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약 이론

Search Result 590,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ketch of an Optimality Theoretic Account of Anaphora Resolution in Korean

  • Hong, Minp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Language and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2.06a
    • /
    • pp.10-38
    • /
    • 2002
  • 본고는 한국어 영형 대명사의 적절한 해석을 위해 개념적으로 전혀 새로운 이론을 제안한다. 일련의 다양한 제약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음을 보인 후, 그러한 규칙의 다양성을 적절히 포착하기 위해 적절성 이론 (Optimality Theory)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고, 그 토대 위에 다양한 제약들을 형식화한 후, 그 규칙들의 위계관계를 설정한다. 가장 우선순위를 갖는 제약으로 인접 요소간 어휘의미자질들이 일치해야 한다는 어휘의미제약(*Feature Mismatch)과 통사적 결속규칙을 의미론적으로 재해석한 결속원리 B(Principle B)를 선정한다. 그 다음 순위를 갖는 제약으로, 가능한 한 선행명사를 지칭하도록 요구하는 대용존중제약(DOAP: Don't Overlook Anaphoric Possibilities)과, 센터링 이론의 전이방식 개념을 도입하여 정의한 계속선호제약 (CONTINUE)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TOC(Theory of Constraints) based Manufacturing system (TOC(Theory of Constraints)를 기반으로 한 최적생산시스템 연구)

  • 류인화;윤희성;김창은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538-541
    • /
    • 2000
  • Goldratt박사에 의해 제창된 TOC(Theory of Constraints)는 제약조건을 찾아 개선시켜 없애고 시스템 심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는 제약이론이다. 생산공정을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 제약이란 없을 수가 없다. 따라서 기존의 MRP나 PERT/CPM과 같은 무한 자원 스케줄링으로는 예상하지 못한 문제가 도출될 수 밖에 없는 한계를 제약공정의 자원능력이 유한하다는 가정에서 출발하는 제약이론으로 자원활용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TOC와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는 생산시스템인 JIT와 비교하여 아직 국내에는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TOC를 기반으로 최적 생산시스템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한국 기혼부부의 가사노동분업

  • Eun, Gi-Su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2 no.3
    • /
    • pp.145-171
    • /
    • 2009
  • 이 연구는 한국 기혼부부가 가사노동을 어떻게 분담하고 있고, 가사노동시간의 배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검증하고 있다. 개인적인 차원에서 부부인 남성과 여성이 어떻게 가사노동을 분담하는지 밝히기 위해 성 이데올로기론, 시간제약이론, 상대적 자원이론 등 세 이론을 검토한 후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00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 가운데 현재 결혼해서 부부가 함께 한 가구에서 살고 있는 경우만 추출하고 부부의 자료를 하나의 레코드로 변환하여 부부의 가사노동분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성 이데올로기론에서 나온 성역할에 관한 태도는 남성이나 여성 모두 가사노동시간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역할에 관한 태도나 가치가 가사노동이라는 행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시간제약이론에 따라 설정된 상대적 노동시간은 남성과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변수가 들어간 모형의 설명력이 특히 여성의 경우 높게 나타나고 상대적 노동시간이 가사노동시간에 미친 영향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 유의미하고 영향은 남성과 여성 모두 비선형적인 형태를 나타낸다. 반면에 상대적 자원이론에 따른 상대적 소득의 효과는 남성의 경우 여성의 소득이 증가하면 남성의 가사노동 참여가 꾸준히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며, 여성의 경우는 일단 여성의 소득이 있게 되면 소득의 다과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가사노동을 줄이는 것으로 보인다.

