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조 작업자

Search Result 231,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활동중심 경영관리를 위한 중소기업 제조원가관리 시스템의 설계

  • 성기범;김승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5.04a
    • /
    • pp.337-348
    • /
    • 1995
  • 제품의 생산 및 제조원가는 크게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로 나눌 수가 있다. 본 연구는 제조업의 제품별 제조원가분석을 위하여 실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관계형 데이타베이스(Relational Database)를 구축해 보았으며, 작업자의 작업시간을 시급으로 관리하여 줌으로써 제품별 원가요소 중 직접노무비(인건비)를 여러가지 요목별로 산출해 낼수 있는 활동중심 경영관리(ABM: Activity-Based Management)를 위한 원가관리 시스템의 프로토타입(prototype)을 설계하였다. 본 시스템에서는 각 작업자별 실작업시간에 따라 발생하는 시급을 작업자의 급여테이블과 연계하여 구함으로써 작업자별 작업시간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품별 제조시간 조회를 통해 표준시간과 비교하는 자료로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제조간접비(제조경비)는 월말 제조원가 산정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그 달에 생산한 모든 제품에 가중치(weight)에 의해 배분해 주는 방식을 이용하였으며, 직접재료 원가(자재비)는 제품별로 데이타베이스를 구추갛여 제조원가에 반영시켰다. 그리고, 시스템에 유연성을 주기 위해 A/S 제품인 경우는 추가 자재비를 입력시킬수 있도록 고려하였으며, 재공품재고(WIP: Work-In-Progress)등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시스템 운영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dvanced method of aging manufacturing factory (노후화된 제조공장의 고도화 방법에 관한 연구)

  • Kim, Jeong-Min;Jang, J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10a
    • /
    • pp.69-71
    • /
    • 2018
  • Looking at Korea's manufacturing industry, there are many old manufacturing plants. In fac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oduct inventory management and the unit price of the product are all created by using Excel, and the factory is operated by using it. Also, the operator can not predict the failure of the equipment in order to produce the product at work. Problems related to this may result in the loss of the documents during the instruction and work process between the manager and the worker,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manager and the worker can not be properly performed, There is appear a situation in which the operation is continued by using the equipment without recognizing in the failu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upgrading the aging manufacturing plant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productivity of the product by predicting the efficient inventory management, unit price management, production volume, and the operator's failure prediction.

  • PDF

조립 라인에서의 라인균형의 개선에 관한 연구

  • 조규갑;김영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3.04b
    • /
    • pp.335-337
    • /
    • 1993
  • 조립라인의 설계에서 중요한 목적은 조립라인을 구성하는 작업장의 수의 최소화와 각 작업장의 작업내용을 평형이 되도록 요소작업을 할당하는데 있다. 라인균형에 관한 기법은 일반적으로 발견적 기법과 컴퓨터를 이용한는 기법이 주로 개발되어있으며, 개발된 기법들은 공정설계에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가동괴고 있는 조립라인에서 생산 량의 변화 또는 작업자의 변동이 생기는 경우에 기존의 기법들이 부적절하므로, 특정한 제조 현장 조립라인의 특성에 맞는 기법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제조현장에서 공정설계뿐 아니라, 관리 및 개선의 도구로서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하여 제조현장의 여러가지 제약조건 가운데서 요소작업의 결합기준과 작업자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생산량의 변화 및 작업자의 변동에 따른 공정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라인균형기법의 개발에목적이 있다. 작업배치를 효과적 으,로 전개하기 위하여요소작업을 블록으로 나누고 Back Tracking 방법, 네트워크의 Branch Node 개념을 도입하여 새로 운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분석평가하였다.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Drilling Machine for manufacturing the Truck Cargo Box (트럭 적재함 가공용 자동 드릴링 머신 개발)

  • Oh, Sung-Ho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739-742
    • /
    • 2009
  • 대형 트럭의 적재함 제조 공장의 경우 전 공정이 인력에 의존하는 강도 높은 제조 현장이다. 특히 적재함의 양 측면 게이트 고정 작업의 경우 약 7명 정도의 인력이 투입되어 드릴링 및 조립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드릴링 작업은 작업자의 손목이 손상되는 사고를 빈번히 일으키고 있는 위험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을 작업자 2인이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제작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 드릴링 머신을 개발하기위한 기구적 및 시스템 설계, 제어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 PDF

단조품 후처리 공정의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공정자동화 시스템 개발

  • 송신우;하인철;송병석;이경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82-282
    • /
    • 2004
  • 단조품 후처리 공정은 표면처리, 자분 탐상, 수 검사, 방청, 개수계량 공정으로 이루어져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단조품 제조 산업에서는 Fig.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처리 공정이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표면 처리 공정에서 소재를 장입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작업자는 중량물을 개수하고, 버킷에 담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소재의 이송은 지게차를 이용하고 있어 작업자와 지게차는 같은 작업공간에서 작업을 하게 된다.(중략)

