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빵적성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7초

우유단백질과 다당류 혼합물을 첨가한 냉동반죽의 품질 특성 (Quality Attributes of Frozen Dough Mixed with Milk Protein-Polysaccharide Materials)

  • 손진한;정정일;오덕환;김재명;은종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18-52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냉동반죽의 동결장해.손상으로 제빵성이 저하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우유단백질과 다당류 혼합물을 냉동반죽에 첨가하여 farinograph와 amylograph를 사용하여 반죽 특성 및 호화 특성 그리고 반죽부피를 조사하였다. Farinogram에 의하면 CA와 CK 첨가구의 수분 흡수율이 대조구보다 증가하였고 반죽 형성시간의 경우에는 CA 첨가구가 대조구의 3배정도 증가하였으며 WA 첨가구도 대조구보다 증가하였다. Amylogram에 의하면 CA, CK 그리고WK 첨가구가 호화개시 온도가 증가하였고, 최고 점도 도달 온도에서도 대조구보다 증가하였으나 최고 점도는 대조구보다 감소하였다. 우유단백질과 다당류 혼합물의 첨가로 반죽의 부피가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위의 결과들을 통해 단백질 다당류 혼합물을 첨가할 경우 제빵 적성을 향상시켜주며 CA와 WA를 냉동반죽 제조 시 첨가하면 동결손상으로 인한 제빵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으며 빵의 노화를 지연시켜 저장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산 Triticale 의 식품 이용에 관한 연구 (Nutritional Quality and Food-Making Performance of Some Triticale Lines Grown in Korea)

  • 신현국;배성호;박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9-65
    • /
    • 1980
  • 한국산 triticale과 연질 밀을 사용하여 그들의 이화학적 특성, 제분 특성 및 제품 특성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Triticale은 단백질 함량이 높고 아미노산 조성도 밀 보다 양호하였으나 제한 아미노산은 역시 lysine이었다. 2. Triticale 의 식품 이용상의 문제점은 밀가루 수율이 떨어진다는 점과 $\alpha-amylase$ 역가가 높다는 점이었다. 3. 밀가루 수율이 밀보다 약 10% 정도 낮았으며 제빵으로 이용하는 경우 빵의 용적이 밀 보다 떨어졌다. 4. 그러나 triticale도 국수 제조에는 큰 문제가 없었으며 $M_{1}A$ 품종의 경우 특히 국수 적성이 양호하였다.

  • PDF

유색미(수원 415호)가루의 제빵성 검토 (Studies on Bread-Making Quality of Colored Rice(Suwon 415) Flours)

  • 강미영;남연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7-41
    • /
    • 1999
  • 유색미 수원 415호 쌀가루에 gluten 대체재료로써 10% gluten 및 3%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를 첨가하여 제조한 쌀빵의 가공적성을 검토한 결과, 유색미 수원 415호로 성형성이 아주 좋은 쌀빵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유색미 쌀빵의 물성 중 경도와 씹힘성은 3%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를 첨가하여 제조한 것이 10% gluten을 첨가하여 제조한 것 보다 낮아 부드러웠으며, 탄력성은 이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저장에 따른 쌀빵의 노화도는 3%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첨가하여 제조하는 경우 강력분으로 제조한 빵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관능검사 결과에 의하면, 3%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를 첨가하여 제조한 쌀빵은 밀가루 빵에 비해서 질감이 부드럽기는 하지만 기공의 균일성은 나쁘게 나타났다. 그러나 빵의 탄력성은 밀가루 빵에 비해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 PDF

유근피와 유백피 추출액을 이용한 제빵 적성 (Bread Properties Utilizing of Extracts from Ulmus devidiana)

  • 김도완;김광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0
    • /
    • 2003
  • 느릅나무 추출액을 0, 10, 20, 30% 첨가한 식빵을 제조한 결과, 추출액의 첨가량이 많을 수 록 반죽수율은 다소 증가하였으며, 식빵의 부피도 약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빵의 기계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경도(hardness)의 경우 느릅나무 추출액 30%에서 가장 높았으며, 탄력성(springiness)의 경우 20% 첨가군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점착성(gumminess)과 씹힘성(chewiness)은 느릅나무 추출액 함량이 높을 수 록 증가하였다. 색도의 경우 L 값은 대조군에 비해서 느릅나무 추출액 농도가 높을 수 록 낮은 값을 나타냈었으며, a 값은 느릅나무 추출액 10%, 20% 첨가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간 증가되었고, b 값은 모든 첨가군에서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관능검사에서는 느릅나무 추출액 10% 첨가군에서 가장 좋은 기호도를 보였으나, 반죽수율이나, 물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느릅나무 추출액의 기능성 성분을 고려할 때 20% 첨가군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Xylanase 첨가에 따른 수수의 제빵 적성 변화 (Effects of Xylanase on the Baking Properties of Sorghum)

