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젖산농도

검색결과 297건 처리시간 0.025초

다슬기로부터 칼슘락테이트의 제조와 품질특성

  • 김순동;이예경;이명예;장경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22-122
    • /
    • 2003
  • 다슬기의 분말(PSB)과 그 회화분(ASB)으로부터 체내 흡수력이 높은 젖산칼슘의 제조조건과 색상, 용해도 및 관능적 품질을 조사하였다. PSB로부터 제조한 젖산칼슘(PSB-CL)의 PSB 및 젖산 100 mL에 대한 수율은 젖산농도가 10%일 때는 300% 및 15 g, 20%일 때는 260% 및 20 g이었으며, ASB로 제조한 젖산칼슘(ASB-CL)의 ASB 및 젖산 100 mL에 대한 수율은 10% 젖산에서는 400% 및 60 g, 20% 젖산에서는 329% 및 66 g으로 원료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는 다같이 젖산농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젖산의 부피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는 젖산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Dehydated PSB-CL 및 ASB-CL 제조의 적정온도와 시간은 10$0^{\circ}C$에서는 각각 4 및 5시간, 12$0^{\circ}C$에서는 3 및 4시간, 15$0^{\circ}C$에서는 1 및 2시간으로 ASB-LA의 경우가 짧았다. IR 및 H-NMR spectrum의 분석결과 PBS-LA와 ASB-LA의 구조는 Ca($CH_3$CHOH$CO_2$)$_2$임이 확인되었다. 무수 PSB-CL 및 ASB-CL의 칼슘함량은 각각 15.4%(w/w)와 17.3%(w/w)로 이론 값의 각각 84.2%와 94.5%를 나타내었으며, 미량의 Fe, Na, Mn Zn을 함유하였다. PBS-CL와 ASB-CL의 색상은 각각 연한 황색과 연녹색을 지닌 백색을 띠었다. pH 3~8로 조정한 증류수에서 PSB-CL과 ASB-CL의 평균 용해도는 각각 5.43 g/100 mL 및 6.11 g/100 mL로 standard CL의 4.74 g/mL에 비하여 높았다. 국간장을 제외한 대부분의 액체식품(3% 소금물, 소주, 진간장, 국간장, 포도주스 및 오렌지주스)에서의 용해도는 PSB-CL(3.14~5.03 g/100 mL)과 ASB-CL(4.69~6.05 g/100 mL)이 standard CL(2.94~5.84 g/100 mL)에 비하여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ASB-CL은 신맛이 낮아 사용범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PSB-CL는 쓴맛은 높으나 떫은맛이 낮고 구수한 맛이 강하여 식품에의 응용이 기대된다.

  • PDF

수용성 이상계에서의 젖산과 Lactobacillus helveticus세포의 분배특성 (Partitioning of Lactobacillus helveticus Cells and Lactic Acid in Aqueous PEI/HEC Two-Phase Systems.)

  • 안한군;권윤중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5-60
    • /
    • 1998
  • 수용성 이상계에서 효율적인 추출발효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생체촉매와 생성물이 서로 반대 상에 우세하게 분배되어아 한다.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낮은 생성물은 양쪽상에 비슷하게 분배되므로, 상의 조성 등을 조절하여 한쪽상의 체적을 증가시켜 최대한으로 생성물을 추출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PEI와 HEC으로 구성된 수용성 이상계에서 L. helveticus와 젖산의 분배에 미치는 다가 음이온의 농도, pH, 배지의 농도 및 생육배지 농도 등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PEI의 상대 이온으로 작용하는 phosphate, sulfate 음이온수의 증가는 PEI 상의 체적을 감소시켜 하부상에 분배되는 세포의 양(Cb)을 감소시켰으며, sulfate 농도의 영향은 phosphate에 비해 적었다. 검토한 범위에서 대략 93%이상의 세포가 HEC-rich상부상에 분배되었다. 이상계에 생육배지 농도를 달리하여 첨가했을 때 배지 중에 존재하는 phosphate와 sulfate 농도에 따라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지만 낮은 농도로 인하여 그 영향은 크지 않았다. Phosphate 농도에 따른 젖산분배를 검토한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분배계수는 감소하였으며, 대략 85%가량의 젖산이 PEI의 하부상에 분배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수용성 이상계에서 전하를 띤 저 분자량의 생성물의 추출은 반대 전하를 띠는 폴리머를 하나의 상형성 풀리머로 사용함으로써 증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L. helveticus 세포는 95% 정도가 상부상에 분배되고 젖산은 85%정도가 하부상에 우세하게 분배되므로 PEI/HEC 이상계는 치즈유청으로 부터의 젖산의 추출발효에 가능성이 높은 시스템으로 응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매실함유 음료섭취가 장시간 운동시 심박수, 호흡가스 변인 및 혈중 젖산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orts Drink Including the Extract from Prunus mume on the Changes of Respiratory Variables, Heart Rate,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in Submaximal Exercise)

