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조업근로자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6초

감염병 재난관리에서 근로자의 재난안전관리 인식이 지방정부와 기업의 재난관리 역량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자동차 제조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The Role of Workers' Awareness of Disaster Safety Management and Disaster Management Capabilities of Companies and Governments for Infectious Disease Disaster Management: Focused on Workers in th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 황보한;이창율;김하경;김병권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451-470
    • /
    • 2023
  • 연구목적: COVID-19가 2019년 12월에 중국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개인의 생활뿐만 아니라 기업과 국가에도 심각한 경제적·사회적 문제를 야기하였다. 개인, 기업, 정부 모두는 COVID-19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하였다. 감염병에 대응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개인, 기업, 정부 모두의 역할이 중요하나 선행연구에서는 부분적으로만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염병 재난관리 대응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 개인, 기업, 정부의 역할에 대해 종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감염병 재난관리에 대한 근로자의 인식과 정부 및 기업 역량이 재난대응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설문조사는 울산, 경주, 양산지역의 자동차 제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분석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근로자 인식은 재난관리성과 뿐만 아니라 정부역량과 기업역량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역량과 기업역량은 재난관리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재난대응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근로자의 인식뿐만 아니라 정부와 기업의 역량이 중요함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근로자들은 정부와 기업에서 주어지는 교육과 참여의 기회를 잘 활용하고 근로자가 할 수 있는 범사회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업종별 산업간호사의 보건관리업무 분석

  • 윤순녕;박정희;김명순;임혜경;이애경;이남준;현혜진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권호
    • /
    • pp.13-25
    • /
    • 1992
  • 본 연구는 업종별 산업간호사의 보건관리업무의 내용과 수행정도를 측정하고 업종별 보건관리업무 수행정도를 비교 분석코저 한다. 연구방법은 산업간호사회에 등록된 산업장중 서울, 인천, 마산, 창원, 부산, 울산 지역에 있는 130개 산업장을 임의로 선정하여 산업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반도와 백분율, 업종간의 보건관리업무 내용별 수행정도는 일원분산분석과 다중검증 비교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업종별로 산업간호사의 업무수행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보건관리내용은 서비스업에 있어서 근로자의 건강사정에 대한 수행정도가 제조업과 기타제조업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F=4.23, P=.0167) 반면에 근로자의 건강진단과 계속관리, 작업환경 관리업무 수행정도는 제조업과 기타제조업에서 서비스업보다 높게 나타났다.(F=9.78, P=.0001 ; F=5.366. P=.005) 2) 업종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보건관리내용은 산업장진단 또는 건강문제분석, 보건교육, 통상증상에 대한 투약, 기록과 보고, 건강관리실 운영 등이었으며 업무수행정도는 가끔 또는 필요시하는 정도로 나타났다. 반면에 조사, 연구 참여에 대한 수행정도는 세 업종 모두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산업장 간호사의 신규교육이나 직무교육과정운영이 업종별로 운영되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고 볼 수 있으며 또한 산업간호사의 직무 중 보건 교육, 통상질환에 대한 투약, 기록 및 보고, 건강관리실운영등은 업종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수행정도는 낮은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실제적인 직무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보건교육도 업종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다양한 보건교육교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중소제조업의 기업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mall Maufacturing Businesses' Company Cultur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 김영일;김광수;김기완;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1권2호
    • /
    • pp.27-32
    • /
    • 2016
  • 본 연구는 중소제조업의 기업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적 문화, 즉 개인의 조직 몰입도가 높을수록 직무 만족도 및 창의성 향상 등의 조직 성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p<.001, ${\beta}=.493$). 조직적 문화(조직 화합도)와 환경적 문화(환경적 요인 중시 태도)는 조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또한 근로자 개별 특성에 따라 개인의 조직 몰입도는 사원급보다 차장/부장 이상에서 더 높았으며 조직 화합도는 20대보다 40대, 전문대졸 이하보다 대졸 이상, 근속년수 5년 이하보다 10년 이상일 경우 더 높게 평가했다. 조직성과, 즉 직무 만족도와 창의성 향상과 같은 요소들은 고졸 이하보다 대졸 이상일 경우 더 높은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소제조업의 기업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개인 조직 환경적 요인의 중요도를 파악하고 근로자의 개별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기업경영에도 왕도는 없다

