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크메일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Junkmail Checking System Using Fuzzy Relational Products (퍼지 관계 곱을 이용한 정크메일 분류 시스템)

  • 박정선;김창민;김용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1.12a
    • /
    • pp.341-344
    • /
    • 2001
  • 20세기 후반 인터넷의 발전을 기반으로 전자메일은 현재의 대표적인 개인간 정보전달 수단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러나 전자메일 사용자들은 인터넷상에 개인 전자메일 주소가 노출되므로 해서 많은 정크메일(junkmail)을 수신하게 되었는데, 정크메일이란 기업의 광고 선전물과 같이 수신을 원하지 않는 전자메일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크메일의 증가에 따라 정크메일을 분류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현재까지는 사용자가 입력한 송신자의 전자메일 주소 또는 도메인 주소를 등록하여 차단하거나 제목에 특정 단어를 포함한 메일을 완전히 삭제하여 버리는 기술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퍼지 관계 곱을 기반으로 메일의 내용에 의미적으로 접근하여 정크메일을 분류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는 퍼지 관계곱 연산을 이용하여 미리 정의한 정크용어들과 사용자에게 수신되는 전자메일 내의 용어들간 의미적 포함관계를 분석하고 그를 통해 전자메일의 정크도(degree of junk)를 추출한다. 각 전자메일별로 추출된 정크도는 사용자가 부여하는 정크 기준치(SVJ, Standard Value of Junk)를 기분으로 정크메일과 비 정크메일로 분류한다. 제안된 기법은 사용자가 특정 개수의 동일한 전자메일에 대해 느끼는 정크도를 기준으로 분류한 정크메일 수를 비교하여 그 효용성을 증명하였다.

  • PDF

Extracting the Degree of Junk from E-mail using Fuzzy Relational Products (퍼지관계곱을 이용한 전자메일의 정크도 추출)

  • 박정선;김창민;김용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1.05a
    • /
    • pp.224-227
    • /
    • 2001
  • 전자메일은 20세기 후반 인터넷의 발전으로 현재의 정보전달 수단 중 대표적인 개인간 인터넷 통신 수단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그러나 전자메일 사용자들은 전자메일 주소가 노출되므로 해서 많은 정크메일(junk mail) 즉, 자신이 원하지 않는 전자메일을 수신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일반 전자메일과 정크메일을 분류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현재까지는 사용자가 입력한 송신자의 전자메일 주소 또는 도메인 주소를 등록하여 차단하거나 제목에 특정 단어를 포함한 메일을 완전히 삭제하여 버리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미적 접근 기반 정크메일 분류 기법의 기초 모델을 제안한다. 퍼지관계곱을 이용한 전자메일의 정크도 추출은 퍼지관계곱 연산을 이용하여 미리 정의한 정크용어들과 사용자의 수신함에 있는 전자메일 내의 용어들간 의미적 포함관계를 분석하고 그를 통해 전자메일의 정크도(degree of junk)를 추출하는 연구를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을 통해 추출한 정크도는 동일한 전자메일들에 대해 사용자가 느끼는 정크도와 비교하여 효용성을 증명하였다.

  • PDF

A Junk Mail Checking Model using Fuzzy Relational Products (퍼지관계곱을 이용한 내용기반 정크메일 분류 모델)

  • Park, Jeong-Seon;Kim, Chang-Min;Kim, Yong-Gi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9 no.10
    • /
    • pp.726-735
    • /
    • 2002
  • E-mail service has been a general method for communication as internet is widely used instead of post mails. Many companies have invested in e-mail advertisement as e-mail service is spread. E-mail advertisement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consider personal characters. A lot of e-mail users have been given e-mails that they did not want to receive because their e-mail addresses were opened out to companies on internet. Therefore, they need junk mail checking systems and several e-mail service providers have supported junk mail filters. However, the junk mail filters can check the junk mail with constraint because they don't check the junk degree of mails by the contents of e-mail. This paper suggests a content-based junk mail checking model using fuzzy relational products. The process of the junk mail checking model using fuzzy relational products is as following: (1) analyzes semantic relation between junk words-base and e-mails, (2) checks the junk degree of the e-mail using the semantic relation, (3) checks the mails with SVJ(Standard Value of Junk) if those are junk mail or non-junk mail.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technique is proved by comparing the junk degree of the e-mail and the number of junk mails that was checked by e-mail users and checked by the proposed junk mail checking model.

A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FQDN Check System to Filter Junk Mail (정크메일 차단을 위한 FQDN 확인 시스템의 구현 및 평가)

  • Kim Sung-Chan;Lee Sang-Hun;Jun Moon-Seog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2C no.3 s.99
    • /
    • pp.361-368
    • /
    • 2005
  • Internet mail has become a common communication method around the world because of tremendous Internet service usage increment. In other respect, Most Internet users' mail addresses are exposed to spammer, and the damage of Junk mail is growing bigger and bigger. These days, Junk mail delivery problem is becoming more serious, because this is used for an attack or propagation scheme of malicious code. It's a most dangerous dominant cause for computer system accident. This paper shows the Junk mail filtering model and implementation which is based on FQDN (Fully Qualified Domain Name) check and evaluates it for proposing advanced scheme against Junk mail.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스팸메일 분류 및 예측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 안수산;신경식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359-366
    • /
    • 2000
  • 기업의 환경에서 이-메일(e-mail)은 회사내의 업무흐름을 완전히 뒤바꾸며 혁명적인 변화를 이끌고 있다. 업무 공간의 극복,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극대화 등 이-메일이 제공하는 장점이 매우 많다. 그러나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스팸 메일(spam mail)의 등장은 이러한 장점의 커다란 반대급부를 제공한다. 스팸메일이란 인터넷이용자들에게 원하지도 않았는데 무작위로 발송되는 광고성 이-메일을 일컫는 말로, 벌크(bulk)메일, 정크(junk)메일, 언솔리시티드(Unsolicited)메일과도 유사한 의미로 사용된다. 스팸메일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스트레쓰의 요인이 되게 함은 물론, 이를 발신하고 수신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서버에 엄청난 부하를 줄 뿐만 아니라, 공공의 성격을 지니는 네트웍 자원을 아무런 비용의 지불 없이 독점하게 되는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마이닝의 기법 중 분류(classification tack) 문제에 적웅이 활발한 인공신경망 (artificial neural networks)과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기법을 이용하여 스팸메일의 분류와 예측을 가능케 하는 모형을 구축한다.

  • PDF

A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Junk Mail Filtering System to use the FQDN Check and personalized Quarantine Process (FQDN과 개인화 격리 처리를 이용한 정크메일 차단 시스템의 구현 및 평가)

  • Kim, Sung-Chan;Jun, Moon-Seog;Choun, Jun-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6 no.6
    • /
    • pp.3-13
    • /
    • 2006
  • Internet mail has become a common communication method to send and receive an amount of data due to the tremendous high speed Internet service increment. But in other respect, the risk and damage of Junk mail is growing rapidly and nowadays Junk mail delivery problem is becoming more serious, because this is used for an attack or propagation scheme of malicious code. It's a most dangerous dominant cause for computer system accident. This paper shows the Junk mail characteristic which is based on the analysis of mail log in reality and then shows the implementation of the FQDN (Fully Qualified Domain Name) check and Personalized classification system and evaluates its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