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어 시스템 시뮬레이터

Search Result 44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riving Simulator for Improvement of Unmanned Vehicle Remote Control (무인차량 원격주행제어 신뢰성 향상을 위한 통합 시뮬레이터 구축에 관한 연구)

  • Kang, Tae-Wan;Park, Ki-Hong;Kim, Joon-Won;Kim, Jae-Gwan;Park, Hyun-Chul;Kang, Chang-Ke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6
    • /
    • pp.86-94
    • /
    • 2019
  •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unmanned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which is configured with steering and accelerating/braking hardware to improve the sense of reality and safety of control. Generally, in these case of the remote control system, a joystick-type device is used for steering and accelerating/braking control of unmanned vehicle in most cases. Other systems have been developing using simple steering wheel, but there is no function of that feedback the feeling of driving situation to users and it mostly doesn't include the accelerating/braking control hardware. The technology of feedback means that a reproducing the feeling of current driving situation through steering and accelerating/braking hardware when driving a vehicle in person. In addition to studying feedback technologies that reduce unfamiliarity in remote control of unmanned vehicl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remote control system with hardware that can improve sense of realit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liable remote control system is developed and required system specification is defined for applying force-feedback haptic control technology developed through previous research. The system consists of a steering-wheel module similar to a normal vehicle and an accelerating/braking pedal module with actuators to operate by feedback commands. In addition, the software environment configured by CAN communication to send feedback commands to each modules.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remote control system, the force-feedback haptic control algorithms developed through previous research were applied, to assess the behavior of the algorithms in each situation.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 Obstacle Simulator for Autonomous Navigation System using Intelligence Techniques (지능형 자율운항시스템을 위한 주변객체시뮬레이터 구현)

  • 이원호;김창민;김용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89-92
    • /
    • 2002
  •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는 해양 충돌 사고 증가의 원인은 선박을 조종하는 항해사의 잘못된 판단 에 의한 부주의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적극적인 방법은 선박에 자동화 및 지능화를 부여하여 항해사의 실수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연구는 선박의 자율운항시스템(autonomous navigation system)이 있는데, 이는 선박운항에 있어 항해계획을 수립하고 현재의 선박의 상태를 파악하여 선박을 적절히 제어하는 항해 전문가시스템이다. 선박 자율운항시스템은 실세계의 선박에 장착되어 실험하여야하나, 선박은 고가의 운송수단이고, 자율운항시스템을 장착하기 위한 하부장치 인터페이스를 설계 및 구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실제 선박을 모방하는 선박시뮬레이터를 이용하는 방법이 타당하다. 선박시뮬레이터는 선박의 물리적 운항특성을 모방하는 선박운동시뮬레이터와 선박 운항 주변에 변화하는 장애물을 시뮬레이터 하는 주변 객체시뮬레이터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 운항 주변에 등장하는 장애물 변화를 시뮬레이션하고, 이에 기반한 ARPA RADAR를 모의 가동하는 주변객체시뮬레이터를 개발한다.

Plant-control Simulation Analyzer (CANDU형 원자력발전소 - 제어모사해석기의 개발)

  • 김성배
    • Nuclear industry
    • /
    • v.16 no.1 s.155
    • /
    • pp.70-84
    • /
    • 1996
  • 시뮬레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CANDU 설계분석시스템 구축을 장기목표로 한 플랜트-제어모사해석기는, 단기적으로는 플랜트의 동적 성능 분석에 의한 원자력 엔지니어들의 개념교육, 발전소 운전원들에 대한 현상학적 발전소 거동이해, 종합적 엔지니어링 시뮬레이터 개발을 위한 R&D 도구로서의 역할이 기대되며, 장기적으로는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의 공유를 통한 CADD,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플랜트설계분석시스템의 통합을 이룰 수 있는 기반기술로 자리잡게 될 것이다. 특히 가상현실이라는 개념을 도입해 값비싼 실제 플랜트시설 없이 다양한 운전상황하에서의 플랜트의 성능과 상태를 현장감 있는 환경을 구성해서 모니터링하고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에 활용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an Interface Module with a Microscopic Simulation Model for COSMOS Evaluation (미시적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실시간 신호제어시스템(COSMOS) 평가 시뮬레이션 환경 개발)

  • Song, Sung-Ju;Lee, Seung-Hwan;Lee, Sang-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2 s.73
    • /
    • pp.95-102
    • /
    • 2004
  • The COSMOS is an adaptive traffic control systems that can adjust signal timing parameters in response to various traffic condition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COSMOS systems, the field study is only practical option because any evaluation tools are not available. To overcome this limitation, a newly integrated interfacing simulator between a microscopic simulation program and COSMOS was developed. In this paper, a detector module and a signal timing module as well as general feature of the simulator were described. A validation 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data flow within the simulator. It was shown that the accuracy level of information from the simulator was high enough for real application. Several practical comments on further studies were also included to enhance the functional specifications of the simulator.

CG image product system by virtual control of simulator camera (시뮬레이터 카메라 가상제어형 VFX 영상제작시스템)

  • Du, Yi-chen;Dong, Xiao;Ko, Jae-Hyu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3
    • /
    • pp.195-20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virtual CG - based image production system for a simulator camera. The video production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is designed to synchronize the virtual camera of the graphic tool with the simulator camera at the shooting site and the CG application image editing, And can be easily and easily performed through a graphic tool by being controlled virtually through a control interface. Blaze Knights, an animation created by Dongseo University, was used to illustrate the superiority of the research results by comparing the progress and the amount of work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CG artist's work efficiency is increased, while the physical constraint is minimized when the scene of the CG application image is minimized. It is possible to produce various scenes and minimize the re- We expect the contribution to the industry to be high.

