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형외과

검색결과 1,382건 처리시간 0.024초

경골 간부 골절에서 족관절 손상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Surgical Treatment for Concomitant Ankle Joint Injury in Tibia Shaft Fracture)

  • 박진호;이승진;이효범;김갑래;장지우;함희범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87-92
    • /
    • 2023
  • Purpose: Concomitant ankle injuries associated with tibial shaft fractures can affect postoperative ankle joint pain and various postoperative ankle complications. This study compared the clinical outcomes between surgical treatment and conservative treatment of concomitant ankle injuries associated with tibial shaft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5 to June 2020,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118 tibia shaft fractures at the orthopedics department of the hospital. Associated ankle injuries were analyzed using plain radiographs, computed tomography (C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intraoperative stress exams. The clinical outcomes were compared using the pain visual analog scale (pain VAS),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nkle-Hindfoot score (AOFAS score), and Karlsson-Peterson ankle score (KP score). Results: Seventy-two (61.02%) of the 118 cases were diagnosed with associated ankle injuries. Fifty-six cases underwent surgery for the ankle injury, and 16 cases underwent conservative treatment. The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the pain VAS score, AOFAS score, the KP score) were 1.79±1.26, 94.48±4.03, and 94.57±3.60, respectively, in the surgical treatment group, and 3.00±1.03, 91.06±3.02, and 91.25±3.31, respectively, in the conservative treatment group. Conclusion: Surgical treatment showed better clinical outcomes than conservative treatment in concomitant ankle injury in tibia fractures. Therefore, surgical treatment produces better clinical outcomes than conservative treatment in concomitant ankle injuries in tibia fractures. Hence to improve the clinical outcomes, more attention is needed on ankle joint injury in tibial shaft fractures for selecting suitable surgical treatments for those patients.

슬개골낭과 상부 슬개골을 침범한 무증상성 거대 통풍 결절: 약물 치료 후 경과관찰 6년 추시 (Giant Tophi Involving Both Suprapatellar Pouches and Upper Poles of the Patellae: Treatment with Febuxostat and the 6 Years Follow-Up)

  • 김성태;이상엽;김상재;김범수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78-83
    • /
    • 2019
  • 통풍 결절(tophi)은 통풍의 한 가지 합병증이지만 통증을 유발치 않을 시 진단이나 치료가 지연되기 쉽다. 본 증례는 수년간 거대 결절이 양측 슬개골낭과 슬개골 상부에 있음에도 활동에 별 지장이 없어 치료가 지연된 증례였는데, 환자가 치료의 필요성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여 수술적 치료를 거부하였고 불가피하게 약물 투여 후 경과관찰을 시행하였다. 치료는 상황에 따라 내과적 약물 투여 혹은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저자들은 일차적 통풍이라 판단하고 수술적 절제 대신 고식적 요법을 택하여 치료 후 6년간 추시를 보고하는 바이다.

상지에서 발생한 말초 신경의 모래시계형 협착 (Hourglass-Like Constrictions of Peripheral Nerve in the Upper Extremity)

  • 허재승;신현식;이창훈;이광현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455-460
    • /
    • 2021
  • 신경 염전은 말초 신경에서 발생하는 신경 꼬임 현상으로 인해 감각이상 및 근력 저하를 보이는 드문 질환이며 현재까지 발생 원인부터 진단 및 치료까지 정립된 바가 없다. 본 저자들은 전골간 신경 및 요골 신경의 신경 염전을 신경 외막 절제 및 신경 유리술 술식으로 치료하여 좋은 결과를 얻은 세 개의 증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20세 이상의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에 의한 대퇴골두 골단분리증 (Slipped Capital Femoral Epiphysis Associated with Hypopituitarism in Patients over 20 Years)

  • 나승민;김용욱;조용진;정성택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567-573
    • /
    • 2019
  • 대퇴골두 골단분리증은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드문 근위대퇴골 질환이다. 그 병인은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대퇴골두 골단의 역학적인 약화의 결과로 생각된다. 이는 역학적, 내분비학적, 면역학적 이상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내분비계 질환과 연관된 대퇴골두 골단분리증의 국내 문헌 보고는 거의 없으며, 특히 20세 이상에서 발생한 예는 찾아보기 힘들다. 저자들은 20세 이상의 성인에서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과 관련된 대퇴골두 골단분리증의 몇 가지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오인된 심부 정맥 혈전증에 대하여 항응고제 투여 후 발생한 급성 구획 증후군 (Acute Compartment Syndrome after Anticoagulant Therapy to Misdiagnosed Deep Vein Thrombosis)

