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책화

Search Result 5,36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시론적 연구 - 한국정책학회와 한국정책학회보를 중심으로 -

  • Heo, Man-Yong;Lee, Hae-Yeong
    • 한국정책학회보
    • /
    • v.21 no.2
    • /
    • pp.1-31
    • /
    • 2012
  • 본 연구는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정의·분류하고, 학문적 정체성의 하위차원에서 도출된 연구 질문과 기존 연구에서 제기된 논쟁점에 대해 학문공동체와 기존 연구들이 어떻게 논의하고 있는지를 정리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정책학의 정체성이 무엇이고 어떤 상태에 있는지, 연구 노력과 활동이 정체성 정립에 기여했는지, 학문적 정체성 구축을 위한 연구 함의는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학문적 정체성은 '독자적이고 고유한 이론체계와 방법론 및 연구 대상과 범위를 가지고 있으면서(과학적 정체성) 경계에 따라 차이가 있고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을 고민하면서(경계정체성) 공동체를 구성하여 학문의 영역과 미래를 회고·전망하는 것(집단정체성)'으로 규정하였다. 즉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은 세 가지 하위 차원과 각각의 구성요소(패러다임, 한국화, 공동체 활동 등)로 이루어져 있다.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다음과 같다. 정책의 개념 정립과 이론 구축 등의 멀고 성가신 길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과학적 정체성 수준은 매우 낮고 그 구축은 요원하다고 하겠다. 빈약한 또는 잘못된 정책 개념을 극복하고 정당한 과정을 거친 개념 규정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정책학의 한국화에 대한 연구 요청 대(對) 무용론이나 연구 축적은 거의 없다는 비판 등이 대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계 정체성에 대한 위기를 인식하고 있지만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 축적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학문공동체를 구성하여 (한국)정책학의 위치와 미래에 대해 회고·전망의 장을 열고 있지만 공동체의 목적인 근본적 문제 등에 관한 자극은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구성원들의 응집력은 한국화 등에 대한 공동 노력이 시도되고 있는 반면, 개념 구성 등에 대한 그것은 알려진 것이 드물다. 따라서 집단정체성은 과학적 정체성의 공유(자극, 공동노력, 응집력)는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경계정체성의 공유는 시도 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개념 정립, 이론 구축 등과 같은 과학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는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개인적 시도보다는 학문공동체의 관심과 자극이 수반된 공동 노력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Aging and Population Policies in Korea, China and Japan (한.중.일 3국의 고령화와 인구정책)

  • Koo, Sung-Yeal;Park, Jong-Dae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0 no.3
    • /
    • pp.1-31
    • /
    • 2007
  • Korea, China and Japan have been undergoing economic development, demographic transition and population aging, in a speed unparalleled in world history. This paper examines, for each of these countries, on (i) the trend and prospect of the effective dependency burden (EDB) in terms of stable population and (ii) the optimum fertility path which will lead to a stable population with the minimum level of EDB under the trend and prospect of decreasing age specific mortality rates. It then evaluates (iii) the transitory EDB costs of pro-natal policies during the adjustment process of stabilization and (iv) the effectiveness of other supplementary policies which influence EDB parameters.

Public Deliberation for Technological Risk Policy Making in a Real-World Context (기술위험 정책결정을 위한 공론화 과정의 실제)

  • Lee, Yun-Jeong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20 no.4
    • /
    • pp.837-857
    • /
    • 2017
  • This paper examines the gap between the theoretical premises of, and the ways that public deliberative approaches to decision-making function in application to a specific instance of technological risk policy. An interrogation of a UK nationwide public deliberation case-the CoRWM program (Committee on Radioactive Waste Management)-a real-world instance of public deliberation illuminates some significant contrasts in the ways that public deliberation takes place to those characterized in theory. A public-engaged deliberation on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in reality does not emerge as rational reasoning for the common good. Instead, it was rather a complex mix of various forms of material, social and political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xperts' Perception of Scienc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Focus on the Revision of the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 and the Achievement Standard of Curriculum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 정책에 대한 전문가 인식 탐색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및 성취기준 개정을 중심으로-)