  • 오세철
    • 국방과기술
    • /
    • 1호통권239호
    • /
    • pp.104-109
    • /
    • 1999
  • 우리는 더 이상 근로자에게 납득이 가지 않는 경영을 해서는 안됩니다. 이제부터라도 한국의 기업가가 기업을 사유화하겠다는 생각을 버리고 합리적인 경영을해서 근로자들로 하여금 솔선해서 피 땀을 흘리게 할 수만 있다면 우리는 어떠한 난관이라도 극복할 수 있습니다. 기업인의 마음먹기에 따라 회사도 살고 나라경제도 회생하게 될 것입니다. 기업을 하는 것 특히 제조업을 영위한다는 것은 어느 나라에서도 자랑스럽고 보람있는 일입니다

  • PDF

중소규모 제조업 근로자의 상지 근골격계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Related Factors of Upper Limb Musculoskeletal Disease in Small-to-Medium-sized Manufacture Enterprises Workers)

  • 김혜진;정혜선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9-29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at small-to-medium-sized manufacture enterprises less than 300 employees. Method: For 167 workers in 12 small-to-medium-sized manufacture, we examined the self-recording questionnaire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characteristic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musculoskeletal symptoms designed by NIOSH. Result: Related factors of upper limb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found in using of the PC except work, the speed control at working and inappropriate positions for neck, and that using of the PC except work, the degree of intensity at working and the speed control at working for shoulder, and that the degree of intensity at working, the speed control at working, inappropriate positions and excessive workforce for arm/elbow, and that the degree of intensity at working, the speed control at working, inappropriate positions, excessive strong and vibration for hand/wrist/fingers. Conclusion: As a result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usculoskeletal symptoms of neck were influenced by use of the PC except work, household work, and the speed control at working, symptoms of shoulder by using of the PC of except work and the degree of intensity at working, symptoms of arm/elbow by the speed control at working, and symptoms of hand/wrist/fingers by the degree of intensity at work and excessive workforce.

  • PDF

제조업 근로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울산 지역 자동차 하청업체 제조업 근로자를 중심으로 (The Factors Affect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anufacturing Industry Workers: Focusing on Sub-contractual Workers of Ulsan's Vehicle Industry)

  • 김지원;김연옥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4-103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variable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anufacturing industry workers. Methods: We used data from 200 survey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a vehicle manufacture factory located in Ulsan metropolitan area. The participants were manufacturing worke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Scheff{\acute{e}}^{\prime}s$ test to identify differences among variable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identify variables that affecte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occupational stress and quality of slee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of the physical component score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42.2%. Occupational stress, depression, and relig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of the mental component score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43.3%. Conclusion: Continuous monitoring and appropriate intervention for occupational stress, quality of sleep, and depression are needed to improve manufacturing worker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고용허가제 도입이 건설현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 Analysis for Foreign Worker that Employment Permit System gets in Construction Site)

  • 김영준;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92-595
    • /
    • 2004
  • 외국인 노동자들은 90년대 들어 그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고, 각종 제조업이나 3D업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번에 새로 도입된 `고용허가제`는 그 동안의 국내 외국인력 정책을 그 근본에서부터 바꾼 것이라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외국인 근로자와 고용허가제의 정보를 바탕으로 공용허가제가 건설현장에 미칠 영향요소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도출된 현장관리자들의 인식을 통해 향후 건설업체에서의 부작용을 제거하여 외국인 근로자 활용에 필요한 연구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 PDF

부산지역 근로자들의 고혈압에 관한 조사 (A Survey on High Blood Pressure among Employed Workers in Busan Area)

  • 김성식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2권1호
    • /
    • pp.56-60
    • /
    • 1979
  • 부산지역 산업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 32,786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환경요인이 고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할 목적으로 동년 10월까지 고혈압의 유병율을 조사하였다. 제조업에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는 전 조사대상자의 72.4%였으며 연령별로는 20-29세군이 39.9%로 가장 많았으며 이들의 성별 분포는 남녀 모두 20-29세 군에서 가각 36.8%, 46.1%로 가장 근로자가 많은 연령층이였다. 고혈압증의 유병율은 15.9였고 가장 유병율이 높은 업종은 도 소매 및 음식, 숙박업으로 51.5였다. 이 유병율은 연령이 많아 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 PDF

광주지역 제조업 근로자의 근무형태가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orking patterns on eating habits in manufacturing workers of Gwangju area)

