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조업 벤처기업

Search Result 4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Comparative analysis on efficiency of venture business supported by government R&D in manufacturing industry (정부R&D지원 여부에 따른 제조벤처기업의 경영효율성 비교 분석)

  • Kim, Guen-hee;Bark, Pyeng-mu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8a
    • /
    • pp.84-100
    • /
    • 2017
  • 제1차 벤처붐을 겪은 이후 후기에 안정된 기업에 투자를 선호하는 벤처투자방식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기업성장단계에서 초기에서 중기에 있는 기업의 경우 자금의 부족을 경험하며,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정부 R&D자금 지원을 받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R&D자금 지원이 과연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는 기업에게 지원되고 있는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있다. 본 연구는 제조업에 속하는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DEA 효율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제조업에 속한 핵심 산업인 ICT제품과 같은 첨단제조와 기계, 자동차와 같은 일반제조에 속한 벤처기업의 효율성을 살펴보고, R&D지원을 받는 벤처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을 비교분석한다. 추가로 두 집단 간의 특성(혁신성, 성장성, 수익성, 안전성)이 1년간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분석한다. 실증 분석결과, 제조업에 속한 R&D자금을 지원받는 벤처기업의 경우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원을 받은 벤처기업이 지속가능한 측면에서 비지원기업 보다는 경쟁력이 낮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1년간의 여러 특성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혁신성에서는 지원기업이 높은 성과를 창출하였지만, 수익성에 있어서 비지원기업 보다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의 R&D지원이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는 기업에게 지원되기 위해서는 기술력뿐만 아니라 경영 효율성을 고려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 PDF

경기벤처협회

  • Korea Venture Business Association
    • Venture DIGEST
    • /
    • s.86
    • /
    • pp.18-19
    • /
    • 2005
  • 1999년에 창립된 경기벤처협회는 든든한 지원으로 경기도 내 벤처기업 성장의 발판이 되고 있다. 서울과 달리 IT업종보다는 제조업 중심의 중소∙벤처기업이 회원사의 주류를 이루고 있어, 지원업무의 형태나 내용에서 남다른 특성을 보이는 경기벤처협회 사업의 이모저모를 들여다본다.

  • PDF

Adverse Selection in the Government R&D Support for Venture Business : Evidence from the Managerial Efficiency Comparison of the Recipient and Non-recipient of R&D Grants (정부의 벤처기업 R&D 지원에서의 역선택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정부 R&D 수혜기업과 비수혜기업 간 경영효율성 비교를 중심으로)

  • Kim, Geun-hee;Kwak, Kiho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21 no.4
    • /
    • pp.1366-1385
    • /
    • 2018
  • Recently, government policy focuses on R&D subsidies for venture firms in the early and medium stage. However, due to the 'asymmetric information' on those firms, a concern about the possibility of adverse selection of government policy, that is, whether the R&D subsidies are offered to the less-growth potential venture firms is on the rise. Therefore, based on the "2015 venture firm's survey" data in Korea, we compared the managerial efficiency of venture firms in manufacturing sectors by dividing them into beneficiary and non-beneficiary groups at government R&D subsidies. We found that the beneficiary groups showed lower managerial efficiency than non-beneficiary groups, even if they are superior to non-beneficiary groups in technological performance. We also observed that the phenomenon involve 'low managerial efficiency in the beneficiary groups' is more relevant in mid-high tech. manufacturing sectors. Our findings provide an exploratory empirical evidence of the concern about adverse selection in the selection of R&D subsidies beneficiary groups.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managerial performance as the key criteria for selecting R&D subsidies beneficiary groups, rather than depending on technological performance solely. Furthermore, the government should develop other complementary policies to support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groups. Lastly, the government should make those policies attract venture firms with potential to achieve financial performance.

