nam-Hun;Lee, Hyo-Jung;Kim, Dong-Pill;Ahn, Seu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238-1241
    • /
    • 2010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화산도서지역인 제주도는 연 평균 강우량이 1,975mm로 우리나라 최대 다우지역이며, 투수성이 좋은 다공질 화산암류 및 화산회토로 이루어져 있어 지하수 함양율이 총 강우량의 48.5%로 국내에서 가장 높은 수문지질 여건을 지니고 있다. 또한, 강우 후에는 143개의 하천 중 6개의 하천을 제외한 나머지 하천에서 내륙과 달리 평상시 건천의 형태로 유지되고 있으며, 지표수의 발달이 매우 빈약하다. 이러한 연유로 인해 제주도는 수자원의 대부분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표수의 개발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제주도는 지하수와 관련된 연구는 부분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제주도 하천에 대한 유량 관측과 수문모델을 적용하여 유출량을 산정하는 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 강우-유출 모형인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상시 유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제주도 서귀포 유역에 포함되는 예례천, 궁산천, 영천을 선정하였으며, SWAT 모형의 입력자료인 기상자료와 지형자료(DEM, Land Use, Soil Type)를 구축하여 직접유출량 및 실제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2002. 01. 01~2008. 12. 31) 각 년도별 평균 직접유출량 및 평균 실제증발산량 산정 결과 예례천 유역은 570.14mm, 444.15mm로 나타났으며, 궁산천은 570.51mm, 585.41mm이며, 영천은 444.15mm, 602.51mm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는 장기 일 유출량 모의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 많은 유출량 자료를 확보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 비교 검정한다면 제주도 하천의 장기 일 유출량 모의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제주도의 유역 전반의 통합 관리 측면에서 뛰어난 적용성과 폭 넓게 활용함으로써 우수한 연구 결과를 도출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net water consumption considering water use pattern for upland crops of Jeju Island (제주도 밭작물 용수이용 특성을 고려한 순물소모량 산정)

  • Kim, Chul-Gyum;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55-455
    • /
    • 2015
  • 농업용수 수요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계측 및 추정방법에 따라 사용수량을 직접 계측하는 방법, 대표작물의 단위수량으로 추정하는 방법, 증발산 이론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실적으로 농업지역에서의 계측자료가 충분하지 못하고, 자연조건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 농업용수 특성상 증발산 이론에 의한 수요량 추정기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필요수량 개념의 접근법이 과거로부터 많이 활용되어 왔다. 이 방법은 경작지 내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수량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저수지나 관정 등의 시설용량 결정 및 계획 수립을 위해 활용되는 방법으로서, 1965년도 처음 수립된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 농업용수 수요량 추정에 적용되어 왔으며, 제주도 수자원관리종합계획에서도 적용되었다. 또 다른 접근법으로서 유역에서의 물수지 관점에서 경작지 내 물 사용에 의해 감소되는 하천 수량을 산정함으로써 순물소모량을 추정하는 방법이 있다. 물수지 분석은 장래의 용수수요와 기준년의 자연유량을 비교함으로써 향후의 안정적 용수수급을 계획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77년 낙동강유역 하구조사 기술보고서에서 처음 순물소모량 개념을 도입하여 수요량을 추정하였으며, 이후 제3차 수자원장기종합계획(1991-2011), 21세기를 바라보는 수자원전망(1993) 등에서 이 방법을 통해 미래의 용수수급 전망을 분석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의 수자원 부존량 해석 및 장래 용수 이용에 따른 수자원의 과부족 해석, 수자원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목적으로 순물소모량 개념을 적용하였다. 제주도는 경지면적 중 밭의 비율이 99%이상이며, 대부분 관정에 의한 지하수를 이용하여 스프링클러 또는 점적관개에 의해 용수량을 공급하고 있다. 따라서, 제주도 지질 특성 및 밭작물 관개특성을 고려하여 제주도 지역에 적합한 순물소모량 산정식을 제안하고, 이에 따라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대표작물(감귤, 콩 등)에 대한 순물소모량을 산정하였다.

  • PDF

The Study of EV Charging Infrastructure Installation Policy's Effectiveness in Jeju (제주지역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정책에 대한 효과성 연구)

  • Youngkyu Koh;Suwan Kim;Jisup Shim;Sang-Hoon Son;Chulwoo Rhim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1 no.6
    • /
    • pp.211-224
    • /
    • 2022
  • In this study, factors affecting the efficacy of EV charging infrastructure improvement were investigated for EV users on Jeju Island. This study analyzed satisfaction with the EV charging infrastructure and demographic factors that affect the efficacy of EV charging infrastructure improvement. Factors found to affect the efficacy of EV charging infrastructure improvement include a sufficient number of charger installations, the speed in using EV chargers, the ease of obtaining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charging, and fast customer service for faulty chargers. It was also confirmed that demographic factors such as user's housing types had a significant effect. This study contributes to verifying user satisfaction with the construction of EV charging infrastructure throughout Jeju Island.

