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책기대

Search Result 3,05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협력관계(協力關係) 구축(構築)에 있어서의 신뢰(信賴)의 역할(役割) : 남북한(南北韓) 관계(關係)를 중심으로

  • An, Seok-Hwan;Im, Won-Hyeok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9 no.1
    • /
    • pp.105-149
    • /
    • 1997
  • 이 논문에서는 남북한 관계를 중심으로 분쟁해소와 협력관계 구축에 있어서 신뢰(信賴)가 할 수 있는 역할(役割)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이 논문의 모델은 Kreps-Wilson(1982)의 신규진입 게임을 협력관계 구축이라는 새로운 상황에 맞게 변환시킨 순차적 게임모델로서 유한반복(有限反復) 게임구도와 비대칭적(非對稱的) 정보소유(情報所有)를 그 근간으로 한다. 북한이 남한정부가 진보적이라고 믿는 확률을 남한에 대한 '신뢰(信賴)'라고 정의할 때, 신뢰는 크게 나누어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북한이 남한에 대해 작은 규모의 신뢰감만 가지고 있어도 피의자(被疑者)의 딜레마 (Prisoner's Dilemma) 상황을 피할 수 있으며 상당한 기간동안 남북협력관계(南北協力關係)가 지속될 수 있다. 왜냐하면 보수적 성향의 남한정부도 북한이 개혁정책을 추진할 때 대북(對北) 압박정책 대신 포용정책(包容政策)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수익이 적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상당기간동안 포용정책을 선택할 동기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와 같이 자신의 성향을 은폐하는 위장행동의 가능성이 높은 동안 신뢰(信賴)는 쉽게 증진되지 않는다. 다만 남북한이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을 뿐이다. 남북협력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남한이 할 수 있는 일은 정책대응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는 한편, 개혁정책을 통해 북한이 얻을 수 있는 기대수익(期待收益)을 늘리고 남한에 배신당할 경우 입는 피해를 줄여주는 것이다. 특히 장기적인 관점에서 북한의 기대수익을 점진적으로 늘려 '신뢰도(信賴度)가 넘어야 할 문턱'을 낮추는 것이 효과적인 정책이다. 따라서 남북관계를 진전시키기 위해서는 북한의 지속적인 개혁을 조건으로 북한의 기대수익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KEDO식의 장기적 경협사업(經協事業)을 고안하여 추진해야 한다. 이에 반해 인도주의적 명분하에 일과성의 식량지원을 북한에 제공하는 것은 북한의 구조적(構造的) 경제난(經濟難) 해소나 남북관계의 지속적 진전에 별 도움이 안되는 정책이다. 북한은 북한 나름대로 남한을 한번 믿어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상대방에 대한 불신(不信)은 결국 협력관계가 유지될 수 있는 기간을 감축시켜 비효율적인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 PDF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the Effects of Transportation Policies Related to Greenhouse Gas Reduction (교통온실가스 감축정책의 효과분석 방법론 연구)

  • LEE, Kyu Jin;YI, Yongju;CHOI, Keech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6 no.1
    • /
    • pp.1-1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quantitative effects of transportation GHG (greenhouse gas) reduction-related policies that were implemented based on the reduction goals of transportation GHG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plans. This study uses a modal utility function and demand estimation models as well as a GHG emission basic unit estimation model by each transportation mode based on actual traffic and emission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s of GHG reduction policies such as electric vary from region to region, and from vehicle to vehicle. It is also confirmed that an eco-drive promotion policy, one of the lowest budget policie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high reduction in GHG. In addition, not only automobile emission improvement policies but also the promotion policies of public transportation are expected to highly reduce GHG as confirmed quantitatively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evaluation of GHG reduction policies to cope with the post 2020.

Replacement Model Following the Expiration of Free RRNMW (무료 재생교체-비재생수리보증이 종료된 이후의 교체모형)

  • Jung, Ki-Mu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18 no.6
    • /
    • pp.697-705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an optimal replacement policy following the expiration of a free renewing replacement-non-renewing minimal repair warranty. To do so, the free renewing replacement-non-renewing minimal repair warranty is defined and then the maintenance model following the expiration of free renewing replacement-non-renewing minimal repair warranty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s studied. As the criteria to determine the optimality of the maintenance policy, we consider the expected cost rate per unit time from the user's perspective. We derive the expressions for the expected cycle length and the expected total cost to obtain the expected cost rate per unit time. Finally, the numerical examples are presented for illustrative purposes.