  • 임지숙;허영란;정은;이재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6호
    • /
    • pp.495-505
    • /
    • 2016
  • 본 연구는 산업체에 근무하는 직장인의 근무형태별 특성을 살펴보고 그에 따라 식습관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소재한 K 제조 공장에 재직 중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식습관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근무형태에 따른 식습관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자의 나이는 40~49세 및 50세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근무기간은 근무형태와 상관없이 대부분 10년 이상의 경력에 하루 평균 8~10시간을 근무하였다. 단순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연령, 근무기간, 평균근무시간, 교육수준, 가족월 평균수입, 주관적 건강인식, 중등도 신체활동여부, 음주량, 흡연량, 수면시간, 이상지질혈증 처음진단시기를 보정하여 조사대상자들의 식습관, 카페인 섭취량, 직무스트레스 정도를 분석한 결과 평소의 식사량에 대해 비교대근무 근로자가 $1.4{\pm}0.9$, 교대근무 근로자가 $1.1{\pm}0.5$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 < 0.001), 균형 잡힌 식사 정도는 비교대근무 근로자가 $1.5{\pm}0.6$, 교대근무 근로자 $1.3{\pm}0.4$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 0.005). '채소 섭취'는 비교대근무 근로자가 $1.9{\pm}0.7$, 교대 근무 근로자 $1.7{\pm}0.5$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 = 0.024), '해조류 섭취' 역시 비교대근무 근로자자 $1.7{\pm}0.6$, 교대근무 근로자 $1.5{\pm}0.4$로 교대근무자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p = 0.049). 반면 '1일 3끼의 식사 중 거르는 일이 있습니까'는 비교대근무에서 $2.1{\pm}0.8$ 교대근무에서 $2.5{\pm}0.5$로 식습관 조사 항목 중 유일하게 교대근무 근로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또한 근무형태별 식습관 점수 합계는 비교대근무 $16.1{\pm}0.6$, 교대근무 $14.0{\pm}0.3$으로 비교대근무 근로자가 유의하게 높았다 (p = 0.035). 직무요구도에서 받는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비교대근무에서 $46.2{\pm}2.6$, 교대근무에서 $34.0{\pm}1.4$로 비교대근무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p = 0.001), 직무 자율성 결여는 교대 근무 근로자가 $50.7{\pm}1.0$, 비교대근무 근로자가 $44.2{\pm}1.0$으로 교대근무 근로자가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조직적 관리체계에 대한 직무 스트레스는 교대근무 $57.0{\pm}1.2$, 비교대근무 $50.9{\pm}2.0$로 교대근무 근로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 = 0.036). 연구대상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제요인 분석은 스트레스 정도의 총합으로부터 정도에 따라 백분위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적게 받는 근무형태는 교대근무 근로자로 28.1%를 나타냈고,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는 근무형태는 교대근무 근로자에 비해 비교대근무 근로자가 39.7%로 나타나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교대근무 근로자는 중등도 신체활동과 음주량 및 흡연자가 비교대근무 근로자에 비해 높았으며, 식습관도 좋지 않았다. 사무직을 포함하는 비교대근무 근로자는 교대근무 근로자들에 비해 신체활동이 적고, 직무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으며, 식습관은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전반적인 식습관 평가 점수는 비교대근무 근로자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설문조사가 재직근로자의 일부에 국한되었고, 대상자들의 설문결과 근무형태와 무관하게 전반적으로 이상지질혈증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무직과 생산직 근로자를 포함한 비교대 근로자가 생산직 교대 근무자들에 비해 식행동이 바람직하지 못하고, 직무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본 연구가 단면연구로서 서로의 인과관계를 유추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후속연구로는 사무직과 생산직에 근무하는 비교대 근로자 간에, 혹은 생산직에만 근무하는 비교대 근로자와 교대근로자 간의 식습관과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비교하는 세분화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작업자의 업무 능률 향상과 안전 사고 방지를 위한 LLM 기반 챗봇 시스템 (LLM-based chatbot system to improve worker efficiency and prevent safety incidents)

  • 김두환;한요한;정인혁;황영석;박진주;이나현;이유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4년도 제6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2권1호
    • /
    • pp.321-324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LLM(Large Language Models) 기반의 STT 결합 챗봇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조업 공장에서 안전 교육의 부족과 외국인 근로자의 증가는 안전을 중시하는 작업 환경에서 새로운 도전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언어 모델과 음성 인식(Speech-to-Text, STT)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챗봇 시스템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작업자들이 장비 사용 매뉴얼 및 안전 지침을 쉽게 접근하도록 지원하며, 비상 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연구 과정에서 LLM은 작업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STT 기술은 음성 명령을 효과적으로 처리한다. 실험 결과, 이 시스템은 작업자의 업무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언어 장벽을 해소하는데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제조업 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과 업무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