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도적 인프라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31초

스마트워크 추진체계가 개인과 조직의 스마트워크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제도적, 관리적, 그리고 인프라적 요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Smart Working Promotional Systems on the Effectiveness of Smart Working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in South Korea: A Focus on Institutional, Managerial, and Infrastructural Factors)

  • 구주영;이인호;이효진;김성현;박대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566-57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크 추진체계가 스마트워크 시행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개인효과와 조직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때, 스마트워크 추친체계는 스마트워크가 효율적, 효과적으로 시행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의미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크 추진체계를 제도적, 관리적, 그리고 인프라적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스마트워크의 추진체계가 개인 및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제도적, 관리적, 그리고 인프라적 요인은 스마트워크 활용에 대한 개인효과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조직 효과성의 경우 제도적, 인프라적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분석결과를 고려할 때, 스마트워크의 성공적인 시행과 조직구성원의 스마트워크 참여도 향상 그리고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스마트워크가 안정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제도적 조건, 스마트워크의 운영을 위한 관리적 조건, 그리고 스마트워크가 정보기술 측면에서 접근성과 신속성 등을 확보하기 위한 인프라적인 조건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이버무역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rastructure for the Development of Cyber Trade)

  • 안지홍
    • 통상정보연구
    • /
    • 제3권1호
    • /
    • pp.45-68
    • /
    • 2001
  • 급속히 변화하는 무역환경은 새로운 경쟁을 유발시키게 될 것이며, 이러한 경쟁은 변화하는 환경에 적용하지 못하는 기업들을 도태시킬 것이며, 새로운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기업에게는 더 많은 기회와 이윤을 가져다 줄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환경에 객용하며,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기업들은 나름대로 철저한 준비와 함께 적극적인 대용을 하여야 할 것이나, 사회 전반적인 인프라 구축은 개인이나 기업의 입장에서는 대응하기가 어려운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이버무역의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의 구축은 국가적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즉, 사이버무역으로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산 관 학의 연계에 의한 전문 인력 양성과 법 제도적 개선 방안, R & D 지원 방안 및 시설기반 확충 방안, 정보 인프라 구축 및 물류 기반 조성 방안 등에 대한 사이버무역의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은 국가적 차원에서 논의 시행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국가 지식정보인프라 통합 정보망 구축 방향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Na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Network Infrastructure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 정동열
    • 정보관리연구
    • /
    • 제35권3호
    • /
    • pp.1-28
    • /
    • 2004
  • 21세기는 지식과 정보를 활용하여 자국의 인적자원개발이 국가 경쟁력의 초석이 되고 있다. 국가지식정보인프라 통합 정보망 구축을 통하여 지식과 정보의 생산, 유통 및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지식기반사회에서 인적자원개발를 위한 기본적인 정보망은 교육, 연구, 노동시장, 산학협동 그리고 평생교육 정보망으로 구성된다. 이들 영역의 정보망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체계적인 통합 정보망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가 지식정보인프라 통합 정보망 구축 방향을 정보기반인프라와 정보지원인프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정보기반인프라를 위하여 지식과 정보에 대한 디지털화의 촉진, 접근성 향상, 컨텐츠 개발 등이 필요하며, 정보지원인프라를 위해서는 법적 제도적 기반 정비, 행 재정 지원체제 정비 그리고 다양한 인적자원개발 정책이 요구된다.

초고속국가망의 제도적.관리적 보안대책 방안

  • 이형옥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1-27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초고속국가망에서 보안대책을 제도적, 관리적, 기술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였다. 초고속정보통신망사업은 국가정보화를 촉진할 정보인프라 구축에 대한 필요성에 따라 지난 95년부터 추진해온 초고속망구축사업이다. 국가망 구축은 2000년까지 전국 144개 모든 통화권을 고속 대용량 (155Mbps∼5Gbps)의 광케이블로 연결하였으며, 2000년 7월에는 초고속교환(ATM)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2000년 말 기준으로 초고속국가망을 이용하는 기관은 28,686개이고 이용회선수는 36,357개 회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망이다.

  • PDF

스마트교육 확산에 따른 국내 BYOD 정책방안 연구 - 미국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BYOD (Bring Your Own Device) policy guidelines with the extension of the "SMART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U.S. cases)