Internet Governance and the future of DOI management policy (인터넷 정책과 향후 DOI 관리 정책의 발전 방향)

  • 이재진;안계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0.08a
    • /
    • pp.201-206
    • /
    • 2000
  •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은 이른바 주소관리로 이어지는 도메인이름, IP주소 할당, 프로토콜 관리를 포함한 기술 정책의 수립을 통해 사이버 공간상의 새로운 질서를 요구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되어온 인터넷 정책은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 식별체계의 도입에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 식별 체계로 부각되고 있는 DOI는 단순한 식별체계로서만이 아니라 디지털 콘텐츠의 관리·유통을 포함하는 모든 측면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지금까지 수행되어온 인터넷 정책, 특히 주소관리 정책을 기반으로 한 효율적인 DOI 관리 정책 수립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 PDF

내륙 운송 체계 하에서 공 컨테이너의 최적 재고관리에 관한 연구

  • Yun, Won-Yeong;Lee, Yu-Mi;Jeong, Il-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210-212
    • /
    • 2007
  • 본 논문은 내륙 운송 체계 하에서 공 컨테이너의 효율적인 재고관리 문제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그리고 실제 컨테이너 선사가 공 컨테이너 운영 관리에 있어서 예측하기 힘든 고객의 수요 및 공급 등의 불확실한 요소들을 고려하기 위하여 공 컨테이너의 수요와 공급을 확률변수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재고유지비용, 임대비용 및 총 기대 비용을 추정하고 (R, s, S) 재고 정책을 기본 재고정책으로 한 가정 하에 GA (Genetic Algorithm)를 사용하여 총 기대 비용을 최소화 하는 주문, 발주 정책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biquitous environment in a School (학교현장으로의 유비쿼터스 환경 적용을 위한 전략 모색 - 교육정보화정책 실천과정 분석을 기초로 -)

  • Hong, Ji-You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8a
    • /
    • pp.199-206
    • /
    • 2006
  • e-러닝의 학교 현장 도입과 마찬가지로 유비쿼터스 기술이 대두되면서 학교 현장으로의 유비쿼터스 환경 적용에 대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신기술에 대한 무조건적인 적용을 통해서는 우리가 기대하는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e-러닝을 중심으로 한 교육정보화정책 실천과정 분석을 기초로 유비쿼터스 환경 적용을 위한 전략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PDF

국내 설비투자의 현황 및 기대효과 분석

  • Jeong, Seong-Gyun;Park, Sang-Jin;Park, Gwang-Sun
    • 기계와재료
    • /
    • v.22 no.2
    • /
    • pp.92-105
    • /
    • 2010
  • 국내 설비투자 증가율은 90년도 이후 GDP 증가율 하락과 함께 감소하였으며 GDP대비 제조업분야의 설비투자비율 역시 감소하는 등 투자가 활기를 띄지 못하고 있으며 국가의 미래 성장잠재력 강화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설비투자로 인한 정량적 기대효과 분석을 수행하고 설비 투자 촉진 정책의 당위성과 파급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설비투자가 성장, 고용, 세수에서 주목할만한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지역, 산업, 정책 클러스터의 생성배경과 특성

  • Park, Jae-Su
    •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
    • /
    • s.20
    • /
    • pp.52-59
    • /
    • 2005
  • 국가혁신체계로서 클러스터의 중요성과 더불어, 향후의 방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클러스터의 지역, 산업, 정책적인 특성을 파악하여서 미래의 발전방향을 파악해보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러스터는 지역적으로, 산업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정책적 지원을 통한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지역, 산업, 정책 클러스터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지역 및 산업 간의 연결과 정책적 촉진(facilitate)은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책은 클러스터의 진화에 필요한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설정에 의해 실행되어야 하고, 궁극적으로 시장의 자율적 역할이 극대화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클러스터 진화과정에서 시장의 자율 즉 새로운 비즈니스에 대한 시장의 엄격한 평가가 진행될 수 있도록 진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 PDF

국가정책 소개 - 초고속국가망 제2단계사업 계획 수립ㆍ추진

  • Lee, Gi-Ju
    • Digital Contents
    • /
    • no.10 s.53
    • /
    • pp.38-45
    • /
    • 1997
  • 정보통신부는 지난 '95년부터 추진중에 있는 초고속국가망 1단계 사업이 '97.12월말 완료될 예정임에 따라 '98~2002년까지를 사업기간으로 하는 '초고속국가망 2단계 사업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는 초고속정보통신분야의 정책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정보화 분야의 정책수립 뿐만 아니라 민간기업의 경영전략 수립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특집-도서관법 개정과 도서관 정책 방향 변화

  • Korean Library Association
    • KLA journal
    • /
    • v.47 no.12 s.378
    • /
    • pp.21-48
    • /
    • 2006
  • 지난 10월 4일 정부공포로 확정된 새로운「도서관법」은 기본적으로 도서관 정책 수립 및 추진 체계를 새롭게 정비하고, 지방분권 시대를 맞아 지역 단위도서관 정책과 행정 강화라는 큰 틀의 변화를 담고있다. 이번 호에서는 개정「도서관법」에 따라 새롭게 만들어 질‘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와 지방분권시대 도서관 정책 방향에 대한 지방설명회(2006.11.29,광주광역시)에서 발표된 내용을 수록한다. 아직 확실한 모양새를 갖추지는 못했으나, 위원회 등은 새로운 도서관문화 창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기대된다. ■ 편집자 주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