다 요소를 고려한 DBR 기반 생산 일정계획에 관한 연구

  • 이경록;조성진;서장훈;조용욱;박명규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1.11a
    • /
    • pp.15-19
    • /
    • 2001
  • 80년대 골드랫 박사에 의해 이론이 소개된 이후, 북미와 유럽 지역에서 많은 학자와 기업가들에 의해 연구, 현장에 적용되면서 오늘날 경영혁신 기법들을 주도하는 이론으로 자리잡은 제약이론(Theory of Constraints)은 최근에야 비로소 국내에 소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소개된 대부분의 연구가 TOC를 구성하는 여러 엔진 중 DBR에 국한된 것들이며, DBR 스케줄링 역시 아직은 이론적 연구에 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여러 DBR 스케줄링 연구에서 보여진 한계, 즉 제약자원을 선정하는 데 있어, 자원이 가진 부하비율(부하/능력)만을 선정의 기준으로 고려하는 것에서 벗어나 실제 생산현장에 존재할 수 있는 여러 요소를 고려한 스케줄링 방법을 제시하였다. 각 제약자원들의 중요도를 고려하는데 있어서, 객관적 요소와 주관적 요소를 분류한 후 여러 전문가가 각각의 주관적 요소에 부여된 값을 다구찌 기법에서 이용하는 SN비로 계산하고 그 값들을 정규화 하였고, 주관적 요소와 객관적 요소를 위한 가중치 또한 SN비로 계산하고 그 값들을 정규화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은 여러 요소들을 고려한 제약자원의 결정에 있어서 다른 요소들에 대한 다수의 전문가의 의견 통합을 시도하였고, 동시에 제약자원 결정에 있어서 임의의 요소에 전문가들이 부여한 값들의 평균이 크고 그 값들이 차이가 적은 즉, 거의 일치한 평가를 내리는 자원을 제약으로 선정하고 스케줄링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 PDF

Study on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of Diagnostic Medical Blood Analyzers using Theory of Constraints and Simulation (제약이론과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진단 의료 혈액분석기의 생산성 향상 방안 연구)

  • Maeng, Ju-Hyuck;Lee, Kang-W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2 no.2
    • /
    • pp.21-31
    • /
    • 2013
  • There is a high demand for the diagnostic medical blood analyzer in the global medical device market. The domestic market is in infant stage, but expected to grow very fast. In this study, we attempt to provide several ways for production improvement in order to secure pric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medical blood analyzer. For this purpose we identify the problems of current production process using ARENA simulation and suggest several alternatives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Five steps of TOC (Theory of Constraints) and ARENA simulation are employed to predict productivity of each alternative and to suggest further improvement.

Analysis of constraints about using for e-learning in Sports Class (전공체육 강의에서 e-러닝 활용의 제약 분석)

  • Choi, s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410-41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straints about using for e-learning in sports class. These class were leisure studies, swimming, soccer, tennis class as a core requirement and address of homepage was http://sunghun.ulsan.ac.kr. The research methods were deep interview, observation, and description of instructo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nstraints of students in e-learning were low skill of computer, problem of sharing information, lack of interaction. Second, constraints of instructor in e-learning were confusing of term, lack of recognition, lack of time and skill, considering of co-instructor, and burden of e-learning. Third, structural constraints in e-learning were administrative constraints and technical constraints.

  • PDF

TOC based Approach for Workflow Management System (워크플로우 관리시스템을 위한 제약이론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

  • Kim, Hun-Tae;An, Dong-Jun;Gang, Seok-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556-559
    • /
    • 2004
  • 본 논문은 제약이론의 프로세스 운영 개선기법에 기반하여 워크플로우에서 제약 자원을 찾고, 워크플로우의 운영 성과가 개선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업무 흐름 관리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거의 워크플로우 기록을 분석하여 제약업무담당자(CCP)를 결정하고, 제약 업무 담당자의 업무처리속도에 발생된 프로세스 인스턴스의 워크플로우 투입속도를 동기화하여 CCP의 업무부하가 일정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하며 비 제약 업무담당자의 여유능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CCP의 업무부하를 가능한 업무담당자들에 분산시킴으로써 프로세스 인스턴스의 처리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을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전체 워크플로우가 효율적으로 운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On the Anaphora Resolution in Korean Dialogues -in the Framework of the Controlled Centering Theory (한국어 대화에서의 대명사의 선행사 탐색 -통제된 중심화이론적 접근)