  • PDF

Ontological Approach for Effective Semantic Conveyance in Manufacturing Systems (제조시스템에서 효율적 의미전달을 위한 존재론적 접근 방법)

  • Leem, Young-Moon;Ryu, Chang-Hyu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5.11a
    • /
    • pp.319-323
    • /
    • 2005
  • 최근 들어 제조가 발생되는 모든 분야에서 정보의 의미론적 전달방법 및 체계를 정형화하는 작업이 표준화와 더불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제조시스템에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간결하고 정확한 문제 진단에 대한 정보전달은 비용의 절감은 물론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도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조시스템에서 최적화된 정보전달을 위한 상황이론적 방법론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론의 궁극적인 목적은 실제 제조공정이나 현장에서 발생되는 복잡한 정보의 흐름, 표현,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작업자, 관리자, 경영자 모두가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형화된 틀을 만드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론은 제조 현장에서 공정상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검사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Improve the Manufacturing Process using Real-time Monitoring System (제조공정 개선을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 Jeong, Minseung;Lee, Seunghoon;Chae, Seonyoung;Jin, SeonA;Kim, Jae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903-905
    • /
    • 2015
  • 제조공정은 작업자의 능력에 의해 셋업 설정이 좌우되기 때문에 불량률의 산출 및생산 예측이 어려우며, 제조공정 상의 다양한 데이터들을 수집할 수 있으나, 각 프로세스 사이에서 서로 연관성 있게 통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논문에서는 제조공정 개선을 위한 실시간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제조업체의 작업자 및 경영자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간 데이터 분석 정보를 시각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제조 공정 개선에 활용할 수 있다.

Improvement of Switch Box Manufacturing Process and Development of Handling Mechanism (스위치박스 제조공정 개선과 핸들링 장치 개발)

  • 김세환;이은종;김현효;유정봉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4 no.1
    • /
    • pp.31-35
    • /
    • 2003
  • Switch box is metal box and used for electric wire pipe in building. In manufacturing switch box, we need 5∼6 press machines, 5∼6 dies, 1 tapping machine. and 7∼8 operators. What matters is rise of manufacturing cost and operators' reluctance of working. To solve this problem, we modified the pre-existing die and developed handling mechanism, which leads to improve the manufacturing process. Afte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we could reduce the number of machines and workers needed in the process; 2 press machines, 2 dies, 1 tapping machine, and 1 operator. That means we can save labor and the number of operators needed,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get the effect of import replacement.

  • PDF

Development of Cam Die for Processing four Lateral Switch Box (스위치 박스 4측면 가공용 캠금형 개발)

  • 김세환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3.06a
    • /
    • pp.79-82
    • /
    • 2003
  • 스위치 박스는 건축물의 전선관용으로 사용되는 금속제 박스이다. 이 박스를 제조할 때는 제 1차 프레스에서 성형을 하고, 제 2차~5차 프레스로 박스의 4측면 가공을 하게 되므로 프레스 4대, 금형 4벌, 작업자 4명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기계 사용료와 금형비, 인건비 둥 제조원가의 상승 요인이 되고 있으며 특히 프레스의 굉음과 진동 및 안전사고의 위험성 등으로 작업자들이 직무를 기피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금형 4벌에 의한 가공을 1벌의 금형에 통합시킨 캠금형 개발과 자동이송장치를 개발하였다. 그 결과, 프레스 1대와 금형 1벌로 무인화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직무기피요인을 해소하게 되고 제조원가 절감효과를 얻게 되었다

  • PDF

PLC Order Production System Based on QR Code (QR Code 기반의 PLC 주문 생산 시스템)

  • Kim, Jong-Joo;Kim, Jae-Woong;Park, Koo-Rack;Lee, Yun-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91-92
    • /
    • 2021
  • 소비자들의 욕구 충족을 위하여 생산 제품이 다양해지고 있는 상황으로 소비자 맞춤형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제조 현장에서는 운영자 및 작업자가 신속하게 제조 작업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HMI와 같은 별도의 GUI 장치를 통하여 생산 내용의 변경이 가능하나, 작업자들은 이를 조작하여 PLC를 통한 생산에 적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말기가 필요하지 않는 QR 코드를 기반으로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키오스크 기능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하여 검증된 생산 사양만을 선택할 수 있는 키오스크 화면을 구현한 것으로, PLC와 연동하여 즉각적으로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맞춤형 주문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