  • 안지은;고지연;고봉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25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aking properties of sorghum with the addition of xylanase or Pentopan, which is a baking additive containing xylanase. The control bread was made with a 30% substitution for wheat flour and the optimum level of enzyme addition was 0.75 mg/g flour for Pentopan and 5 mg/g flour for xylanase. The water binding capacity of wheat flour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sorghum, but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either xylanase or Pentopan. The resistance of dough increased while extensibility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sorghum; however, resistance decreased while extensibility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the enzyme. Specific volume of bread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addition of sorghum. However, the specific volume was significantly recovered with the addition of enzyme. Crumb firmness was higher in the sorghum-added sample, but crumb firmness of the bread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the enzyme. The crumb firmness of bread with added xylanase decreased significantly in 24 hour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adding sorghum with either xylanase or Pentopan that included xylanase increased specific volume and decreased crumb firmness whereas sorghum decreased the quality of fermented bread when added to wheat flour. The firmness rate of fermented bread particularly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pure xylanase.

기능성 쌀가루 혼합분의 제빵 적성 (Studies on Bread-Making Quality of Bread Mixed with Wheat Flour and Several Functional Rice Flour)

  • 유경아;강미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99-304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the bread making process with the mixture of the functional rice flour. The bread was manufactured with 20, 30 or 40% functional rice flour with increasing and wheat flour.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rice starch was examin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 Coated with soluble dietary fiber rice showed the highest gelatinization enthalphy among functional rices and other functional rices were similar to normal rice. in the viscosity point of view. generally the viscosity related to the addition ratio. The most viscose case was 30% Sangwhang rice but in fermented with monascus ruber rice case, viscosity was low even with 40% case because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starch granules. In sensory evaluation, the highest sensory scores for the uniformity of pore size and flavor were obtained when sangwhang rice flour content was 20%. The textual study was mainly focused on the hardness, cohesiveness, adhesiveness, springiness, chewiness. Textural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rice bread crumb bakedwith 20% coated with soluble dietary fiber rice, 20% sangwhang was low in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Therefore, Sangwhang rice flour 20%, Monascous ruber 20% and Coated soluble dietary fiber rice 20% were considered to be the most suitable addition ratio for the rice breads.

식이섬유, 효소 및 달걀 첨가 수준에 따른 쌀빵의 제빵 적성 및 품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Bread-making and Quality of Rice Bread with Different Percentages of Dietary Fiber, Enzymes and Egg)

  • 김상숙;정혜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80-587
    • /
    • 2018
  • The baking properties of rice bread with polydextrose (3, 6, and 9%), enzymes (0.006, 0.009, and 0.018%) and egg (1.32 and 2.64%) were investigated. The specific gravity and color (L, a, b) of the dough, as well as the appearance, color (L, a, b) and texture of the rice bread were analyzed. The springiness, chewiness, gumminess (p<0.01) and hardness (p<0.001) of the rice bread tended to increase as the amount of added polydextrose increased. Replacement of rice flour with hemicellulase, glucose oxidase and fungal amylase are effective for producing rice bread. Replacement of rice flour with 0.009% glucose oxidase and 0.006% fungal amylas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creasing the volume and decreasing the hardness of the rice bread (p<0.001). Replacement of rice flour with 1.32% egg white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creasing the volume and decreasing the hardness of the rice bread (p<0.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placement of rice flour with 0.009% glucose oxidase and 0.006% fungal amylase, and 1.32% egg white are effective for producing rice bread with good volume and hardness.

쌀빵의 제빵 적성에 대한 HPMC와 복합 효소 첨가 수준 영향 (The Effects of the Different Percentages of HPMC and Enzymes on Making Rice Bread)

  • 김상숙;정혜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56-462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read-making properties of rice bread supplemented with HPMC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1~3% and gluzyme (glucose oxidase), fungamyl (fungal ${\alpha}$-amylase) and pentopan (xylanase+hemicellulases) (0.0015~0.0090%). The viscoelastic properties of the dough with HPMC 1~3% were analyzed. When the rice flour was supplemented with HPMC 1~3%, the viscoelastic properties of the dough tended to increase as the amount of added HPMC was increas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rice bread with HPMC, gluzyme, fungamyl, and pentopan were analyzed. Supplementing the rice flour with HPMC, gluzyme, fungamyl, and pentopa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volume (p<0.01) and specific volume (p<0.001) of the rice bread. Supplementing the rice flour with 3% HPMC and 0.0045% or 0.0090% pentopa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creasing the volume (p<0.01) and specific volume (p<0.001) of the rice bread. Supplementing the rice flour with 3% HPMC, 0.0023% gluzyme and 0.0015% fungamy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creasing the volume (p<0.01) and specific volume (p<0.001) of the rice bread.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pplementing the rice flour with HPMC, gluzyme, fungamyl and pentopan is effective for the production of rice bread.