Drivers' Trust and Distraction toward Driver Assistance Systems (운전자지원시스템에 대한 운전자의 신뢰와 방심)

  • Sung, Dong-Hyun;Lee, Woon-S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150-155
    • /
    • 2007
  • 운전자지원시스템과 같은 자동화 시스템은 필연적으로 시스템에 대한 운영자의 신뢰와 적응을 초래하는 데, 이는 결국 동시에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적응순항제어시스템은 대표적인 운전자지원시스템으로서 앞 차량과의 안전 거리와 속도를 자동적으로 제어하여 운전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적응순항제어시스템에 대한 운전자의 신뢰와 방심 효과를 조사하였다. 차량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왕복 2차선과 4차선이 혼합된 자동차 전용도로의 가상 주행 환경을 구축하고, 다양한 주행 상황하에서 운전자의 조종 능력과 대처 능력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적응순항제어시스템에 대한 운전자의 신뢰와 적응은 운전자의 성향에 관계없이 일관된 차간 거리 시간, 가감속값 등을 설정하도록 유도하였고, 결과적으로 안전도와 편의성을 향상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맹목적인 신뢰와 적응은 돌발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의 저하, 주의 산만, 방심 등을 초래하였고, 결과적으로 안전도를 저하시킴도 확인할 수 있었다. 운전자지원시스템의 이러한 부정적인 효과를 방지하고, 보다 견실하게 운전자의 편의성과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 PDF

Development of a High Pressure Turbine Bypass System Pressure Control Model for Power Plant Simulator (발전소 시뮬레이터를 위한 고압 터빈 바이패스 압력 제어 모델 개발)

  • Byun, Seung-Hyun;Lee, Joo-Hyun;Lim, Ick-H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0 no.4
    • /
    • pp.49-58
    • /
    • 2011
  • It is required that a developed control system should be verified using simulator in terms of functionality and reliability prior to application to a power plant that is a very critical facility in the industry. In this paper, the control model for turbine bypass system was developed for power plant simulator. In order to develop the control model for turbine bypass system, the tool that can be used to implement turbine bypass control logic was developed based on the turbine bypass control system manual. The developed tool was merged into the simulator development environmen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eloped tool was verified via the simulation based on the each function block specification. The HP turbine bypass pressure control logic was implemented using the developed tool and was integrated with process models and other control models such as boiler control model, turbine control model and boiler feed water pump turbine control model for 500 MW korean standard type fossil power plant. Finall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control model was shown via simulation result under the integrated simulation environment.

Development of a water treatment efficiency prediction simulator capable of continuous and stable maintenance of water quality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질 유지관리가 가능한 정수처리 효율 예측 시뮬레이터의 개발)

  • Lee, Inhwa;Lee, Tae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15-215
    • /
    • 2022
  • 현재 국내 정수시설은 정수공정별 감시제어-데이터수집시스템(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에 기반하여 감시제어 및 모니터링 위주로 운영·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주요 핵심 공정인 응집제 약품투입, 소독 및 여과 설비 공정의 운영방식에 있어서 선험적 운영지식에 의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안정적 운영을 위해서는 표준적이고 체계적인 운영관리 수단이 필요하다. 국외에서는 다양한 운영 조건에 기반한 정수처리 효율을 예측할 수 있는 모의(simulation) 도구의 개발을 통해 기존 운영되고 있는 정수장의 효율을 예측하는 데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실시간 운영관리가 가능한 기반을 구축하여 정수처리의 효율을 예측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 개발을 통해 정수처리 공정별 기본 및 조합의 공정 시뮬레이션 모의 모듈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개발된 기술의 실증 운영을 통해 검증된 모듈을 반영한 정수장 시뮬레이터 시스템을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수장 시뮬레이터는 수질정보, 물질수지, 수두손실등의 운영현황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 착수-혼화-응집-침전-여과-소독 등 개별 공정별 주요 운전변수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통한 운영관리 기능, 원수 수질변화에 신속한 대응을 위한 정수처리 공정제어 의사결정지원 기능, 그리고 온라인 관망해석을 포함한 정수처리 전(단위)공정 시뮬레이터 기능 및 공정별 운영인자 최적화 기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운영 중인 정수장의 공정별 운전 상태를 평가·관리하여 정수공정 운영 안정화 체계를 확보하고, 정수장의 유량과 수질의 갑작스런 변화에 따른 모의를 통한 수질예측으로 실시간 정수장 최적운영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원수 성상에 따른 적정 공정운영 자동화로 운영비 절감 및 효율적 인력 활용으로 정수장 운영 효율성을 제고함으로써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정수장 운영 체계를 확보할 수 있다.

  • PDF

Implementation of Embedded System Based Simulator Controller Using Camera Motion Parameter Extractor (카메라 모션 벡터 추출기를 이용한 임베디드 기반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제어기의 설계)

  • Lee Hee-Man;Park Sang-J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4
    • /
    • pp.98-108
    • /
    • 2006
  • In the past, the Image processing system is independently implemented and has a limit in its application to a degree of simple display. The scope of present image processing system is diversely extended in its application owing to the development of image processing IC chips. In this paper, we implement the image processing system operated independently without PC by converting analogue image signals into digital signals. In the proposed image processing system, we extract the motion parameters from analogue image signals and generate the virtual movement to Simulator and operate Simulator by extracting motion paramet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