  • 황석하;전호승;우영균;임성태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77-181
    • /
    • 2019
  • 급성 구획 증후군은 정형외과적 응급 질환이며, 구획 내의 압력이 증가하여 비가역적인 조직의 괴사를 유발한다. 이것은 기능적 장애, 하지의 손실 및 심할 경우 신 기능 저하를 유발하여 사망까지 이를 수 있다. 환자가 초기에 통증과 종창을 호소하는 경우 심부 정맥 혈전증과 유사하여 두 질환 간의 감별이 매우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마사지 후 좌측 하퇴부의 통증과 종창을 보이는 환자를 심부 정맥 혈전증으로 오인하였고 항응고제를 투여하여 발생한 급성 구획 증후군에 근막 절개술을 시행하였고 만족스러운 치료 결과를 얻었으며, 문헌 고찰과 함께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뇌전증 발작 후 발생한 다발성 흉추 골절 (Multiple Fractures in Thoracic Vertebrae after Epilepsy)

  • 하대호;오성균;김승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66-270
    • /
    • 2020
  • 뇌전증에 의한 전신 발작 시 발생한 강력한 근육 수축에 의한 근골격계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외상 및 기저질환 없이 전신 발작 후 발생한 다발성 흉추 골절에 대한 국외 증례는 많지만 국내의 연구나 증례보고는 없다. 이전에 골다공증이나 특이 질환이 없는 42세 남자 환자의 수면 중 전신 간대성 발작에 의한 다발성 흉추 골절을 진단하였기에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소지외전근 부근육에 의해 발생한 기욘씨관 증후군 (Guyon's Canal Syndrome Caused by an Accessory Abductor Digiti Minimi Muscle)

  • 박성준;권용탁;이동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98-101
    • /
    • 2021
  • 비정상 근육에 의한 척골관 증후군의 발생은 소지외전근의 부근육, 장장근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저자들은 척골관 증후군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소지외전근 부근육을 발견하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사례를 경험하였다. 척골관 증후군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비정상 근육이 척골관 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염두해 두고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2세 유아에서 발생한 고도 전위성 치상돌기 골절의 보존적 치료 (Conservative Management for a Highly Displaced Dens Fracture in a Two-Year-Old Child)

  • 임성준;김건중;김용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530-534
    • /
    • 2021
  • 소아, 특히 유아의 치상돌기 골절은 매우 드물고, 따라서 그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정립된 기술을 쉽게 볼 수 없다. 특히 전위가 심한 경우 보존적 혹은 수술적 치료 중 무엇을 적용해야 할지 결정하기가 어렵다. 이론적으로 수술적 고정을 통해 골절의 조기 정복과 견고한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나, 작고 연약한 소아에서 안전하게 수행되기가 쉽지 않고, 환축추 관절의 영구적 고정이라는 문제가 남는다. 저자들은 교통사고로 발생한 2세 여아의 고도 굴곡 전위된 치상돌기 골절 1예를 보존적으로 치료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 체험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전방 경추 수술 후 발생한 세균성 뇌수막염과 동반된 척수염 (Bacterial Meningitis Complicated by Myelitis Following Anterior Cervical Spinal Surgery)

  • 함동훈;최병열;정명철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519-524
    • /
    • 2021
  • 척추 수술 후 뇌수막염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지만 치명적일 수 있다. 49세 남자 환자가 제5, 6 경추부의 추간판 탈출증에 의한 압박성 척수증 진단하에 전방 경추부 감압술 및 유합술을 시행받았다. 술 후 심한 경부통 및 경부 강직, 발열이 발생하였고 수술 일주일 째 갑자기 사지 마비 증상을 보였다. 추시 자기공명영상 검사 및 뇌척수액 검사상 세균성 뇌수막염과 동반된 척수염이 확인되었다. 환자는 항생제 및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행받았으나 결과는 불량하였다. 저자들은 전방 경추 수술 이후 발생한 뇌수막염과 동반된 척수염 증례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슬관절 후방십자인대 대퇴 부착부 거대 삽입성 골낭종 (Huge Insertional Bone Cyst at the Femoral Attachment of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 the Knee)

  • 민경대;김경범;조휘제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445-449
    • /
    • 2021
  • 슬관절내 삽입성 골낭종은 주로 십자인대의 골 부착부에 작은 낭종의 형태를 보이며, 보통 증상과 관련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31세 남자의 슬관절에서 통증이 유발된 후방십자인대 대퇴 부착부 거대 삽입성 골낭종을 진단하고, 소파술과 골시멘트 충진술로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