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확도 평가법

Search Result 1,164,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review on the accuracy assessment methods of 3-dimensional digital dental models (디지털 치과모형의 정확도 평가 방법에 대한 고찰)

  • Park, Ji-Su;Lim, Young-Jun;Lee, Jungwon;Kim, Bongju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35 no.2
    • /
    • pp.55-63
    • /
    • 2019
  • The aim of this article was to review various methods use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digital dental models. When evaluating the accuracy of digital models, the errors can be reduced by educating examiners and using artificial landmarks. The accuracy evaluation methods of digital dental models are divided into linear measurement, 2-dimensional cross-sectional analysis, and 3-dimensional best fit measurement. As the technology of scanners develop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compare the accuracy of digital impression and conventional impression. According to improvement of scan technologies and development of 3-dimensional model analysis software, the ability to evaluate the accuracy of digital models is becoming more efficient. In this article, we describe the methods for evaluating the accuracy of a digital model and investigate effective accuracy analysis methods for each situation.

A Study on the T&E Method for the Aircraft focused on Weapon Accuracy (항공 무장정확도 시험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Hyun, Jun-Ho;Kang, Sung-Jin
    • Journal of the military operations research society of Korea
    • /
    • v.33 no.1
    • /
    • pp.117-133
    • /
    • 2007
  • The weapon accuracy is a basic measure of performance in the area of weapon system acquisition. It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correct concept and the T&E methods. Existing T&E method for aircraft weapon systems have not considered types of exact hitting area for various weapons.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n optimal T&E methods in Korean T&E environment. In order to sampling and to test aircraft weapon accuracy, we need probability and statistic theories. There are many types of CEP(Circular Error Probable) methods. We recommend 2 types of CEP methods which are Lockheed Martin CEP method and Johnson CEP method. Also, suggest some other T&E methods. These methods can be used to accuracy test in the area of weapon system acquisition in the future.

A Comparartive Analysis on Techniques of Shadow Extraction in a Single High Resolution Image. (고해상도 단영상에서의 그림자 추출기법 비교)

  • Song, Woo-Seok;Byun, Young-Gi;Kim, Yong-Min;Yu, Ki-Yu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127-132
    • /
    • 2007
  • 위성영상 기술의 발달과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해상도 규제가 완화됨에 따라 건물의 높이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그림자 정보를 이용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수행되어지고 있다. 그림자 정보를 이용하여 건물 높이 정보를 획득하는 연구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정확한 건물의 그림자 탐지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단영상을 이용한 그림자 탐지기법인 임계값법(Thresholding), 영상분류법, 영역확장법(Region Growing)을 건물의 그림자 탐지에 적용하여 각 기법의 장단점과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영상에서 수동으로 건물의 그림자를 디지타이징한 참조 자료와 기법들을 적용하여 탐지한 결과 영상을 시각적으로 비교하였고, 오차행렬(Confusion Matrix)을 이용한 전체정확도(Accuracy), F-measure, AOR(Area Overlap Ratio)을 이용하여 정량적인 정확도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영역확장법을 적용한 경우 시각적 정량적으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영상분류법을 적용한 경우 시각적으로는 임계값을 적용한 경우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으나 정량적으로는 가장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 PDF

Modified indirect evaluation method for deterioration assessment of drinking water pipes (상수도 노후도 평가를 위한 수정 간접평가법)

  • Kwon, Hyuk Jaea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11
    • /
    • pp.697-703
    • /
    • 2023
  • In this study, a modified indirect evaluation method was developed to predict the deterioration level of water pipes. The accuracy of the modified method was verified by comparing it with the direct method. The weights of index were adjusted by reducing the weight of water quality corrosion, soil corrosion, lay depth and road type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existing evaluation factors and adding the weight of pipe thickness. In the results, the weight of pipe thickness was determined to be 0.1530. Comparing with the direct evaluation method, the accuracy of the modified indirect evaluation method increased by 31.03% compared to the indirect evaluation method. The modified indirect evaluation method will be able to select relatively old pipes more accurately and efficiently than the existing indirect evaluation method when prioritizing the improvement of old water pipes.

고객의 선호도 평가패턴을 이용한 선호도 예측 알고리즘의 성능개선 방안

  • Lee, Seok-Jun;Kim, Seon-Ok;Lee, Hui-Chun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149-152
    • /
    • 2008
  • 본 연구는 협업 추천 시스템에 적용되는 상품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 예측 알고리즘 중 메모리기반 협업필터링 알고리즘의 선호도 예측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메모리기반의 협업필터링 알고리즘은 선호도 예측 대상 고객과 유사한 성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고객들의 선호도 평가를 기반으로 특정 상품에 대한 선호도 예측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을 이용하는 고객들과 선호성향이 다른 고객들은 선호도 예측 성과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이 추천시스템의 선호도 예측 정확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객이 상품들에 평가한 선호도 평가의 패턴이 선호도 예측 정확도와 관련성이 높음을 보여 선호도 예측 알고리즘의 개선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고객의 선호도 평가 패턴은 과거 고객이 평가한 자료로부터 얻을 수 있는 사전정보로써 선호도 예측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이전에 이용할 수 있는 정보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의 선호도 예측 오차의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이들의 선호도 예측 정확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의 보정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알고리즘의 보정방법을 선호도 예측 이전에 고객의 선호도 평가 특성으로 판단하여 적용함으로써 사전정보를 이용한 선호도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접근법은 기존의 이웃 구성의 접근법과 다른 방법을 취함으로써 알고리즘 개선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Validation Technique using variance and confidence interval of metamodel (근사모델의 분산과 신뢰구간을 이용한 모델의 정확도 평가법)