제주도 돼지콜레라 항체 재발방지 대책

  • Korea Feed Association
    • 사료
    • /
    • s.16
    • /
    • pp.54-55
    • /
    • 2005
  • 농림부는 지난해 제주도에서 제주 콜레라 항체 발생과 관련, 동 지역에 대한 청정화유지를 위하여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하여 시달한 바 있으나 별다른 진전 없이 항체양성 돼지가 계속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해당기관별 돼지콜레라 항체 재발 방지 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ㆍ이행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 PDF

An Automated Flood Risk Mapping Algorithm using GIS-based Technique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Jeju streams (제주하천 특성 고려 GIS 기반 홍수범람위험도 자동화 알로리즘)

  • Kim, Dongsu;Kim, Taeeun;Son, Geunsoo;You, Ho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34-634
    • /
    • 2015
  • 최근 국지성 호우와 잦은 태풍으로 인한 돌발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도심지에서의 호안유실과 범람으로 많은 외수침수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량의 증가와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 피해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대하천 유역을 중심으로 홍수범람예측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대하천을 제외한 지방 중소하천의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 중소하천 중 태풍과 집중호우의 영향이 많은 제주지역의 주요 하천 중의 하나인 한천 유역을 테스트베드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천은 강우 시에만 유출이 발생하는 건천으로, 집중호우 시 암반하상 조건, 복개, 교각 등으로 수위가 국부적으로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한천 하류부에는 도심이 위치하고 있어 돌발홍수 발생 시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홍수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제도화, 정책결정 등의 구조적 해결방안과 홍수 피해의 규모와 원인을 분석하는 비구조적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범람 등으로 인한 홍수 피해규모를 산정하여 각 정부부처 및 유관기관, 지자체에서 빠른 정책결정을 내릴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제주도의 특성을 고려한 홍수범람위험도 산정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 한천유역의 단면 자료와 빈도별 홍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HEC-RAS 모형으로 수리학적 흐름특성 모의를 실사하였다. 모의된 결과를 바탕으로 ArcGIS 소프트웨어인 ESRI사의 ArcMap을 이용하여 빈도별 홍수위 자료와 제주지역 수치표고모형 자료를 활용한 빈도별 홍수범람지도를 산정하고, 좌안과 우안의 제방고로부터 위험도를 산정하여 홍수범람위험도를 각각 구축하였다. 구축된 결과를 이용하여 분석하고자하는 해당 빈도의 홍수위와 홍수량이 발생할 때의 피해지역을 예측하였으며, 예측된 지역과 제주시의 공시지가 자료를 중첩하여 피해지역에 대한 피해액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알고리즘을 적용한 2007년 태풍 '나리' 사상의 경우와 비교한 결과, '나리' 사상의 침수 흔적도와 유사한 홍수범람지도를 획득 할 수 있었으며, 모의된 유역의 하천 복개구간을 중심으로 홍수범람이 발생한다는 점과 우안보다 좌안에서의 홍수범람위험도와 피해액이 더 크게 나타난 점 등의 홍수범람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기법을 이용할 경우, 홍수에 의한 취약지에 대한 제방 설계 강화, 하천의 보수 정비 등 정책적 결정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실시간 자료제공, 재해정보시스템 등에 적용하여 홍수범람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기반기술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erosol Composition Change at Gosan, Jeju: ISP measurement Data between 1992 and 2002 (제주도 고산에서의 에어로솔 조성 변화 고찰: 1992-2002년 TSP 측정자료)

  • 박민하;김용표;강창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326-327
    • /
    • 2002
  • 제주도 고산은 지역자체내의 대기오염물질이 거의 없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배경농도지역이며, 지리적 특성상 동북아시아에서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이동 특성을 규명하는데 적합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고산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통해 장기간 TSP 측정자료가 모아졌으나, 아직까지 그 해석에 대한 통계적인 분석과 이동특성에 관한 해석을 위한 역궤적 분석은 미흡하다. 이에 본 발표에서는 1992년 3월부터 2002년 2월까지 고산에서 측정한 입자상 무기이온 성분의 농도를 장기간의 역궤적 분석결과와 함께 통계적인 방법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Statistical Analysis on Danger Period of Forest Fire by Regions in Korean (통계분석을 이용한 지역별 산불위험시기 구분)

