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조수율

Search Result 95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Comparison and Use of Yield Models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반도체 제조업에서 사용되는 수율 모델의 비교 및 이용)

  • Park, Kwang-Su;Jun, Chi-Hyuck;Kim, Soo-Young
    • IE interfaces
    • /
    • v.10 no.1
    • /
    • pp.79-93
    • /
    • 1997
  • 지난 30여 년간 반도체 제조 공정 중 FAB공정에서 칩 수율 모델의 개발과 적용은 반도체생산 계획 및 조업 관리를 위해 반도체 제조사들에게는 중요한 관리 대상이 되어 왔으며 제조업체들은 다양한 수율 모델들을 각 업체의 조건에 맞게 채택, 적용하여 왔다. 집적 기술의 발전은 반도체 칩의 크기에도 변화를 가져와 웨이퍼상의 결점들이 형성하는 클러스터를 설명할 수 있어야 했으며 칩 면적의 증가는 새로운 수율 모델을 개발케 하였다. 본 논문은 반도체 제조 공정에 대한 고찰과 수율 계산에 영향을 미치는 결점의 클러스터 효과 및 결점 크기를 중심으로 하는 치명 확률에 대하여 살펴보고, 포아송 모델에서 파생된 대표적인 칩 수율 모델들에 대한 설명과 칩 면적의 변화에 따른 각 모델별 수율 계산 비교 및 반도체 수율의 이용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Development of a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Best Quality Red Ginseng (최고급 품질의 홍삼제조공정 개발)

  • 방승훈;장동일;장규섭;강호양;전병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375-380
    • /
    • 2002
  • 장 등(2001)에 의해 개발된 보급형 홍삼제조용 건조기를 이용하여 최고급 품질의 천지삼(H&EG)등급 홍삼의 수율을 15%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공정 개발을 위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1차 건조시 최적의 상대습도 조건은 60-70%인 것으로 나타났고, 초음파 속도 330-360m/s를 가지는 원료수삼이 홍삼으로 제조된 후 천지삼 수율이 높았으며 내공과 내백도 적게 나타났다. 한편 저장기간별로 우수 홍삼의 제조결과를 보면 최고급 품질의 홍삼제조를 위해서는 수확 후 3일 이내에 제조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최고급품질의 홍삼제조공정의 천지삼 수율측정을 위해 실험을 수행한 결과 천지삼의 평균수율이 18.8%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계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95%의 신뢰를 가지는 수율구간은 14.1%-23.7%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결과를 비모수 X$^2$검증한 결과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과제에 의해 개발된 최고급 품질의 홍삼제조공정기술은 성공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Yield Analysis System in the Very Deep Submicron Design (초고집적 환경에서의 반도체 수율 분석에 관한 연구)

  • 이윤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733-735
    • /
    • 2002
  • 반도체 CAD기술과 제조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반도체 집적도가 2001년 2002년 각각 0.35, 0.25마이크론 등으로 급속도로 증가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집적토의 향상은 기대치 이상의 시스템 성능 향상을 이룩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피할 수 없는 제조 공정의 변화와 불완전성으로 인하여 칩 크기에 제한이 따르게 되며 그 이상의 크기에서는 상용화가 불가능할 정도로 수율(Yield)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기존의 대부분 연구가 반도체의 생산 공정의 관점에서 준비되어 활용되는 통계 자료에 근거한 경험의 축적이었다. 그런 연유로, 단지 반도체 생산 부분의 자료에만 치중하다보니 실지 반도체 수율에 가장 큰 영향의 요소인 랜덤 디펙트(random defect) 수율을 고려하지 못하는 치명적인 결점이 있다. 본 연구는 반도체 수율 분석과 수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설계된 도면 중 레이아웃에 해당하는 도면을 입력으로 하여, 반도체 생산 설비 즉 공정의 상태나 변수를 모델링하여 이를 수율 예측을 위한 기분 자료로 사용한다. 즉, 설계 단계에서 수율을 예측함으로써 과거 64M DRAM의 초기 단계에서의 수율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뿐 아니라, 비 메모리 칩의 수율을 설계단계에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 PDF

Prediction of the Performance Distributions and Manufacturing Yields of a MEMS Accelerometer (MEMS 가속도계의 성능분포 및 제조수율 예측)

  • Kim, Yong-Il;Yoo, Hong-Hee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5 no.7
    • /
    • pp.791-798
    • /
    • 2011
  • All mechanical-system parameters have uncertainty, and this uncertainty directly affects system performances and results in a decrease in the manufacturing outputs. In particular, since the size of a MEMS system is extremely small, the manufacturing tolerances of a MEMS system are relatively large when compared to the tolerances of a macro-scale system. High manufacturing tolerances result from an increase in the uncertainty of the system parameters, thereby affecting the performances and manufacturing yields.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uncertainty of a MEMS accelerometer due to system parameter uncertainty is analyzed by using several uncertainty analysis methods. Finally, the performance distributions and manufacturing yields of the MEMS accelerometer are predicted.