  • 김기진;배지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7-187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1시간동안의 최대하운동시 매실함유 음료, 생수 및 기온이온음료 등의 섭취에 따른 호흡가스변인, 심박수 및 혈중 젖산농도의 변화를 비교하여 매실을 주된 성분으로 한 기능성 음료의 효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1시간 동안의 최대하운동중 산소섭취량 및 환기량의 변화는 음료유형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시기간에는 유의한(P<0.0001)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Placebo군이 다른 음료유형에 비해서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다소 높은 환기량을 나타냈으며, 음료 E군이 다소 낮은 환기량을 나타냈다. 또한 산소섭취량에 대한 환기량의 비율은 음료 E군이 현저히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최대하운동중과 회복기의 심박수 및 혈중 젖산농도의 변화도 음료유형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시기간에는 유의한(P<0.0001) 차이를 나타냈는데 운동중에 증가한 후 회복기에 감소하는 동일한 변화양상을 나타냈다 그러나, Placebo군이 다른 음료유형에 비해서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다소 높은 심박수 변화양상을 나타냈으며, 매실음료군이 다소 낮은 심박수를 나타냈다. 그러나, Placebo군은 운동중 모든 시기에서 젖산역치수준의 2.25$\pm$0.32mM을 상회하는 혈중 젖산농도를 나타낸데 반해서, Control군과 매실함유음료군은 젖산역치수준의 혈중젖산농도보다 낮게 나타나는 시기가 많았다. 특히 매실함유량이 높은 D군과 E군은 운동중 40분부터 1.44-2.00mM 범위의 현저히 낮은 혈중 젖산농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서 1시간동안의 최대하운동시 산소섭취량, 심박수 및 혈중 젖산농도의 변화에서 매실함유 음료섭취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최대하운동시 매실함유 음료섭취가 환기효율의 증가, 심박수 및 혈중 젖산농도 감소 등과 같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 PDF

젖산농도별 주모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Wine according to the Rice Wine Seed Mash with Lactic Acid Concentration)

  • 허창기;이중원;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33-938
    • /
    • 2012
  • 막걸리 양조시 품질변화 방지를 목적으로 젖산 첨가량에 따른 주모의 pH, 총산, ethanol 및 미생물 균수를 측정하고, 젖산 농도에 따른 주모별 막걸리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및 관능평가 등 품질특성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젖산 농도에 따른 주모의 pH는 젖산 0.5% 이상 첨가 시료구가 pH 3.31~3.33으로 젖산 무첨가구와 0.3% 첨가 시료구의 pH 3.52, 3.56에 비해 낮았다. 총산 함량은 젖산 무첨가구와 젖산 0.3%첨가 주모가 0.56%와 0.54%로 높게 나타났고, 0.5%첨가 주모는 0.51%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Ethanol 함량은 젖산을 첨가하지 않은 주모와 젖산을 첨가한 주모 모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모의 미생물의 균수를 측정한 결과는 세균 및 젖산균은 젖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효모는 젖산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해 0.3~0.5% 첨가구는 증가하였으나 0.7~1.0% 첨가구는 감소하였다. 젖산 첨가량에 따른 주모로 담금한 막걸리의 pH 및 총산은 0.5% 이상 첨가구에서 발효기간 동안 안정된 값을 보여 주모의 안전 제조에 적합한 조건을 보였다. 유기산은 lac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succinic acid, tartaric acid, citric acid 및 acetic acid가 검출되었다. acetic acid는 젖산을 첨가하지 않은 시료구의 경우 390.88 mg%로 함량이 가장 높았고 젖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았으며, 1.0% 첨가 시료구의 경우 검출되지 않았다. Ethanol 함량은 시료구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관능평가 결과 젖산 0.5%이상 첨가구부터 향, 맛 및 종합기호도에서 선호도가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젖산을 첨가하지 않은 주모에 비해 젖산을 첨가하여 주모를 제조할 경우 막걸리의 품질이 더 향상될 것으로 판단되며, 젖산량은 주모 중량대비 0.5%첨가가 적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젖산 생성 감소 및 단일군항체 생산성 향상을 위한 하이브리도마의 유가배양 (Fed Batch Culture of Hybridoma for Reduction of Lactate and Higher Monoclonal Antibody Productivity)

