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조방식

Search Result 1,30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velopment of Internal Reforming Catalysts and Catalysts Forming Method using Homogeneous Precipitation (균일용액침전법을 이용한 내부개질촉매의 개발과 성형방법에 대한 연구)

  • Jung, Youshick;Rhee, Youngwoo;Koo, Keeyoung;Jung, Unho;Youn, Wanglai;seo, Yongseo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223.2-223.2
    • /
    • 2010
  •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는 $650^{\circ}C$에서 작동하는 고온형 연료전지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천연가스 등을 개질하여 생산된 수소를 바로 전기로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열효율이 높으며, 현재 대체 발전시스템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MCFC는 개질방식에 따라 내부개질 방식과 외부개질 방식이 있다. 내부개질 방식은 수소를 생산하는 개질기가 스택내부에 장착된 형식으로 천연가스를 스택내부에서 개질하여 바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이 내부개질반응에 사용되는 촉매로는 알루미나에 담지된 니켈(Ni) 계열촉매이 주로 쓰이고 있다. 또한 내부개질촉매의 형태는 작은 원주형의 촉매형태로 성형되어 사용된다. 이 성형된 촉매의 크기가 바로 내부개질 스택의 크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래서 촉매의 크기는 되도록이면 작게 성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촉매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촉매를 성형하는데 큰 어려움이 생기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니켈 촉매를 공침법이 아닌 균일용액침전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이 촉매를 이용하여 지름이 약 2 mm 이하로 촉매를 압출성형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먼저 요소(urea)를 이용한 균일용액침전법으로 촉매를 제조하였다. 최적의 촉매 합성조건을 살펴보기 위해서, 반응 온도를 80, 85, 90, 95, $100^{\circ}C$로 변화 시키면서 제조된 촉매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촉매의 적절한 니켈 양을 알아보기 위해서 니켈의 양을 30, 40, 50, 60, 70 wt%로 변화 시켰으며, 조촉매로 사용되는 MgO 양을 5, 10, 15, 20 wt%로 변화 시켜서 제조된 촉매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물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X-선 회절분석(XRD) 및 TPR, 물리화학흡착을 하였다. 그 결과 침전반응온도가 $80^{\circ}C$에서 촉매가 가장 좋은 물성을 보였으며, 우수한 개질성능을 보였다. 그리고 촉매 활성물질인 니켈의 함량은 50 wt% 정도가 가장 적절한 함량이었으며, MgO의 함량이 15 wt%일 때 가장 우수한 물성과 개질 성능을 보여주었다. 이 촉매들은 공침법으로 제조된 상용촉매와 비교하였을 때, 보다 우수한 물성과 개질성능 보였다. 그래서 이 촉매를 균일침전법을 이용하여 대량으로 제조한 다음 압출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촉매를 원주형으로 제조하였다. 먼저 제조된 촉매는 별도의 분쇄작업(볼밀 혹은 제트밀)을 거치지 않아도 입자사이즈가 약 $4{\mu}m$ 수준이 나오도록 촉매 제조조건을 조절 하였다. 그리고 소량의 Methyl cellulose(MC) 바이더와 물만 사용하여 촉매를 혼합한 다음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촉매를 성형하였다. 이 촉매는 지름이 약 2 mm 이하로 제조할 수 있었으며, 기계적 강도는 타정기로 성형한 상용촉매보다 우수하였다. 그리고 촉매 성능 또한 상용촉매와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성능 보였다. MCFC용 내부개질 촉매로 균일용액침전법을 사용한 촉매가 적합하다고 판단되며, 압출성형에도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Desgin of Single Phase Induction Motor using Concentration Winding (집중권 방식을 이용한 단상 유도전동기의 설계)

  • Cha, H.L.;Baek, S.H.;Yun, C.H.;Kang, C.S.;Kim, K.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10c
    • /
    • pp.9-12
    • /
    • 2005
  • 단상 AC 콘덴서 유도전동기(분포권 방식 적용)는 소형 가전제품의 송풍용 모터로 활용되고 있는데, 이 전동기의 가장 큰 장점은 가격이 저렴하다는 것이다. 현재는 제조 원가가 싼 동남아시아에서 공급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로 인해 종래 모터와 비교해서 동일 특성을 가지고 원가 절감을 할 수 있는 집중권 방식의 AC 콘덴서 유도 전동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집중권 방식은 기존 분포권 방식에 비해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Coil-Ending 길이가 짧아 재료비의 저감을 가져올 수 있다. 집중권 방식의 문제인 고조파 문제 해결을 위해 Skew의 도입을 검토하고 슬롯 형상 등을 고려하여 설계한 후 유한요소기법을 이용한 시변 자장 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해석해 보았다.

  • PDF

Studies of the Membrane Formation Techniques and Its Correlation with Properties and Performance: A Review (막 형성 기술 및 특성과의 상관관계 연구 및 성능: 리뷰)

  • Kumari Nikita;Chivukula Narayana Murthy;Sang Yong Nam
    • Membrane Journal
    • /
    • v.33 no.3
    • /
    • pp.110-126
    • /
    • 2023
  • In this review, the approaches, properties, and elements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polymeric membranes for various materials are discussed. The present research emphasizes the proficiency in several membrane formation processes such phase inversion, interfacial polymerization, stretching, track etching, and electrospinning. Additionally, the obstacles and applicability of various application manufacturing processes are addressed. Various polymeric membranes are reviewed with regard to significant surface properties such as surface roughness, surface tension, surface charge and surface functional group. Additional enhancements of popular membrane formation processes like phase inversion and interfacial polymerization are required to ensure advancements in membrane efficiency. Analysing the possibilities of modern manufacturing practices like track etching and electrospinning is also crucial.