빵 효모의 생산과 발현 전망 - 효모의 연구동향

  • 최용남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9 no.4
    • /
    • pp.39-43
    • /
    • 1993
  • 최초의 압착 빵효모는 1781년경에 Holland에서 Dutch process로 생산되었으며, 이때에 원료에 대한 4-6%의 압착효모만을 생산하였다. 1846년 비엔나에서 효모발효중에 생성된 거품을 계속하여 수집하여 효모를 회수하는 방법인 Vienna process가 Mautner에 의해 개발되었다. 압착효모 생산 수율은 약 14%로 증가되었고, 알코올은 30%이었다. 1879년 Marquardt가 맥주용 당액에 공기를 공급하면서 발효한 결과를 발표한 후, 빵효모제조에도 공기공급 방법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이것은 압착효모의 생산수율은 50-60%로 높아졌으나, Ethanol의 생산 수율은 20%로 떨어지게 되었다. 그후 1919년 Sak(덴마크)와 Hayduck(독일)은 동시에 incremental-feeding과 fed-batch process의 기초가 된 zulauf 방법을 개발하여 발표하였고, 같은 시기에 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식량부족은 원료인 곡류를 당밀로 대체하게 되었으며, 이와 같은 제조기술의 계속적인 발달과 원료의 수율은 이론수율에 도달하게 되었고, 수요의 증가로 인하여 양조산업과 분리, 독립되어 빵효모공업이 발전되었다.

  • PDF

Increasing of the yield rate by selecting the processes in the cross-linked foam production line (가교 발포 폼 단열재 생산공정에서 생산방식의 결정을 통한 생산 수율의 향상에 관한 연구)

  • 임준묵;안응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9.05a
    • /
    • pp.176-181
    • /
    • 1999
  • 가교 발포 공정을 거치는 대부분의 단열재의 생산 제조 공정은 혼합$\longrightarrow$압출$\longrightarrow$성형$\longrightarrow$발포$\longrightarrow$권취$\longrightarrow$포장 과 같은 공정을 거치게 된다. 생산방식에 있어서는 크게 두가치 공정에 따라 대별된다. 하나는 "인-라인" 방식의 제조공정이며 다른 하나는 "오프-라인" 방식의 제조공정이다. "인-라인"의 생산방식은 공정불량의 감지가 용이하고 재공품의 재고가 적은 장점이 있는 반면에 생산수율은 높지 못한편이다. 반면에 "오프-라인"의 생산방식은 생산수율은 상대적으로 매우 높지만 공정불량에 대한 위험이 크며 재공품의 재고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라인" 생산방식과 "오프-라인" 생산방식의 장\ulcorner단점을 분석하여 생산되는 제품에 따라서 적절한 생산방식을 채택하여 줌으로써 회사 전체의 생산성 향상을 제고 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먼저 공정의 분석을 통한 수학적 모델을 제시하고 그 해법을 연구하며,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 PDF

Characterization of Pine Bark Charcoal Prepared from Small and Large-Scale Carbonization Kilns (소용량 및 대용량 탄화로에서 제조된 소나무 수피탄의 특성)

  • 문성필;황의도;박상범;권수덕
    • Journal of Korea Foresty Energy
    • /
    • v.21 no.2
    • /
    • pp.1-9
    • /
    • 2002
  • Pine bark was carbonized by using a small-scale experimental kiln and three different types of large-scale kilns (simple (400-$500^{\circ}C$), improved (600-$700^{\circ}C$) and special kiln (800-$1,000^{\circ}C$). The physical properties and pore structures of the bark charcoals prepared were analyzed. When the bark was carbonized at various temperatures ranging from 500 to $900^{\circ}C$in the presence of nitrogen, carbonization yield decreased rapidly with increasing carbonization temperature and it remained constant from 700 to $900^{\circ}C$. The carbonization yield of the bark was 16 - 18% higher than that of pine wood. The BET specific surface areas and iodine values increased with a decrease in carbonization yield. The BET specific surface areas of the bark charcoals reached about 400 -$500m^2/g$ for carbonization yield of 32-40%. The pine wood charcoal prepared at $600^{\circ}C$ for 30 min resulted in a more microporous structure, whereas the bark charcoal prepared at the same condition was more mesoporous. The carbonization yields an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iodine values and BET specific surface areas of bark charcoals prepared by using the large-scale kilns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the small-scale kil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ine bark could be used as starting material to produce good quality charcoal having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and a high carbonization yield.