  • Lee, Ik-Hwan;Lee, Min-Hae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382-388
    • /
    • 1999
  • 이 논문은 두 가지 목적을 가진다. 첫째, 대명사의 선행사 탐색을 위한 이론으로 널리 알려진 중심화이론을 필자들이 수정확대한 통제된 중심화 이론(Controlled Centering Theory, 이하 CCT)을 소개한다. 둘째, 한국어의 대화에서 나타나는 대명사의 선행사 탐색문제에 대한 설명력있는 해답을 CCT의 틀안에서 제시한다. 이를 위해 제한된 영역 대화라 할 수 있는 호텔예약대화에 나타나는 영대명사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고, 그 선행사 탐색과 관련하여, 정보구조적인 관점에서 슬롯연결성분이 영대명사의 선행사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중심화이론의 주요 구성요소인 전향적 중심리스트 서열의 최상위에 슬롯성분이 위치해야 한다는 논지를 전개한다. 어떤 영대명사의 선행사가 될 수 있는 후보자가 여럿일 경우에 가장 적합한 선행사를 찾아내기 위해서는 별도로 '개념양립성제약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광역대화에 나타나는 명시적인 대명사의 선행사 탐색과 관련하여서는 대명사의 선행사는 대명사를 담화통어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는 담화통어제약을 제안하고, 담화통어 개념을 정의한다.

  • PDF

The Suggestion of a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Process Model Based on Recreation Specialization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를 기반으로한 여가활동 참여과정 모형 제안)

  • Lee, Mu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157-158
    • /
    • 2014
  • 본 연구는 여가활동 참여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여가활동 참여과정 모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진지한 여가,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 여가촉진 등 다양한 여가학 이론 및 선행연구들을 심도 있게 고찰하였으며, 다양한 분야의 관련 이론 및 모형들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를 근간으로 9개 영역($3{\times}3$)으로 구성된 여가활동 참여과정 모형을 최종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

The Position of [lateral] in Feature Geometry

  • Jun Jongho
    • MALSORI
    • /
    • no.29_30
    • /
    • pp.95-104
    • /
    • 1995
  • 최근 음운론에서 lateral 자질이 자질수형도에서 어디에 위치하는가에 대해 두 가지 접근이 있어 왔다. Levin(1988)은 lateral이 coronal에만 나타나는 제약에 기초해서, lateral 자질이 coronal 마디의 의존자질이라고 주장한다. 이에 반해 Rice & Avery(1991), 그리고 Shaw(1991)는 lateral 자질이 자질수형도의 위쪽에 위치한다고 주장한다. 이 두 이론을 비교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음운론적인 요소들과 음성학적인 요소들을 고려한다. 첫째, 음성학에서 lateral의 기능은 lateral이 일반적으로 수형도 위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조음방법 자질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Papuan 언어군에서 보고된 Velar lateral의 존재는 lateral이 coronal에만 나타난다는 제약을 무효화하면서 Levin이론의 전제를 의심스럽게 한다. 셋째, 몇 가지 다른 유형의 동화 현상에 대한 논의는 동화현상이 lateral이 수형도의 위쪽에 위치하는 이론에서 더 잘 설명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마지막으로 Chumash와 Tahltan의 coronal harmony에서 나타나는 lateral의 transparency와 Cambodian과 Javanese에서 나타나는 OCP효과 따위도 lateral이 조음위치 마디의 의존 자질인 이론에서는 설명될 수 없는 underspecified lateral의 증거를 제시한다. 이와 같은 논의에 기초해서 본 논문의 결과는 lateral이 수형도 위쪽에 위치한다는 주장이 옳음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