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체정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4초

조직구성원의 지각된 CSR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Employees' Perceived CSR on Job Attitud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ty -)

  • 지용익;김찬중;김홍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4호
    • /
    • pp.167-185
    • /
    • 2017
  • 기업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와 요구도 그만큼 커지고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수행된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이 지각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이직무태도(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에서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기업 중 7개 업종, 기업의 종업원 496명을 표본으로 설정하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구성원의 지각된 CSR은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CSR은 조직정체성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조직정체성은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CSR은 조직정체성을 매개로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등 직무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조직구성원들이 기업이 진정성 있는 사회적 책임 활동을 수행한다고 지각할수록 직무태도의 개선을 가져오고, 개인의 정체성을 조직과 동일시하려는 경향이 강해지며 이러한 조직정체성의 강화를 매개로 긍정적인 직무태도를 가져오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본 연구에서 조직정체성을 매개로 CSR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통한 구성원의 직무태도 개선 가능성 등 경영 관리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과제들도 함께 제시하였다.

  • PDF

가족기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Family Function on the School Life Adapta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identity)

  • 권수정;이현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188-195
    • /
    • 2014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가족기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청소년과 부모세대(학부모)의 의식 및 가치관을 조사한 가족의식에 관한 패널을 사용하였고, 연구대상은 청소년 6,979명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하였고, AMOS를 사용하여 요인분석, 경로분석을 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기능의 하위변인(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과 매개변인인 자아정체성 그리고 학교생활적응의 하위변인(교사적응, 친구적응, 공부몰입)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청소년의 가족기능은 자아정체성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기능은 학교생활적응에 자아정체감을 매개하지 않고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학교생활에서의 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간의 기능을 원활히 하고 청소년 개인의 자아정체감 확립이라는 발달적 과업을 이루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대학에 진학한 시설보호 청년의 결혼 태도 영향 요인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n Attitude toward Marriage of Undergraduate with Institutional Background)

  • 정선욱;이민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362-37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 진학한 시설보호 청년의 결혼 태도와 결혼 태도 영향요인을 발견하는 것이다. 대학에 진학한 시설보호 청년은 발달단계상 성인이행기에 있으며, 이 발달단계에서 중요한 발달과업 중의 하나는 친밀하고 낭만적인 관계 맺기, 결혼의 선택이다. 본 연구는 이들의 결혼 이슈를 결혼 태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국의 양육시설과 자립생활관의 협조를 받아 총214명의 대학 진학 시설보호 청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연구 결과, 이들의 결혼에 대한 태도는 대체로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결혼을 외로움을 해소시켜주는 바람직하고 좋은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경제 수준, 자아정체감으로 나타났다. 자아정체감 하위3요소 가운데 자기 수용성, 즉 자신감과 자신을 신뢰하는 정도가 결혼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설보호 청년의 자립 과정에서 결혼 이슈를 고려하는 것의 필요성과 의의, 결혼이 실질적인 자립 지원책으로 기능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사항 등을 제시하였다.

융복합시대 부모방임이 청소년의 성인용매체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자아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arent's Neglect on Adolescents' Sexual-Materials Addiction in the Times of Converge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Identity)

  • 조옥선;백진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349-35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시대에서 부모방임이 청소년의 성인용매체 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 있어서 자아정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 KCYPS 중1 패널 3차 년도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본 연구에 부합되는 2,157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방임, 자아정체성 및 청소년의 성인용매체 몰입에 대한 경로분석 모형을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방임이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방임이 청소년의 성인용매체 몰입에 정(+)적인 영향성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부모방임이 청소년의 성인용매체 몰입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자아정체성을 매개로 하는 간접적인 영향이 확인되었다.

초등학교 5학년 수학교실에서 교사와 학생의 정체성 분석 (A study on teacher and students' identities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 권점례;신인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4호
    • /
    • pp.603-625
    • /
    • 2005
  • Identity is the concept which approaches individuals' affective problems with the social and cultural view. The previous studies on the problems, studied the attitudes, beliefs, or emotions while they restricted the problems to teachers or students' private problems. Otherwise, identities focus on individuals which participate to any community and share its social practices(Mclead, 1994). This study purposed to get an understanding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with an ethnographic view, while we consider mathematics as a kind of social practices, and mathematics classrooms as communities of practice. We analysed teacher's identities on mathematics and teaching mathematics depending on her responses of the questions as following: How does she think about mathematics, what are the instructional goals in her mathematics classroom, how do students learn mathematics in her mathematics classroom. In addition, we analysed students' identities on mathematics and learning mathematics depending on their responses of the questions as following: What do students think of mathematics, do they like mathematics, why do they study mathematics, how do they feel their mathematics classroom(describe your classroom) and themselves in it(describe yourselves in your classroom), what are their duties and what do they do actually in their mathematics classroom.

