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동시간

Search Result 7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he Study on Train Electric Consumption Analysis According to Operation Speed (운행속도에 따른 열차소비전력 분석에 관한 연구)

  • Lee, Kang-Mi;Lee, Jae-Ho;Kim, Yong-Gyu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a
    • /
    • pp.182-18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국내 고속철도 차량 즉, 경부고속철도를 운행하는 KTX, KTX산천 그리고 현재 개발중인 HEMU400x을 대상으로 운행속도 및 운행패턴에 따른 열차 소비전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로조건을 고려한 차량의 운전속도 조건과 운행시간,소비전력 등을 예측하기 위한 TPS(Train Performance Simulation)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열차운행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선 차량, 선로, 속도의 기본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차량에 대한 데이터는 차량의 최고속도, 제동성능, 견인력 등의 기본 성능과 열차편성에 따른 중량, 길이, 동력차량형식, 열차주행저항등에 대한 제원을 요한다. 선로데이터는 운행시간 예측을 대상으로 하는 선로에 대한 거리별 구배 및 선형, 정거장 위치 및 정차시간에 대한 데이터이다. 속도조건은 구배 및 곡선에 대한 선로제한속도로, 선로데이터와 연계하여 각 선로위치별 차량의 제한속도로 이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경부고속철도 구간에서 운행하는 고속차량 3가지를 대상으로 증속에 따른 전력소모량을 비교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of Controller for Speed Control of the Induction Motor in the Train Propulsion System-2 (열차추진시스템에서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를 위한 제어기 설계에 대한 연구-2)

  • Lee, Jung-Ho;Kim, Min-Seok;Lee, Jong-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3 no.2
    • /
    • pp.166-172
    • /
    • 2010
  • Currently, vector control is used for speed control of trains because induction motor has high performance is installed in Electric railroad systems. Also, control of the induction motor is possible through various methods by developing inverters and control theory. Presently, rolling stocks which use the induction motor are possible to brake trains by using AC motor. Therefore model of motor block and induction motor is needed to adapt various methods. There is 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 (VVVF) as the control method of the induction motor. The torque and speed is controlled in the VVVF. The propulsion system model in the electric railroad has many sub-systems. So, the analysis of performance of the speed control is very complex. In this paper, simulation models are suggested by using Matlab/Simulink in the speed control characteristic. On the basis of the simulation models, the response to disturbance input is analyzed about the load. Also, the current, speed and flux control model are proposed to analyze the speed control characteristic in the train propulsion system.

Rail-Stress of High-Speed Railway Bridges using tong Rails and subjected to Spatial Variation of Ground Motion Excitations (지반운동을 공간변화를 고려한 고속철도 장대레일의 응력해석)

  • Ki-Jun Kwon;Yong-Gil K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 /
    • v.18 no.2
    • /
    • pp.132-138
    • /
    • 2003
  • The use of long rails in high-speed railway bridges causes additional stresses due to nonlinear behaviours between the rail and bridge decks in the neighbourhood of the deck joints. In the seismic response analysis of high-speed railway bridges, since structural response is highly sensitive to properties of the ground motion, spatial variation of the ground excitation affects responses of the bridges, which in turn affect stresses in the rails.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high-speed trains need very long distances to stop when braking under seismic occurrence corresponding to operational earthquake performance level so that verification of the safe stoppage of the train is also required. In view of such additional stresses due to long rails, sensibility of structural response to the properties of the ground motion and braking distance needed by the train to stop safely, this paper proposes and establishes a time domain nonlinear dynamic analysis method that accounts for braking loads, spatial variation of the ground motion and material nonlinearities of rails to analyze long rail stresses in high-speed railway bridges subjected to seismic event.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is demonstrated through an application on a typical site of the Korean high-speed railway.

Design of Small Wind Power System DC Voltage Controller for Over-Voltage Protection through Dynamic Brake Resistor at Over Wind Speed Condition (소형풍력 발전시스템의 과풍속 조건에서 제동 저항을 통한 과전압 방지 DC 전압 제어기 설계)

  • Yang, Byung-Ik;Song, Seung-Ho;Lim, Duk-Ji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11a
    • /
    • pp.91-92
    • /
    • 2017
  • 풍력 발전 시스템에서 정격 풍속 이상의 바람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전기적 브레이크와 기계적 브레이크가 요구된다. 기계적 브레이크는 상대적으로 응답성이 느리며 그 시간 동안 발전기 rpm 증가에 따른 DC전압 상승에 대응하는 전기적 브레이크의 역할이 시스템 안정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전기적 브레이크 중에서도 소형풍력 발전시스템에서는 DB(Dynamic Brake)저항을 통해 부하를 걸어주는 방식이 주로 쓰인다. DB 저항 구동에 있어 히스테리시스 루프에 기반한 PWM제어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과 비교하여 제어 안정성, 전압 오버슈트 등의 면에서 우수한 DB저항 제어 방식을 제안하며 히스테리시스 방식과 과도상태 정상상태 특성 비교 및 성능 분석을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trajectory controllable minimum-time controller using modified bang-bang control law (뱅뱅 제어법을 변형한 중간 경로 제동이 가능한 최단시간 제어기의 개발)

  • 이현오;양우석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6.10b
    • /
    • pp.44-47
    • /
    • 1996
  • Bang-bang control law provides the optimal solution for a minimum-time control problem, but ignores the intermediate path except for the initial and final points. In this paper, a near minimum-time suboptimal fuzzy logic controller is introduced that can control the intermediate path. A dynamic model for a system is established using the average dynamics method of linearization. System model is continuously updated over the control time periods. This makes it suitable for high speed or variable payload applications. Bang-bang control theory is modified and used to derive the preliminary control law. A fuzzy logic algorithm is then applied to adjust and find the best solution. The solution will provide the suboptimal minimum-time control law which can avoid obstacles in the workspace.