버섯(Lentinus Tuber-Regium)분말 첨가가 제빵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shroom (Lentinus Tuber-Regium) Powder on the Bread Making Properties of Wheat Flour)

  • 이민정;경규항;장학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2-37
    • /
    • 2004
  • 단백질 및 기능성 식품인 Lentinus tuber-regium의 분말을 이용하여 버섯분말의 입도, 이화학적 특성과 제빵시 반죽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및 제빵 적성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버섯분말 입자크기는 $38\;{\mu}m$에서 $450\;{\mu}m$까지 비교적 큰 입자로 골고루 분포되어 있었으며, 특히 밀가루 입자 크기의 범위에 해당되는 $150\;{\mu}m$이하는 약 64% 정도를 나타냈다. 버섯분말의 일반성분 분석결과 수분 11.32%, 조단백질 11.22%, 회분 2.10%, 조지방 1.60%의 함량을 보였다. 버섯분말 2-10% 첨가에 따른 복합분 반죽의 mixogram 특성 측정 결과 수분 흡수율은 버섯분말 첨가에 따라 67.0-79%로 증가하였으며, peak time, peak height, band width, seven minute height는 대조구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Sedimentation value와 PK value는 버섯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 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호화특성 중 호화개시온도는 10% 첨가구외는 대조구와 버섯분말 첨가시 큰 차이가 없었으며, 최고점도는 버섯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버섯분말 첨가에 의한 제빵특성 중 부피변화는 버섯분말 2, 4% 첨가구가 703.50cc로 가장 큰 값을 나타냈으며, 6% 이상의 첨가구에서는 대조구보다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무게 변화는 버섯분말 첨가에 의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비체적은 버섯분말 2, 4% 첨가구가 각각 3.98, 3.95cc/g으로 대조구 3.94cc/g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나, 버섯분말 6% 이상의 첨가구에서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비체적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버섯분말을 0-10% 수준으로 첨가하여 제조한 빵의 표피와 내부의 색도 변화는 crust 색의 경우 버섯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 b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a값은 버섯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Crumb 색중 L값의 변화는 crust에서와는 대조적인 결과로 버섯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버섯가루를 첨가시켜 제조한 빵의 조직감 측정 결과 springiness와 adhesiveness는 대조구와 버섯분말 첨가구 사이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chewiness와 gumminess는 버섯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Hardness의 경우 버섯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hardness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버섯분말 2% 첨가구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버섯분말 첨가 빵의 $4^{\circ}C$$25^{\circ}C$ 저장 결과 버섯분말 첨가량은 노화의 진행속도를 빠르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버섯분말 첨가 빵의 관능검사 결과 버섯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모든 측정치의 값이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버섯분말을 제빵에 이용시 4%까지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탈지 대두분 첨가가 제빵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fatted Soy flour on the Bread Making Properties of Wheat flour)

  • 유양자;장학길;최영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01-31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빵의 재료로 열량이 낮고 단백질이 우수하고 지방이 적은 탈지 대두분의 이용 효과를 극대화시켜 이를 이용한 기능성 제빵을 제조하기 위해 탈지 대두분을 첨가하여 제빵을 제조하여 제빵 적성 및 품질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입도 분포는 전반적으로 밀가루와 탈지 대두분이 $45\~75{\mu}m$에 속하였다. 일반성분 분석은 밀가루는 수분함량 $13.12\%$, 조지방 $2.24\%$, 조단백 $12.91\%$, 회분 $0.49\%$이었고 탈지 대두분은 수분 $8.68\%$, 조지방 $0.75\%$, 조단백 $47.7\%$, 회분 $7.08\%$이었다. Pelshenke test는 대조구가 113.4분이고 탈지 대두분 $12\%$ 첨가구가 105.9분이었고 sedimentation value는 대조구가 66mL, 탈지 대두분 $12\%$가 42mL로 탈지 대두분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Water holding capacity와 alkaline water holding capacity는 대조구에 비해 탈지 대두분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되고 flour swelling volume는 감소되었다 Mixograph는 탈지 대두분 첨가에 따라 midline peak time은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고 midline peak height는 탈지 대두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작은 값을 나타내고 첨가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Right of peak slope는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점점 낮게 나타났으며 width at peak와 함께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width at 8 min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탈지 대두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비체적은 감소하였으며 빵 표피의 색도는 탈지 대두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 값과 b값은 감소되고 a값과 AE값은 증가하였다. 빵 속의 색도는 L 값과 ${\Delta}E$값은 감소하고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탈지 대두분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springiness, cohesiveness은 증가하고 gumminess, chewiness은 감소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탈지 대두분으로 제조한 빵의 저장기간에 따른 hardness는 $2.5^{\circ}C$의 저장보다 $5^{\circ}C$의 저장이 빠르게 증가함을 보여 $25^{\circ}C$에서 저장하는 것이 노화 지연 효과가 있었다. 관능 검사에서는 부피와 맛은 탈지 대두분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그 외의 평가 항목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부피, 빵 표피 색, 기공, 조직감, 빵 속의 색, 향, 맛은 대조구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12\%$ 첨가구의 경우가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봐와 같이 빵의 주원료인 밀가루 대신 탈지 대두분을 사용할 때 빵의 품질평가에 중요한 요인인 부피와 관능적 특성에 의해 탈지 대두분을 $4\%$까지 첨가한 것이 기능성 식품으로의 이용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