  • Chun, Joo-young;Lee, Gyeong-geon;Hong, Hun-g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1 no.6
    • /
    • pp.483-499
    • /
    • 2021
  • Th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is closely related to the decentralization and autonomy policy, which is a direc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ontinuously expanding and changing environment and contents in science education, the localiza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has the advantage of advancing to expertise through diversity. In this paper, through experts' percep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the implications of the curriculum revision were confirmed, focusing on 'MPOE(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hereinafter referred to as 'guideline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revision of science curriculum. In conclusion, study participants considered that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localization of the curriculum was high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cience practices. And they recognized the level of localization at the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or village'-level between MPOE-level and school-level. When localization reaches the school-level in the future,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discuss linkage with teacher policies such as teacher's competency, noting that the level of teachers could become the level of localization. In addition, there was a common perception that in order for the science 'guidelines' to be localized, 17 MPOE must be given the authority to autonomously organize some achievement standards in parallel. It was considered that 'restructuring or slimming of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precede localiz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in connection with this. On the other hand, it was predicted that th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would enhance the aspect of diversification and autonomy of the science curriculum, and the establish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was directly related to evaluation, so it recognized the need to refine policies such as new description for evaluation clause in future science 'guidelines'. Finally, considering science and characteristics, it was mentioned that it is necessary to specify regional intensive science education policies in the 'guidelines' themselves beyond the localization of teaching materials.

4차 산업혁명시대의 소비자이슈와 소비자정책

  • Choe, Byeong-Ro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413-421
    • /
    • 2017
  •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하여 대두되는 핵심기술로 인공지능, 로봇,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자율주행자동차, 드론, 3D 프린팅, 블록체인 등을 들고 있다. 과거와 현재는 생산자가 최적의 비용으로 고성능 고품질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했으나 4차 산업 혁명 시대는 소비자가 제품의 종류 및 특성, 생산 시점 등 전 과정에 관여하고 상품 자체보다 상품이 제공하는 가치를 중시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처럼 생산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소비 트렌드가 변한 것은 AI, IoT, VR, 3D 프린팅 등 4차 산업혁명의 기술혁명이 지대한 기여를 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에서 새로운 유형의 소비자문제도 발생하고 기존의 소비자문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로 사전 예방적인 소비자정책과 사후구제의 소비자정책 모두 새롭게 정립해 두어야 한다. 사전예방적인 소비자정책으로는 (1) 위해방지, (2) 규격의 적정화, (3) 거래의 적정화, (4) 표시광고의 적정화, (5)소비자정보제공의 충실화 및 소비자능력의 향상을 위한 소비자교육의 강화, (6) 개인정보보호의 강화가 필요하다. 사후구제의 소비자정책으로는 (1) 소비자분쟁해결기준의 정비, (2) 피해구제 관련 법률의 제정이나 개정 등이 필요하다.

  • PDF

방산물자 국산화 촉진을 위한 정책방향

  • Kim, Gwang-Yeol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7 s.269
    • /
    • pp.38-43
    • /
    • 2001
  • 방산물자 국산화의 주역은 정부도 군도 아닌 개발업체이다. 방산물자 국산화의 성패는 개발업체의 노력과 기술력에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이들 개발업체를 도외시한 정부의 국산화정책은 실효를 거둘 수 없기 때문에 정부는 업체의 개발의욕과 기술수준을 높이는 투자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개발참여시 발생하는 문제점과 애로사항을 충분히 해소시켜 주는 법과 제도적 장치, 그리고 정책적 배려를 해 줄 때 국산화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The Status of Commercial Plant and Different Technologies for Bio-gasification of Organic Wastes (유기성폐기물의 바이오가스화 기술 및 보급 현황)

  • Heo, Nam-Hy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763-766
    • /
    • 2007
  • 국내에서 발생되는 고형폐기물 중 자원으로 재활용 가능한 유기성폐기물은 하수슬러지, 음식물류폐기물, 축산분뇨 등을 대표 할 수 있다. 이들 유기성폐기물은 환경적인 측면에서 볼 때 다른 유기성 폐수 및 폐기물에 비하여 오염부하량이 상대적으로 높지만, 이를 생물자원 (Biomass)으로 인식하고 이용 할 경우 지구온난화와 같은 환경문제 뿐만아니라 향후 자원고갈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 자원이다. 유기성폐기물을 대체에너지 자원으로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국제적 환경규제와 에너지 정책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폐기물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체계적인 정책적 지원책과 기술 개발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자원 재활용과 에너지회수 기술에 있어 혐기성소화(anaerobic digestion)는 유기성폐기물의 효과적인 감량화, 재이용화, 안정화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유용 에너지원인 메탄가스를 회수할 수 있는 바이오가스 전환기술로 최근에 주목을 받는 biotechnology 중의 하나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특히, 소비자원의 대부분이 해외에 의존하는 국내현실과 최근 고유가에 따른 국가 에너지 정책을 제고해야하는 현 시점에서 유기성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가스화 기술을 널리 보급하기 위해서는 요소기술 개발과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Priority Derivation of Policy Plans for ICT SMEs and Ventures' Globalization (정보통신분야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화 정책방안 우선순위 도출)