  • 임걸;장윤호;이은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21-36
    • /
    • 2014
  • 본 연구는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테크놀로지 기반의 교육이 확산됨에 따라 교사와 학생의 디지털 기기 보유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지만 정부의 예산으로 이를 충당하는 데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으므로 그 대안으로서의 BYOD를 고려하고, 정책 시행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BYOD의 개념과 특징이 소개되었으며, 선도모델로서의 미국의 수행사례들을 통한 장단점이 분석되었고, 이에 기반하여 BYOD의 국내 운영 가이드라인이 제도적 측면과 인프라 측면이 제시되었다. 제도적 측면으로는 주로 기술적 문제, 활용, 파손, 정보격차, 정보보호, 자원활용 등이 논의되었으며, 인프라 측면은 활용기기의 조건, 네트워크, 필터링, 소프트웨어 등이 다루어졌다. 결론적으로, BYOD는 교육에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으로서, 제도 및 인프라 정비를 완료하여 성공적인 실행을 도모하기 위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함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는 BYOD 시행을 위한 세부적인 지표와 대응전략을 설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본격적인 시행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변모하는 SG3의 역할 - 국제 요금계산 중심에서 과도적인 정책조정으로 -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TTA 저널
    • /
    • 통권78호
    • /
    • pp.110-113
    • /
    • 2001
  • 기술표준 작성이 주요 임무인 ITU-T 조직 가운데, 국제전용선의 이용제도나 국제요금계산 등 제도적인 과제를 다루어 온 SG3가 큰 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 배경에는 정보통신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는 2개의 큰 흐름을 들 수 있다. 첫째, 국제 전기통신시장의 자유화 경쟁의 글로벌한 발전과 둘째, 정보통신 인프라 스트럭쳐에서 일고 있는 IP화의 흐름이다.

  • PDF

지식정보 공유를 위한 통합정보망 구축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Information Network Model for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Sharing)

  • 정동열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9-140
    • /
    • 2003
  • 국가 통합정보망 구축을 통하여 지식과 정보의 생산, 유통 및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지식기반사회를 형성하는 기본적인 정보망은 교육, 노동시장, 산학협동 그리고 평생교육 정보망으로구성된다. 이들 네 영역의 정보망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국가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체계적인 통합정보망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가 통합정보망 구축 방향을 정보기반 인프라와 정보지원 인프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정보기반 인프라를 위하여 지식과 정보에 대한 디지털화의 촉진, 접근성 향상, 컨텐츠 개발 등이 필요하며, 정보지원 인프라를 위해서는 법적$\cdot$제도적 기반 정비, 행$\cdot$재정 지원체제 정비 그리고 다양한 인적자원개발 정책이 요구된다.

  • PDF

지능형 물관리(Smart Water Grid)의 제도적 한계와 개선방향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Smart Water Grid in South Korea)

  • 박성제;류시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10-110
    • /
    • 2011
  • 최근 국제적으로 물관리의 차세대 개념으로서 지능형 물관리(Smart Water Grid)가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학자들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개념이 도입되고 있다. 현재까지 정리된 지능형 물관리의 개념은 최근 급성장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에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는 물관리의 시스템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자는 것이다.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물의 생산, 정수, 배송 그리고 이용과 처리에 이르는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국제적으로는 IBM과 Siemens 등과 같이 정보통신과 물산업을 선도하는 기업 주도의 기술개발이 진행되는 단계이다. 2000년대 초반에는 용수수급의 효율화를 위한 장치개발에 주력하였으나, 현재에는 용수수급과 관련된 제반사항에 대한 기술적 통합시스템 구축으로 적용범위를 넓히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도시인프라 자료의 통합관리와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이 추진되었으며, 2010년 12월 발표된 새만금종합개발계획에서는 본격적으로 활용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지능형 물관리의 기술적 통합시스템 전략은 곧 심각한 제도적 장벽에 직면할 것이다. 아무리 우수한 기술적 시스템이 개발된다고 하여도 제도적 기반의 구축이 없으면 국민경제에 도움이 되는 현실적용에는 한계가 있다. 기존에 확립된 물관리의 제도적 기반으로는 한정된 지역의 좁은 영역에서 활용될 수밖에 없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물관리가 기본적으로 법적, 제도적, 행정적 차원에서 분리되어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지능형 물관리가 지향하는 기술적인 통합시스템 구축이 당면할 제도적 한계를 도출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2009년 국회에 제출된 물관리기본법(안)에 지능형 물관리의 개념을 도입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저전력 블루투스(BLE) 비콘 보안 취약점 연구

  • 김승일;지선학;이재우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0-57
    • /
    • 2016
  • 최근 사물인터넷(IoT) 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함께 적용 서비스 분야도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다양한 객체와 인터넷의 연결로 무수히 많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기업 및 공공기관은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있다. 하지만 IoT인프라의 급격한 범위 확장 및 활용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에 따라 인프라 프로세스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이는 내 외부적인 위협의 증가로 이어진다. 따라서 사물인터넷 기술이 현재 시장보다 활성화 되고 실 서비스 적용 분야가 증가할수록 제도적, 물리적, 기술적인 취약점이 원인이 되어 공격자는 사물인터넷 단말기 내부에 악성코드를 심어 원격 통제를 하거나, 일정 무선 주파수를 동기화 하여 스니핑이나 스푸핑 등의 공격으로 데이터 변조의 위협이 존재한다. 본 연구를 통해 콘텐츠 정보제공의 주 목적으로 활용되는 미들웨어장비인 Bluetooth 4.0 기반의 저전력 비콘(Beacon)의 기능을 활용한 서비스에서 발생될 수 있는 내재적 위협으로부터 정책적, 기술적, 물리적 통제 및 대응 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