  • 이은열;김희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93-299
    • /
    • 1999
  • 하이브리도마 세포 배양을 통한 단일 군항체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배양환경에 의해 유해 대사산물 생산이 어떤 식으로 변화되는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세포성장과 단일 군항체 생산을 저해시키는 대사물질 중에 하나인 젖산의 생성을 줄이기 위해, 포도당의 젖산으로의 전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해 연구하였다. 초기 포도당 농도가 높을수록, 세포 성장이 빠를 수록 젖산으로의 전환율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세포농도에 따른 비성장속도 변화에 대한 모델식을 기초로 하여 포도당 소비속도만큼 포도당을 공급하는 유가배양을 통해 젖산 생성을 19% 감소시켰고, 적분세포 농도 증가를 통해 단일군항체 생산성을 41% 향상시킬 수있었다.

  • PDF

김치에서 산내성을 가진 Leuconostoc mesenteroides LM3의 분리 (Isolation of an acid-tolerant Leuconostoc mesenteroides LM3 from Kimchi)

  • 사금희;백상규;윤혜선;강경희;정진국;김일섭;문혜연;김사열;유춘발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812-820
    • /
    • 2002
  • 이 연구는 주변의 김치들을 수거하여 젖산에 내성을 가진 Leuconostoc mesenteroides을 선택배지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Leuconostoc mesenteroides LM3균주로 동정했다. 이어서 그의 성장패턴을 관찰하고, 유도기와 지수성장기에서 젖산을 첨가한 결과 성장저해가 일어났음을 확인했으며, 젖산의 최종농도가 0.4%이상인 배지에서는 성장속도가 느려짐을 알았다. 그리고 정지기시작단계에서 고농도의 젖산을 단시간 처리하였을 때, 대조균주가 생존하지 못하는 4%농도에서도 Leuconostoc mesenteroides LM3군주가 생존하는 것을 확인하여 산에 대한 내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trehalose 농도의 변화, 그리고 trehalase와 ATPase 활성을 측정하였고, 이를 통해 젖산에 의한 세포내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각 성장시기별로 0.6% 젖산을 첨가했을 때 Leuconostoc mesenteroides LM3균주가 trehalose 축적률이 높아졌으나 trehalase활성엔 큰 변화가 없었다. ATPase 활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시기별 활성은 일정하였고, 세포내 pH를 측정한 결과 Leuconostoc mesenteroides LM3균주는 pH 6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키네시오 테이핑과 아이싱 처치가 셔틀런 테스트 후 혈중 젖산 농도 및 심박수의 회복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inesio Taping and Icing on Blood Lactate Density and Heart Rate Recover Pace After Shuttle Run Test)