  • Han, In-Sik;Lee, Yong-Bin;Choi, Dong-Hoon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8.11a
    • /
    • pp.1169-1175
    • /
    • 2008
  • The validation technique is classified with two methods whether to demand of additional experimental points. The method which requires additional experimental points such as RSME is actually impossible in engineering field. Therefore, the method which only use experimented points such as the cross validation technique is only available. But the cross validation not only requires considerable computational costs for generating metamodel each iterations, but also cannot measure quantitatively the fidelity of metamodel. In this research we propose a new validation technique for representative metamodels using an variance of metamodel and confidence interval information. The proposed validation technique computes confidence intervals using a variance information from the metamodel. This technique will have influence on choosing the accurate metamodel, constructing ensemble of each metamodels and advancing effectively sequential sampling technique.

  • PDF

Effective Procedures of DEM Generation from National Digital Topographic Maps (국가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DEM 생성)

  • 황철수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3
    • /
    • pp.319-336
    • /
    • 199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수치지형도에서 수치고도모형(DEM)을 개발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DEM의 정확도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내삽법의 과정을 지형적 유형(평지.계곡.산지)과 공간적 표본추출법(체계적추출법.군집형무작위추출법.복합점진적표본추출법)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 보았다. RMSE의 측정을 통해 크리깅 내삽법이 지형의 기복에 산관없이 정확도를 유지함녀서 DEM을 생성할 수 있는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표본추출법에 따라 공간적 표본 밀도를 달리한 낮은 표본을 대상으로 한 경우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복합 점진적 표본추출법을 적용한 DEM의 정확도는 다른 표본추출법을 적용한 경우보다 그 정확도가 향상됨을 확인하였고, 반면에 계산상의 효율성이 다른 방법에 비해 떨어지는 단점을 보였다.

  • PDF

a new distance weighted correlation method to evaluate reconstructed brain sources (복원된 뇌신호원의 국지화 정확도 평가를 위한 거리 가중치 유사도 비교법)

  • Choi, Jong-Ho;Park, Sun-Ae;Jung, Hyun-Ky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2027-2028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복원된 뇌신호원을 평가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거리 가중치 유사도 비교법을 제안한다. 의료영상처리 분야에서 시공간적인 뇌신경신호원의 변화를 비교 및 분석하기 위해서 여러 방법이 적용되고 있는데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 유사도 비교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1차원 기준으로 구성된 기존의 유사도 비교법을 3차원 뇌신호원 평가에 적합하도록 거리 가중치를 고려한 새로운 유사도 비교법을 제시한다. 또한 3차원 뇌신경신호원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새로운 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 PDF

Effect of Different Standard Tasks on Task Rating in Direct Estimation (직접추정법에서 작업평가에 대한 기준작업 변화의 영향 연구)

  • 이관석;지영래;양진석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6.04a
    • /
    • pp.307-312
    • /
    • 1996
  • 최대허용하중을 결정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그 중 특히 심리육체적 방법은 빈도수가 적고 반복적인 들기 작업을 평가하기 위해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 방법은 작업방법의 조합이 많아질수록 최대허용하중을 결정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커지게 된다. 이를 단축시키 위한 한가지 대안인 직접추정법은 일종의 비율 척도 (ratio scale)를 사용하여 자극과 주관적 평가를 연결시키는 방법으로서 넓은 범위의 자극에 대한 인간의 반응을 자극에 짧게 노출되더라도 정확 하게 예측할 수 있는 정확한 수단인 것으로 보여진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네 가지의 들기 빈도 (분당 1, 2, 4, 6 회)와 두 가지의 수직 이동거리 (Floor to Knuckle, Knuclke to Shoulder)로 구성되는 8가지의 대칭적인 (symmetrical)들기 작업에 대하여 심리육체적 방법과 기준작업을 달리한 직접추정법을 사용하여 최대허용하중을 결정하고 그 값들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직접 추정법의 기준변화에 따른 추정능력 정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PDF

비파괴시험에 의한 균열크기의 측정

  • 박은수
    • Journal of the KSME
    • /
    • v.28 no.4
    • /
    • pp.343-348
    • /
    • 1988
  • 몇 가지 균열검출법 및 크기의 측정법에 대하여 개요, 문제점, 정량적 측정에 유의해야 할 점을 살펴보았다. 아직 어느 방법도 모든 균열에 적용할 만큼 완전한 방법은 없지만 적용범위와 유 의사항을 이해하고 측정대상에 맞는 방법을 올바로 적용한다면 목적에 부합하는 결과를 얻을 것으로 본다. 기기나 구조물의 파괴원인을 정확히 규명하고 잔존수명을 정확히 예측하여 파괴를 방지하려면 재료의 강도특성이나 파괴역학적 해석법의 연구에 못지 않게 비파괴적 균열검출법과 정량적 측정법에 관한 연구도 깊이 이루어져야 하리라 믿는다.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이 점에 미흡함이 많다. 더 나은 측정방법을 고안해 내고, 측정장치를 개발하여 균열에 대한 정보 의 정확성을 높여 구조물의 안전성 평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 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