  • PDF

정보통신 개발 분야의 직업훈련교사의 직업정체감과 직업적응에 관한 문화기술지 (A Narrative Study on Vocational Identity and Occupation of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in ICT)

  • 이성옥;정한길;가문초;곽신;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04-605
    • /
    • 2018
  • 정보통신개발 분야의 IT 직업훈련교사는 실업자 및 구직자들에게 직무기술 전달을 넘어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도록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감당한다. IT 직업훈련교사의 직업정체감과 직업적응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 중 문화기술지 방법을 선택하였고 연구대상으로는 대전의 D 모 훈련기관의 정보통신 직종 직업훈련교사들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가 바라보는 자신의 직업에 대한 이야기와 생각, 관점을 통하여 IT 분야 직업훈련교사 분야에서 연구되지 않은 교사의 직업의식 및 정체성 등 내면세계를 탐구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PDF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 갱년기 증상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Factors Influencing Self-Identity and Menopausal Symptoms on Level of Depression in Middle Aged Women)

  • 한미정;이지현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5-284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self-identity and menopausal symptoms their influence on level of depression in middle-aged woman. Methods: Participants were 135 middle-aged women who were living in city B, were 45-60 years old, informed of study purpose, and agreed to participat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12 to January, 2013 using scales measuring depression, self-identity, and menopausal symptom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Results: Level of depression was low, self-identity was slightly high, and menopausal symptoms were relatively low in these middle-aged wom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ression by perceived health status and perceived economic status. Depression had a moderate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identity (r=-.49, p<.001) and a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with menopausal symptoms (r=.57, p<.001). Menopausal psychological symptoms were the factor most affecting depression and explained 37% of the variance in depression. A total of 51% of variance in depression was explained by menopausal symptoms (psychological and physical), self-identity, and perceived economic status. Conclusion: Thus, an effort to improve self-identity, especially a plan to attenuate menopausal psychological symptoms is needed to reduce depression.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하는 컴페션이 집단적 자긍심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업무관련 정체성의 매개효과와 조직 동일시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Compassion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on Collective Self-Esteem: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Work-Related Identity and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 고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179-18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컴페션이 긍정적 업무 관련 정체성을 매개로 집단적 자긍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 것이고, 긍정적 업무관련 정체성의 매개효과와 조직 동일시의 조절효과를 실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8년 4월1일부터 4월25일까지 서울지역 12개 사회복지기관과 경기지역 13개 사회복지 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369명을 표본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하는 컴페션이 긍정적 업무관련정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되었다. 또한 긍정적 업무관련정체성이 집단적 자긍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긍정적 업무관련정체성의 매개효과와 조직 동일시의 조절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실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이 조직 내에서 컴페션을 경험할 때 업무에 대한 긍정성과 집단에 대한 자긍심, 그리고 조직 동일시를 갖게 될 것을 시사해준다.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시론적 연구 - 한국정책학회와 한국정책학회보를 중심으로 -

  • 허만용;이해영
    • 한국정책학회보
    • /
    • 제21권2호
    • /
    • pp.1-31
    • /
    • 2012
  • 본 연구는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정의·분류하고, 학문적 정체성의 하위차원에서 도출된 연구 질문과 기존 연구에서 제기된 논쟁점에 대해 학문공동체와 기존 연구들이 어떻게 논의하고 있는지를 정리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정책학의 정체성이 무엇이고 어떤 상태에 있는지, 연구 노력과 활동이 정체성 정립에 기여했는지, 학문적 정체성 구축을 위한 연구 함의는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학문적 정체성은 '독자적이고 고유한 이론체계와 방법론 및 연구 대상과 범위를 가지고 있으면서(과학적 정체성) 경계에 따라 차이가 있고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을 고민하면서(경계정체성) 공동체를 구성하여 학문의 영역과 미래를 회고·전망하는 것(집단정체성)'으로 규정하였다. 즉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은 세 가지 하위 차원과 각각의 구성요소(패러다임, 한국화, 공동체 활동 등)로 이루어져 있다.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다음과 같다. 정책의 개념 정립과 이론 구축 등의 멀고 성가신 길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과학적 정체성 수준은 매우 낮고 그 구축은 요원하다고 하겠다. 빈약한 또는 잘못된 정책 개념을 극복하고 정당한 과정을 거친 개념 규정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정책학의 한국화에 대한 연구 요청 대(對) 무용론이나 연구 축적은 거의 없다는 비판 등이 대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계 정체성에 대한 위기를 인식하고 있지만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 축적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학문공동체를 구성하여 (한국)정책학의 위치와 미래에 대해 회고·전망의 장을 열고 있지만 공동체의 목적인 근본적 문제 등에 관한 자극은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구성원들의 응집력은 한국화 등에 대한 공동 노력이 시도되고 있는 반면, 개념 구성 등에 대한 그것은 알려진 것이 드물다. 따라서 집단정체성은 과학적 정체성의 공유(자극, 공동노력, 응집력)는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경계정체성의 공유는 시도 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개념 정립, 이론 구축 등과 같은 과학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는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개인적 시도보다는 학문공동체의 관심과 자극이 수반된 공동 노력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성년기의 도덕성에 관한 연구: 보살핌 지향의 도덕성과 정의 지향의 도덕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Care-Oriented Morality and Justice-Oriented Morality in Young Adults)

  • 정옥분;곽경화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225-238
    • /
    • 200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of care-oriented morality and justice-oriented morality to gender and sex role identity in young adul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2 males and 46 females, the age of 30 to 39 years old. Care-oriented morality was assessed by the Ethic of Care Interview(ECI) and justice-oriented morality was assessed by the Korean Defining Issues Test(DIT) while sex role identity was assessed by the Korean Sex Role Inventory(KSRI). Care-oriented morality of most of the subjects was on level 2. The P(%) score of justice-oriented morality of most of the subjects was found to be pretty high. Sex differences were found both in the levels of care-oriented morality and justice-oriented morality. That is, women were higherthan men both in care-oriented morality and justice-oriented morality.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role identity types was found both in the levels of care-oriented morality and justice-oriented mora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