An Empirical Study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Venture Business (벤처기업의 지역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수도권과 지방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 최홍봉;윤성민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7 no.1
    • /
    • pp.29-43
    • /
    • 2004
  • In this paper, we trie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of the characteristics between venture busines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in the local area. We set up some hypotheses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venture business and test those using the raw data of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SMBA) survey on the management of venture business.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analyze the industrial composition of ventures by region and find that in the metropolitan area high-technology venture business which is belong to software, or information, or communication industries is given much weight. But in the provinces, ventures belong to traditional manufacturing industries is given much weight. Second,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network by region and find that the ventures in the metropolitan area are active in technical cooperation among companies and want strategic tie-ups in marketing field, whereas the ventures in the provinces are active in technical cooperation with university and want strategic tie-ups in technical development field. Third, ventures in the metropolitan area are more excellent in technical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an ventures in the provinces.

  • PDF

농업 벤처 기업 분석과 활성화 방안 연구

  • Heo, Cheol-M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1a
    • /
    • pp.71-7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농업벤처기업의 활성화를 위해 경영현황 및 애로사항, 지원 우선순위 등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농업벤처기업 103개소를 대상으로 벤처기업협회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일반벤처기업 2,098개소, 농림어업 벤처기업 67개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자료를 토대로 비교 분석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일반벤처 대비 높은 금융비용과 부채비율, 신규자금에 대한 높은 정부 의존도, 자금조달의 어려움과 벤처 투자 유치 실적이 저조함으로 인해 농업벤처기업의 재정 여건은 매우 열악한 환경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농산물 중부가가치가 높고 수출 가능한 품목을 선별하여 육성하는 투자 방안이 필요하며, 정부 보조금과 지원금 매칭 펀드 방식의 혼합 지원 및 크라우드 펀딩의 활용 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농업벤처는 일반벤처에 비해 R&D투자보다는 설비투자 비중이 높으나 연구개발 자금지원을 가장 필요한 방안 1순위로 꼽고 있으며, 자가 기술을 활용하여 비즈니스 모델화하는 데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제조업 기업 비중이 63.2%를 차지하고 있어 사업 분야의 편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고려하여 해외시장을 고려한 제품 연구개발 및 생산원가 경쟁력 확보, 그리고 관련 분야 투자유치와 고용 창출이 필요하다. 또한 개발된 기술의 사업화 지원을 위해 투자 기반 사업화 추진과 제조업 외 다양한 분야의 육성이 필요하다. 셋째, 사업규모가 적고 기업이 안정화되지 못해 신규인력 확보 및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확보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지속적인 농업 인력 감소에 대응하여 스마트농업 가능 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며, 농업벤처 지원 교육의 체계화와 효율화를 위한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 넷째, 국내외 판로개척에 대한 애로사항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한 지원 방안으로 관 주도의 수출지원정책에서 민간참여 위주로 정책 방향 변경이 필요하며, 수출대상국에 적합한 전략적 농산물 및 가공식품 생산이 필요하다.

  • PDF

The Effect of Startups' Trust in Government R&D Policies on Innovation Performance (벤처기업의 정부 R&D정책에 대한 신뢰가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 Kim, Deokyong;Bae, Sung Joo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9 no.4
    • /
    • pp.95-124
    • /
    • 2021
  • Startups play an important role in economic growth and job creation in niche markets, thus governments regularly expand their research and development(R&D) budgets accordingly. As stratups are more dependent on governments to compensate for insufficient resources and capabilities than large and medium-sized companies, trust in government policies will be importan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mpact of startups' trust in government R&D policies on innovation performance. There were three major results. The first result is that government R&D investments in startups increase innovation performance in the manufacturing and high-technology industries but did not affect other industries. The second result is that trust in government R&D policies increased innovation in high-and medium-high technology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third result is that trust in government R&D policies affects innovation before, during, and after evaluation of support process. We analyzed the importance of trust to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R&D support to determine how to effectively provide it. The results show that governments need to differentiate the types of R&D support they provide according to the target firm's technology level and whether they are a manufacturing company and that appropriate R&D support mechanism should be developed for low-technology and non-manufacturing companies. Finally, governments should allocate resources and make fair and transparent decisions to help companies grow, not to better supervise them.