Fabrication of Hydrophilic PEGDA Hydrogel-supported Forward Osmosis Membranes (친수성 PEGDA 하이드로젤 지지체 기반 FO 분리막의 제조)

  • Dal Yong Kim;Sung-Joon Park;Jung-Hyun Lee
    • Membrane Journal
    • /
    • v.33 no.6
    • /
    • pp.383-389
    • /
    • 2023
  • A high-performance forward osmosis (FO) membrane was prepared using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 hydrogel as a support layer. Through the UV-induced polymerization and subsequent phase separation of PEGDA, the crosslinked, hydrophilic, and porous PEGDA suppor layer was obtained. To achieve high FO flux and salt selectivity using the fabricated PEGDA support, a selective layer was synthesized via the toluene-assisted interfacial polymerization (TIP), in which toluene is used as an organic solvent. The prepared PEGDA-based FO membrane showed higher FO water flux and lower salt selectivity compared with commercial HTI membranes using 1.0 M NaCl draw solution and DI water feed solution. We propose the strategy to fabricate high-performance FO membranes utilizing supports formed with new hydrophilic materials and fabrication processes.

석유제품이 되기까지

  • Korea Petroleum Association
    • Korea Petroleum Association Journal
    • /
    • no.2 s.84
    • /
    • pp.101-105
    • /
    • 1988
  • ●휘발유의 배합과 가연 ●무연휘발유 제조방식 ●등유의 특성

  • PDF

Mechanical property of plated layer by Mg contents in the Zn-Mg plated steel by PVD process (PVD 방식을 통해 도금된 아연-마그네슘 도금 강판에서 Mg 함량에 따른 도금층의 기계적 특성)

  • Choe, Myeong-Hwan;Byeon, Jong-Min;Kim, Tae-Yeop;Jeong, U-Seong;Kim, Yeong-D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1a
    • /
    • pp.53-53
    • /
    • 2014
  • 아연-마그네슘 합금은 뛰어난 내식성으로 최근 코팅소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아연 도금을 대체할 수 있는 재료로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PVD 방식을 통해 도금강판을 제조할 경우 도금층의 두께 제어가 용이하여 아연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PVD 방식을 통해 제조된 아연-마그네슘 도금강판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내식성 이외에도 일정수준의 기계적 특성 확보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마그네슘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된 아연-마그네슘 도금강판을 대상으로 XRD 분석, 나노인덴테이션 시험을 실시하여, 아연-마그네슘 도금강판 도금층의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상(Phase)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Mixture Study for Early-age Strength Improvement of NAC-typed High-strength Concrete Piles (NAC 방식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의 초기강도증진을 위한 배합에 대한 연구)

  • Yi, Seong Tae;Noh, Jae Ho;Heo, Hyung 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6 no.2
    • /
    • pp.58-64
    • /
    • 2012
  • Due to the influence of global oil prices, industrial productivity, which oil consumption is high, was significantly reduced. AC type of high-strength PHC piles is being manufactured through twice the steam curing process and this have resulted in a significant rise for product's manufacturing costs. NAC way other types of file manufacturing process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by a turn of the steam curing. Nevertheless, because the initial strength be poor than that of AC method, shipment is being after the curing period of approximately three days. In addition, the growth of the product enhance with curing period can not be avoided, as a result, cost of inventory is acting as the rise. Piles by the AC method is immediately shipped after curing, damaging problems does not occur when they are introduced to the field site (for example, pile on-site). In the case of NAC, however, at least after the curing period of three days and after expressing the strength of 80 MPa or more, they are shipped on the scene. Therefore, NAC type has problems as follows: (1) increase in moderate inventory holding costs with type and (2) breakage in the field due to lack of strength. In this study, for NAC-typed PHC files, mixing characteristics research for the strength development at 1 day equivalent to AC method were conducted and strength characteristics with changes of original materials were evaluated were also identified.

Machine Learning based on Approach for Classification of Abnormal Data in Shop-floor (제조 현장의 비정상 데이터 분류를 위한 기계학습 기반 접근 방안 연구)

  • Shin, Hyun-Juni;Oh, Chang-He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11
    • /
    • pp.2037-2042
    • /
    • 2017
  • The manufacturing facility is generally operated by a pre-set program under the existing factory automation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manufacturing facility must decide how to operate autonomously in Industry 4.0.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production facility itself means, for example, that it detects the abnormality such as the deterioration of the facility at the shop-floor, prediction of the occurrence of the problem, detection of the defect of the product, In this paper, we propose a manufacturing process modeling using a queue for detection of manufacturing process abnormalities at the shop-floor, and detect abnormalities in the modeling using SVM, one of the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he queue was used for M / D / 1 and the conveyor belt manufacturing system was modeled based on ${\mu}$, ${\lambda}$, and ${\rho}$. SVM was used to detect anomalous signs through changes in ${\rho}$.

인쇄기법을 이용한 보안필름의 제조

  • Yun, Seong-Man;Yu, Jong-Su;Jo, Jeong-Dae;Kim, Gwang-Yeong;Gang, Jeong-Sik
    • 기계와재료
    • /
    • v.22 no.3
    • /
    • pp.14-21
    • /
    • 2010
  • 디스플레이의 기술 발달에 따라 전자소재용 기능성 필름이 각광받고 있다. 용도에 따라 제작 방법도 다양하고 생산 방식에도 차이가 있지만, 제조 기간이나 비용이 많이 소모되어 절감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보안필름은 기능성 필름의 한 종류로서, 제조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저가의 대량생산을 위해 최근에는 인쇄기법을 이용해 보안필름의 원리에 부합하는 필름을 제조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원고에서는 인쇄기법 기반으로 안료 및 감광필름을 이용해 보안필름을 제조한 경우를 통하여 새로운 보안필름 제조방법에 대해 접근 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