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어노드 선택

Search Result 92,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Antenna Selection and Power Control Method for Uniform Circular Array Antennas Beamforming (원형 배열 안테나 빔 형성을 위한 안테나 선택 및 제어 방법)

  • Park, Seongho;Park, Chul;Kim, Hanna;Chung, Jaeha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4 no.1
    • /
    • pp.68-76
    • /
    • 2015
  • This paper proposes the antenna selection scheme and power control algorithms of multiple nodes beamforming when the vehicles equipped with circular array antennas is moving and construct mobile mesh networks. The proposed antenna selection scheme chooses beamforming antenna elements considering antenna radiation gain and allows duplicated antenna selection for multiple adjacent nodes. The proposed power control algorithms maximize SIR for the duplicated antenna selection. The simulation demonstrates that the proposed antenna selection and power control achieve 2.5dB higher SIR gain than that of conventional methods when two nodes are apart from $15^{\circ}$.

A Leader Election Algorithm and Performance Evaluation for Mobile Ad hoc Networks (이동 에드 혹 네트워크를 위한 제어노드 선택 알로리즘 및 성능 평가)

  • Parvathipuram Pradeep;Yang Gi-Chul;Oh Sooyul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1C no.6 s.95
    • /
    • pp.829-834
    • /
    • 2004
  • Nodes communicate through wireless channels under peer-to-peer level in ad-hoc mobile networks. The nodes are free to move around in a geographical area and are loose]y bounded by the transmission range of the wireless channels. Also, a node is completely free to move around, there is no fixed final topology. Hence, to manage the inter-node communication and data exchange among them a leader node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 efficient leader election algorithm for mobile ad hoc networks where inter-node communication is allowed only among the neighboring nodes. Furthermore we present the result of performance evaluation through simulation. The algorithm is efficient and practical since it uses least amount of wireless resources and does not affect the movement of the nodes.

Force calculation method for Performance of partitioning that apply FDS (FDS 를 응용한 분할의 성능을 위한 힘 계산방법)

  • Oh, Ju-Young;Park, Do-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467-470
    • /
    • 2003
  • 통합설계의 분할 단계에서 스케줄링을 함께 고려하기 위해 FDS(Force-Directed Scheduling) 를 응용하는 기존의 방법들은 분할될 노드를 선택하면서 그 노드가 스케줄 되어야 하는 제어구간을 결정한다. 그러나, 노드를 선택하기 위해 힘을 응용하는 기존의 분할 방법들은 알고리즘 실행시간은 현격하게 줄이는 반면 성능은 저하되는 결과를 보인다 FDS 응용 기법은 노드의 모빌리티와 구현비용에 따라 분할할 대상 노드를 결정하고 분할 이후에 다른 노드들의 모빌리티를 변경하게 된다. 따라서, 분할 대상 노드들 중에서 어떤 노드를 최초로 선택하여 분할하는가에 따라서 전체적인 분할의 결과가 영향을 받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힘 응용에 의한 분할 알고리즘의 실행시간 측면에서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효과적인 처음 분할 대상 노드 선택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논문에 의한 분할 결과는 기존 방법의 알고리즘 실행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면서 개선된 성능을 보인다.

  • PDF

Neighbor Discovery Protocol Based on Inhibited and Priority Access Controls for Multihop Cellular Networks (멀티홉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억제 및 우선순위 접속 제어기반의 이웃노드 탐색 프로토콜)

  • Choi, Hyun-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11
    • /
    • pp.2533-2540
    • /
    • 2013
  • In multihop cellular network environments, the mobility of nodes is a major obstacle to find a reliable routing path between a mobile node (MN) and the access node (AN).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st and reliable neighbor discovery protocol that enables the fast and reliable neighbor discovery by considering the node mobility in the multihop cellular network. The proposed neighbor discovery protocol inhibits the transmission of unnecessary control messages to quickly find a suitable neighbor node (NN) and performs a priority-based access control to transmit control messages without collision in the order of NN desirable to be selecte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neighbor discovery protocol can discover the NNs faster than the conventional scheme and select a more reliable relay node although the number of neighbor nodes increases and the node mobility increases.

Group core election for efficiency of control tree in 2-layer reliable multicast (2계층 구조의 신뢰적 멀티캐스트에서 제어 트리의 효율성을 고려한 그룹 대표 결정 기법)

  • Yi, Dong-Un;Lee, Seung-Ik;Ko, Yang-Woo;Lee, Do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d
    • /
    • pp.223-227
    • /
    • 2006
  • 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다자간 그룹 통신 환경이 주목을 받게 되었고 이를 위해 다대다 멀티캐스트를 이용한 통신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이들 중 GAM (Group Aided Multicast) 은 다대다 멀티캐스트의 신뢰적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 트리 기반의 손실 복구 기법을 제안하고, 제어 트리 관리 비용과 손실 복구 효율성간의 접점을 찾기 위해 그룹 개념을 도입하고 그룹의 대표로서 코어 노드를 정의한다. 코어 노드는 네트워크 상의 특정 지점에 미리 설치된 전용 노드로서 그룹 내의 손실 복구와 그룹 간의 손실 제어를 담당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용 코어 노드의 도입은 프로토콜의 가용성을 제한하고 코어 노드의 설치 부담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별도의 코어 노드의 설치 없이 프로토콜이 동작할 수 있도록 세션 참가자 중에서 코어 노드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로컬 그룹 노드 중에서 제어 트리의 효율성을 최대한 보장하는 노드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 PDF

Closed-Loop Power Control fo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in Time-Varying Underwater Acoustic Channel (시변 수중 음향 채널에서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폐루프 전력 제어 기법)

  • Seo, Bo-Min;Cho, Ho-Shi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2 no.12
    • /
    • pp.32-40
    • /
    • 2015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is one of the promising medium access control scheme for underwater acoustic sensor networks due to its beneficial features such as robustness against frequency-selective fading and high frequency-reuse efficiency. In this paper, we design a closed-loop power control scheme for the underwater CDMA, to adapt time-varying acoustic channel. In the proposed scheme, sink node sends to sensor nodes the associated path loss which is acquired by uplink-channel analysis based on received packets from the sensor nodes. Then, sensor nodes adjust their transmission power in an adaptive manner to time-varying underwater acoustic channel, according to the informations sent by the sink node.