  • 허승재;김용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431-438
    • /
    • 2016
  • 본 연구는 만 21-24세의 체육학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키네시오 테이핑과 아이싱 처치가 혈중젖산농도 및 심폐기능의 회복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경기력을 제한하는 요인들을 극복하여, 운동수행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젖산과 심박수의 회복 속도를 측정을 통하여 얻은 결론을 본 연구에서 키네시오 테이핑과 아이싱 처치가 최대부하 운동 후 직후 젖산의 회복속도와 운동 30분 후 심박수의 회복속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나, 운동 직후 심박수, 운동 15분 후 젖산 및 심박수, 운동 30분 후 젖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키네시오 테이핑과 아이싱 처치는 혈액 공급에 변화를 주어 통증이 감소되고 근 피로도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로 사용되고 있지만 만족스런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후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하고 기술적인 형태의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키네시오 테이핑과 아이싱 처치의 효과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실험실 적응진화를 이용한 Saccharomycopsis fibuligera의 젖산에 대한 내성 증대 (Enhanced Resistance to Lactic Acid by Laboratory Adaptive Evolution of Saccharomycopsis fibuligera)

  • 유병혁;박은희;김명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88-492
    • /
    • 2016
  • S. fibuligera 균주는 생전분을 분해하는 활성이 있는 효모 균주이다. 본 연구에서는 첨가되는 젖산의 농도가 점차 증가하는 장기간 반복 회분식 배양 방법을 사용하는 적응진화를 통하여 S. fibuligera 균주의 젖산에 대한 내성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진화된 균주인 S. fibuligera MBY1940 균주는 비성장속도 측정과 평판배지를 사용하는 성장분석을 통하여 모균주가 성장할 수 없는 젖산 농도 2.5%에 대해서도 내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젖산이 첨가된 스트레스 조건에서 모균주는 신장된 세포 형태와 세포막에 손상을 입은 것으로 보아 진화된 균주에 비해 젖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융복합을 활용한 휠체어 트레드밀과 암에르고미터 점증부하운동검사 시 심폐기능, 운동자각도 및 젖산농도 비교 (A Comparison of Cardiopulmonary Function, RPE, and Blood Lactate following in Wheelchair Treadmill and Arm Ergometer GXT Test through Convergence)

  • 장홍영;김종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553-561
    • /
    • 2016
  • 본 연구는 비장애인 휠체어 농구 선수 11명을 대상으로 휠체어트레드밀과 암 에르고미터의 점증부하운동검사 시 심폐기능, 운동자각도 및 젖산 농도를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휠체어트레드밀과 암 에르고미터의 점증부하운동검사 시 호흡가스분석기와 무선 심박수 측정기를 사용하여 심폐기능을 알아보았으며, 보그 스케일을 이용하여 운동자각도를 측정하였고, 젖산 분석기를 사용하여 안정 시, 운동직후, 회복기 2분, 4분, 6분, 10분의 혈중 젖산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하여 종속 t-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하여 분석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폐기능 변인 중 최대산소섭취량은 암 에르고미터가 높게 나타났으며, 호흡교환율은 휠체어트레드밀이 높게 나타났으며, 최대 심박수는 휠체어트레드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운동 강도에서는 종료 점에서 암 에르고미터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혈중 젖산 농도는 운동 직후 암 에르고미터에서 높게 나타났다.

운동 시 대사적 산성화에 관한 고찰 (The Review of Metabolic Acidosis During Exercise)

  • 윤병곤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433-1441
    • /
    • 2018
  • 고강도 운동 시 산성화의 과정은 수소이온의 방출과 젖산 나트륨염을 형성하는 젖산의 생산 증가에 따른 것이라 설명되어져 왔다. 이 설명에 의하면, 젖산의 생산 비율이 세포내의 수소이온 완충능력을 초과하였을 때 세포의 수소이온 농도는 증가한다고 한다. 이러한 생화학적 과정을 젖산의 산성화라 한다. 이 이론에 따라 고강도 운동 시 젖산의 생산이 대사적 산성화와 피로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 왔다. 그러나, 본 고찰에서는 젖산의 생산이 산성화와 피로의 원인이라는 어떠한 생화학적 근거가 없음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다. 오히려 젖산의 생산은 해당과정에서 필요한 $NAD^+$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해 필수적이며 수소이온을 소비하는 대사과정이다. 젖산의 축적은 세포와 혈중의 수소이온 농도의 증가를 알려주는 좋은 지표가 될 수는 있지만 그것이 산성화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