VD GOGO-구로구청

  • Korea Venture Business Association
    • Venture DIGEST
    • /
    • s.119
    • /
    • pp.12-15
    • /
    • 2008
  • 1980년 영등포구에서 분리된 구로구는 종전 제조업 위주의 구로공단의 칙칙한 이미지로 각인되었다. 하지만 이제 구로는 첨단 벤처단지로 거듭나면서, 디지털 단지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첨단산업을 이끄는 메카로 부상하고 있다. 4대 권역별 균형개발이란 청사진이 완료되면서, 가리봉동 일대 균형발전 촉진지구는 디지털 단지의 배후 기능도시로, 신도림동 일대는 상업복합화를 통해 상권 중심지로, 개봉역 일대는 영등포 교정시설 이전과 주거.문화가 어우러진 복합단지 건설로 생활중심권으로, 서남권 시계지역(오류동, 수궁동 지역)은 수목원과 도시자연공원이 어우러진 전원형 신도시로 변신중이다. 이같은 변화의 주체이며 조력자인 구로구청을 찾아 구로구 소재 중소.벤처기업의 포괄적 마케팅 지원 사업과 해외시장개척단 운영사업, 디지털산업 지원시책을 듣는다.

  • PDF

A Study on the Transaction Governance Structure in B2B Electronic Commerce (기업 간 전자상거래 지배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 Kwon, Sun-Do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5 no.4
    • /
    • pp.35-4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he venture business innovate the purchasing process. This study reviewed the types of transaction governance structure, and researched the change of transaction governance structure, while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According to transaction cost theory, the transaction governance structure can be moved from hierarchy to market. It can be moved to the middle, because of economies of scale, incentive for supplier, and increasing search cost. And it can be moved from market exchange to relational exchange, using electronic marketplace. In order to innovate the purchasing process, the venture business can select the transaction governance structure that fits the its purchasing contexts.

  • PDF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창업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Yu, Jeong-Heon;Bae, Byeong-Yun;Jeon, Gi-Seo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93-9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낮은 창업기업을 중심으로 경영성과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KIDP의 2013년 통계에 따르면 제품 판매에 미치는 요소 중 디자인이 27.5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업 규모에서는 대기업과 중기업에 비해 소기업이 제품판매에 미치는 요소 중 디자인 요소가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번 연구를 위해 수집한 데이터의 업종별 추이를 살펴보면 기술 기반 업종이 도 소매업을 비롯한 기타 업종에 비해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어려운 경영여건에서도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KIDP로부터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을 받은 기업 중 186개(2013년, 2014년, 2015년)를 대상으로 업력이 7년 이하인 창업기업과 업력이 7년 이상인 계속기업의 경영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우수디자인제품 선정기업 중 디자인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제조업과 비제조업 간의 경영성과(매출액)의 차이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KIDP의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효과가 있는지를 선정연도를 전후 비교하여 "창업기업이 계속기업에 비해 경영성과(매출액)에 더욱 긍정적 효과를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한 결과는 창업기업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제조업과 창업기업 내의 제조기업 경영성과에도 유의미한 영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 PDF

Soft Ware Industry-SW 산업생태계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SW 분리발주의 역할 및 과정

  • Hong, Tae-Jun
    • Venture DIGEST
    • /
    • s.109
    • /
    • pp.4-7
    • /
    • 2007
  • 소프트웨어는 PC, 휴대폰 등 IT 산업은 물론 자동차, 의료, 국방, 건설 등 다양한 제조업에 접목되어 산업적 가치 혁신을 결정짓는 핵심기술로써 유비쿼터스 사회를 형성하는 핵심요소이자 고부가가치 창출 및 신경제를 주도하는 국가 기반 인프라로서의 역할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SW의 중요성 인식에 따라 미국, 일본, 중국 등 각국에서는 기존 제조업의 공동화와 생산성 하락 방지 등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SW에 대한 전략적 투자 확대를 실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