A Study on Selecting Proper Nodes : Selecting the Surrogate Nodes Using Priority Algorithm for Fast Recovery in Industrial IoT System (적절한 노드 선택에 관한 연구 : 산업용 IoT시스템에서 빠른 복구를 위한 우선순위 알고리즘을 사용한 대리 노드 선택)

  • Roh, Tae-Kyun;Lee, Soo-Yeon;Chung, Tai-M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109-1111
    • /
    • 2017
  • 본 논문은 다양한 센서들과 디바이스들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 산업 IoT 환경에서 실시간 분산 제어 역할을 하는 마스터 노드(Master Node)인 CPS시스템이 시스템장애 또는 내,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정상적인 수행을 하지 못할 때 일시적으로 마스터 노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싱크노드(Sink Node)를 선정하여 대리 마스터 노드를 결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산업 IoT환경에서 마스터 노드의 역할로써 중요한 파라미터들을 선정한다. 이 후 상황에 따라 파라미터들의 가중치를 변경하여 우선순위 알고리즘을 통해 지속적으로 싱크 노드들의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마스터 노드와 싱크노드들 간 공유하게 된다. 마스터 노드의 결함이 발생 시 우선순위가 높은 싱크노드가 마스터 노드의 역할을 대신 수행하여 예기치 못한 상황에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Power-limited Cooperative Diversity with Selection Combining in Rayleigh Fading for Wireless Ad-hoc Networks (레일레이 페이딩하에서 무선 ad-hoc 네트워크를 위한 전력제한된 선택결합 협동다이버시티)

  • Kim Nam-Soo;Lee Ye-Ho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1 no.8A
    • /
    • pp.769-774
    • /
    • 2006
  • Based on the performance of a cooperative diversity with selection combining in Rayleigh fading, the power control range of a relay node is investigated. Also the effect of the power-limited relay node to the system performance is investigated. If the average signal-to-noise ratio(SNR) of each signal path is equal, the single relay cooperative diversity is obtained 13.5dB gain at the outage probability of $1{\times}10^{-3}$ in Rayleigh fading. We noticed that the limited power of a relay node severely degrades the system performance. Therefore the node with limited power in ad-hoc network is not recommended as a relay node in cooperative diversity system.

Traffic Flow Control of B-NT for Prevention of Congestion in B-ISDN UNI (B-ISDN UNI에서 폭주를 예방하기 위한 B-NT의 트래픽 흐름 제어)

  • 이숭희;최흥문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19 no.6
    • /
    • pp.1085-1094
    • /
    • 1994
  • We propose a traffic flow control scheme of B-NT with temporary cell buffering and selective cell discarding to prevent congestion state of the network nodes in B-ISDN systems to reduce or suppress output cell strams towards T interface. We define the states of the network nodes as normal, pre-congestion, and congestion. In a pre-congestion state, the loss-sensitive traffic is temporarily buffered to slow down the rate of the output traffic streams. In a congestion state, the delay-sensitive traffic is selectively discarded to suppress the output traffic streams as possible in addition to the cell buffering. We model the input cell streams and the states of the network nodes with Interrupted Bernoulli Process and 3-state Markov chain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in the B-NT system. The appropriate size of the cell buffer is explored by means of simulation and the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by the network node state is discussed. As results, more than 2,00 cells of buffer size is needed for the control of medium of lower than the medium, degree of congestion occurrence in the network node while the control of high degree of congestion occurrence is nearly impossible.

  • PDF

FCM-based RBF Network Using Fuzzy Control Method (퍼지 제어 기법을 이용한 FCM 기반 RBF 네트워크)

  • Kim, Tae-Hyung;Park, Choong-Shik;Kim, Kw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8.06a
    • /
    • pp.149-154
    • /
    • 2008
  • FCM 기반 RBF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학습 구조가 결합된 혼합형 모델로서, 입력층과 중간층의 학습 구조는 FCM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중간층과 출력층 사이의 학습 구조는 Max_Min 신경망을 적용한다. 입력층과 중간층의 학습시 입력벡터와 중간층의 노드중에서 중심과 입력벡터간의 가장 가까운 노드를 승자 노드로 선택하여 출력층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중간층과 출력층 사이의 학습 구조는 Max_Min 신경망을 적용하여 중간층의 승자 뉴런이 출력층의 입력벡터로 적용한다. 하지만 많은 패턴이 입력벡터로 제시될 경우 학습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간층과 출력층의 학습 구조인 Max_Min 알고리즘의 학습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퍼지 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학습률을 동적으로 조정하는 퍼지 제어 기법을 이용한 FCM 기반 RBF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의 학습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영상에서 추출한 숫자, 영문 식별자를 학습 데이터로 적용한 결과, 기존의 ART2 기반 RBF 네트워크보다 학습 시간이 적게 소요되고, 학습의 수렴성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