  • PDF

Study for Evaluation Standard of Longitudinal Active Safety System (종방향 능동안전장치의 평가기준 연구)

  • Jang, Hyunik;Yong, Boojoong;Cho, Seongwoo;Choi, Inseong;Min, Kyongchan;Kim, Gyuhyun
    • Journal of Auto-vehicle Safety Association
    • /
    • v.4 no.1
    • /
    • pp.12-17
    • /
    • 2012
  •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which is developed for alleviating driver's load has become improved with extending it's role. Previously, ADAS offered simple function just to make driver's convenience. However, nowadays ADAS also acts as Active Safety system which is made to release and/or prevent accidents. Longitudinal control system, as one of major parts of Active Safety System, is assessed as doing direct effect on avoiding accidents. Therefore, many countries such as Europe and America has pushed longitudinal control system as a government-wide project. In this paper, it covers the result of evaluation system and vehicle evaluation for development study in FCW, ACC and AEB.

A Recognition Algorithm for Vehicle Road Lanes and Obstacles Based on Single View Geometric Constitution (단일 시선 기하구조 기반 주행차선 및 장애물 인식 알고리듬)

  • 김정현;송성희;정용배;서경호;김태효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10a
    • /
    • pp.81-8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1대의 CCD카메라로 주행 중 차선과 선행차량을 인식하고 선행차량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도로와 카메라간의 기하구조를 분석하여 사영행렬을 추출하였고, 주행 중 차간 거리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는데 이용하였다. 또한 차선 인식을 위해서 Hough Transform을 적용하여 처리시간을 단축하였다. 도로상의 장애물은 인식된 주행차선 내로 한정하였고 도로 영상에서 수평에지성분을 구한 후 히스토그램 투영을 적용하여 장애물을 검출하였다. 거리가 점차 멀어질수록 계측오차가 증가함을 볼 수 있었으나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주행 중에 운전자가 장애물을 판단하여 제동을 취할 수 있는 정도의 유효한 오차특성을 보였다.

  • PDF

Horizontal Control System using CAN Communication (CAN통신을 이용한 수평제어 시스템)

  • Kim, Gwan-Hyung;Sin, Dong-Suk;Kim, So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101-102
    • /
    • 2013
  • CAN통신은 자동차 내부 전자제어장치 간의 통신을 위하여 개발되었으며, CAN통신은 UART 방식과는 달리 전송속도와 안정성 측면에서도 뛰어나고 배선 결선에서도 간편한 버스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어서 배선량을 줄일 수 있어 생산시간의 단축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최근에는 자동제동장치, 선박의 엔진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AN통신을 기반으로 하여 3개의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를 통하여 수평 플랜트에 대한 수평제어를 구현하였다. 또한 본 논문의 수평제어시스템은 수평조절을 하는 액추에이터와 CAN통신을 내장한 AT90CAN128로 구성되어 있다. CAN통신을 기반의 수평제어를 통해 선박이나 자동차의 액추에이터를 조절하여 수평을 제어하고자 한다.

  • PDF

Cycle starting motor의 설계 및 제작에 대한 소고

  • 이성곤
    • 전기의세계
    • /
    • v.26 no.4
    • /
    • pp.8-11
    • /
    • 1977
  • 공업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동기의 용도도 다양화되고 기계의 기진 정상 정전에서 역전으로 바꾸는것을 기계적 방법보다 전동기의 기동제동 plugging운전방법으로 이송할 때 기계의 고효율화, 기구의 간소화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다송운전이 빈번할 때 일반전동기로서는 신뢰도가 문제가 되므로, 이 용도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는 운동기를 개정함으로서 신뢰도가 높도록 해야 한다. 이런 종류의 용도로 사용되는 용형전동기로서는 특성상 기동 Torque, 가속 Torque가 크고 단시간에 기동하며 Plugging에 적합하고 Dynamic Brake에도 지장이 없어야 하며, 온도상승의 점에서는 기동중에 1차동손이 적고 2차고저항인것이 요구된다. 또 구조상에서는 Inertia가 작으며 급속한 기동이 제일 먼저 요구된다. 만약 기동중에 발열하는 부분의 열용량이 크며 부하 Inertia도 커서 기동시간이 수10초를 걸린다면 국부적으로 대단히 높은 온도상승을 하게 되고, 가혹한 Plugging운전을 하는 경우는 열적 및 기계적으로 고도의 신뢰성이 요구된다. 이에 적합한 Cycle Starting Motor를 시작하여 본 결과를 경험을 토대로 다목적으로 연구검토하여 여기에 소개하고자 한다.

  • PDF

Evaluation System for Forward Vehicle Collision Warning System (전방차량충돌경고장치(FVCWS) 평가 시스템)

  • Yong, Boo-Joong;Park, Yo-Han;Yoon, Kyong-Han;Hwang, Duk-So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5 no.3
    • /
    • pp.85-90
    • /
    • 2007
  • The main function of the Forward Vehicle Collision Warning System (FVCWS) is to warn a driver when he or she experiences dangerous situations caused by a forward vehicle. Warning distance algorithms under same dangerous circumstances are often various depending on automobile manufacturers and component suppliers. Human factors also should be considered to warn the driver at an adequate warning dist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for evaluating the pertinent warning timing in an identically dangerous situation. The system consists of sensors for measuring speed and acceleration of subject vehicle and target vehicle, controllers to follow the velocity profile properly, and wireless telecommunication equipments for receiving or transmitting the measured data in a real-time. According to actual field tests, it is shown that the developed system is suitable to evaluate warning distance of FVC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