  • PDF

Performance of Structural Glulam Laminated with CuAz-3 Preservative Treated Lumber (CuAz-3처리 리기다소나무 제재목을 이용한 구조용 집성재 성능 평가)

  • Kim, Kwang-Mo;Eom, Chang-Deuk;Lee, Sa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9 no.6
    • /
    • pp.521-530
    • /
    • 2011
  • Nowadays, market demand of structural Glulam is growing and diversifying. The durability of Glulam should be significantly considered when they are intended to apply for out-door use such as timber bridge and pergola.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preservative treated structural Glulam using domestic softwood species. 10 m long structural Glulam were manufactured from domestic pitch pine logs with CuAz-3 preservative treatment. At each manufacturing process, the production yield was evaluated. Finally, bending test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manufactured Glulam. From the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preservative treatment process hardly influenced on the production yield. But domestic pitch pine was proved to not be suitable for making the preservative treated Glulam due to the large difference of preservative permeability between sapwood and heartwood.

Effect of Heating Time and Mixed Coagulants for Prepared SPI Tofu (분리대두단백 두부의 제조를 위한 가열시간 및 혼합응고제의 영향)

  • Ku, Kyung-Hyung;Kim, Woo-Ju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6 no.1
    • /
    • pp.26-30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eating times of soy protein isolate(SPI) and mixing ratio of coagulants mixture on water holding capacity(WHC) and oil absorption capacity (OAC) of SPI, texture properties and yield of tofu. The effect of heating at $100^{\circ}C$ on the amounts of coagulants required for coagulation showed that the amounts of $CaCl_{2},\;MgCl_{2}$ and GDL decreased as the heating time extended to $6{\sim}9$ minutes while $CaSO_{2}$ was changed little. The tofu yield showed maximum for the tofu prepared by 6 minutes boiling and coagulation with $CaSO_{4}$. The WHC of SPI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heating at $100^{\circ}C$ while OAC was rather increased until 9 minutes of heating. The textural properties of SPI tofu coagulated with mixed coagulants$(CaSO_{4}-GDL,\;CaSO_{4}-CaCl_{2},\;CaCl_2-GDL)$ showed that softer tofu was obtained as the ratio of $CaSO_{2}$ increased and harder tofu as the ratio of $CaCl_{2}$ and GDL increased. The maximum and minimum tofu yields were prepared from 100% of $CaSO_{2}$ and 100% of GDL, respectively. Organoleptic properties showed that more uniform and tender tofu were obtained with higher portion of $CaSO_{2}$ in the mixed coagulants and higher intensity of sourness and bitterness were scored as the GDL and $CaCl_{2}$ added more.

  • PDF

Comparison of Soybean Varieties for Yield,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oybean Curds (콩 품종에 따른 두부의 수율 및 화학적, 관능적 특성의 비교)

  • Chang, Cheon-Il;Lee, Jung-Kun;Ku, Kyung-Hyung;Kim, Woo-Ju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2 no.4
    • /
    • pp.439-444
    • /
    • 1990
  • Fourteen varieties of soybeans grown in Korea were investigated for their chemical composition, yields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soybean curd. The soybean curd was prepared by soaking, grinding and heating of soybeans followed by filtration, coagulation with $CaSO_4$ and pressing. The proximate analysis showed that soybean curd had the moisture content of $75.0{\sim}82.0%\;and\;48.6{\sim}56.1%\;protein,\;14.8{\sim}40.4%\;lipids\;and\;6.4{\sim}26.8%$ carbohydrate by dry weight basis. The yield of volume total solids and protein from 100g of soybeans were $182.2{\sim}227.5cm^3,\;42.65{\sim}55.60%\;and\; 57.90{\sim}76.50%$, respectively. Among the 14 varieties, the highest volume yield was obtained from Suwon-141 which has the highest contents of moisture, carbohydrate and the lowest in lipids of soybean curd. The curd prepared with Baegun and Jangyeob contained relatively low values in moisture, protein and carbohydrate and yielded the lowest in volume yield. Therefor moisture, protein and carbohydrate contents in soybean curd affected greatly on volume yield. The organoleptic properties of odor and taste couldn't find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hemical composition of soybean curd even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 in their intensities among varie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