  • Kim, Sun-Young;Lee, Si-Young;An, Sang-Hyun;Shin, Young-Chul;Oh, Jeong-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2 no.1 s.4
    • /
    • pp.161-167
    • /
    • 2002
  • Forest fire danger period in nine Provinces (Gangwondo, Kyonggido, Gyeongsangnamdo, Gyeongsangbukdo, Jeollanamdo, Jeollabukdo, Jejudo, Chungcheongnamdo, Chungcheongbukdo) has turned out to be similar to recognize wheth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each Provinces, we used correlation analysis with number of occurrence and damage area by an interval of ten-day period. Based on this analysis, there was significant numbers of occurrence at all areas wish serious burns except Gyeongsangnamdo and Jejudo Provinces. Since persuasive power is insufficient as danger period of forest fire applies equally to nine Provinces, statistical analysis using number of forest fire occurrence and burned area are executed. And then, a analysis of variance(ANOVA) test of significance by an interval of ten day period is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re showed significant at 1% level for number of occurrence except Jejudo, and is also showed significant at 1% level for burned area except Gangwondo and Chejudo. Through regional correlation analysis for danger period, we classified three parts of Middle region (Gangwondo, Kyonggido, Gyeongsangnamdo, Gyeongsangbukdo, Jeollabukdo, Chungcheongnamdo, Chungcheongbukdo) Southern region (Gyongsangnamdo, Jeollanamdo) and Jejudo region. With respect to forest fire occurrence time, Middle region showed from the middle of February to first of May that amounts to 81% of entire occurrence in this region, and Southern region begins with at the last of January to the middle of April covering 71%. In terms of forest fire burned areas, it appears at the middle of February to the first of May, occupying 98% in Middle region, and Southern region showed burned areas from the last of January to the middle of April amounting to 82% of total occurrences.

REE and Sr-Nd Isotopic Composition of the Shelf Sediments around Jeju Island, Korea (제주도 주변 대륙붕 퇴적물의 REE와 Sr-Nd 동위원소 조성)

  • Kim, Tae-Joung;Youn, Jeungsu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3 no.6
    • /
    • pp.481-496
    • /
    • 2012
  • REE, major and trace elements, and Sr-Nd isotopic ratios of surface sediments around Jeju Island were analyzed for identifying the origin of the sediments. The Chemical Index of Alteration (CIA) between 44.2 to 68.9 (av. 59.4) shows a similarity with the Huanghe sediment. The most sediments found within the study areas show a very similar chondrite-normalized REE pattern that has enriched LREE (La(N)/Sm(N) >3) and small negative Eu anomaly, typically of average shales. The UCC-nornalized REE patterns of the southwestern offshore sediment samples show a very similar pattem with the Changjiang sediment with enriched in most REE and more convex REE pattern than those of the Huanghe and Keum rivers sediments, which indicates that the Changjiang River's suspended sediments have been transported into the western part of Jeju Island. The 87Sr/86Sr isotopic ratios vs εNd(0) values were thus used as a tracer to discriminate the provenance of sediments in the study area. Based on the discriminated diagram, it clearly showed that most sediments in the western and northwestern part were closely plotted with sediments of the Huanghe River. However, the sediments in the southwestern part near the Changjianf estuary were closely plotted with submerged delta sediments of the Changjiang River. In contrast, the sediment samples of the northeastern part showed discriminative figures from those of the Chinese rivers. It suggests that sediments around Jeju Island must be originated from diverse sources.

Alternative Economies Examples in Jeju: Village Fishery and Isidore Farm as Community Economies (대안 공동체 경제 논의와 제주지역 사례: 마을 공동어장과 이시돌 목장)

  • Kwon, Sangcheol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4
    • /
    • pp.395-414
    • /
    • 2015
  • Diverse alternative economies have been discussed to overcome the problems with the globalizing neoliberal capitalism. Social economy and cooperatives are those focusing on the community economies; most countries have local economy-society based on mutual aid and common properties. Various experiences and institutions across local areas have been evolved to keep using their local resources in sustainable way. While recent social economy discussions in Korea are mostly in relation to economic crisis and focus on the Western experiences and institutions, the local area experiences in Korea are similar to the rules universal across countries along with particulars developed from local circumstances. Jeju has maintained village common fishing ground and Isidore farm which has been developed as an innovative type of cooperatives. These cases help to find community economies in practices and studying local experiences would enhance the opportunity to succeed in finding and practicing real alternative community economies in other local area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