  • Lee, Jungmann;Cho, Ilg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6
    • /
    • pp.13-22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the globalization policy of ICT SMEs and ventures using cognitive map analysis and derived the priority to importance about action plans using AHP model, while the globalization paradigm has been rapidly changing in the ICT industry.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policy tool variables should be needed to develop because policy goal variables are generally presented more than policy tool variables. In addition, this cognitive map could be characterized by a scarcity of feedback loops which means policy landscape for ICT SMEs and ventures' globalization is unilateral rather than cyclical to reach policy goal from policy tools. Another finding is that creative economy policy variable was not observed as policy tool variable but as policy goal variable. This means creative economy can be implemented through support for ICT SMEs and ventures' globalization. Finally, for detailed policy measures, installation of global start-up center, recruiting and utilization of global specialists, revitalization of ICT R&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study, enlargement of global investment network, accompanied overseas advance of large enterprises and SMEs are presented in order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policy priority.

A Study on the Digital Era's Influential Factors on Policy Organizations (디지털시대의 정책조직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Lee, Sang-Bum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6 no.2
    • /
    • pp.33-40
    • /
    • 2008
  • Alvin Toffler는 인류 발전 과정을 세 가지 변화의 물결, 즉 유목 채집 사회에서 농경 사회로의 변화, 산업혁명에 의한 농경 사회에서 산업 사회로의 변화, 그리고 1950년대부터의 후기 산업화 사회로의 변혁으로, 산업 사회에서 정보 사회로의 변혁이 일어나기 시작했으며 탈대량화, 다양화, 지식기반 생산과 변화의 가속이 시작된 시기였다. Herman Maynard와 Susan Mehrtens는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휴대폰 등), 인터넷의 발달로 제4의 물결이 시작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전의 사회 변혁들은 물질 생산이 따르는 가시적인 변혁들이었으나, 디지털 혁명은 시민사회의 참여 확대를 통한 민주주의의 진화된 형태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지금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제4의 물결의 시작은, 시민사회의 정책 참여와 견제가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는 초고도 정보화 사회의 시작을 의미하며, 정책 결정 자들은 정책 결정 과정에서 그들이 보유하던 절대 영향력의 일부분을 시민사회에 이양됨을 막을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대변혁의 시대에 관료주의, Digital Divide, 그리고 시민 참여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시민 참여에 대한 관료주의의 방침과 태도, 제4의 물결의 정책 민주화와 Digital Divide로의 영향 분석을 통하여 정책 결정 자들과 그들의 환경으로의 파급 효과를 논증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과 논증을 통하여, 정책조직들과 시민사회와의 신세기의 바람직한 동반자적 입지 구축에 기여 할 것이다.

  • PDF

Policy Suggestions on Personal Data Utilization by Analyz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De-identification Policy (국내외 비식별화 현황 분석을 통한 개인정보 활용 정책 제언)

  • Kang, Hye-young;Kwon, Hun-yeong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9 no.1
    • /
    • pp.41-48
    • /
    • 2019
  • In the era of Internet of Thing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t has become essential to digitize mass data, which leads 'data-driven economy'. Digitalized personal data can be easily collected, stored, duplicated and analyzed. As ICT technology is evolving the concept of traditional personal data has changed. The United States, the European Union, Japan, Korea and many countries have introduced new concept of personal data into law such as de-identification, anonymization, and pseudonymization to protect and utilize digitalized personal information. These concepts are distinguishable depending on countries.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done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personal data related policies of several countries. Based on this study, this paper will suggest policy on di-identification to draw the right balance between personal data protection and use, which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ec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