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지용의 시

Search Result 14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alysis & Countermeasures for Operation of Dead Machine Protection Relay(50/27) of Wolsong-2 Unit by KEPCO Grid Electrical Fault (전력계통사고에 의한 월성2호기 주발전기 정지중 기동시 보호용계전기(50/27) 동작분석과 대책)

  • Chang, Tae-H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a
    • /
    • pp.28-34
    • /
    • 2001
  • 월성2호기가 100% 출력 운전중 2001.4.6일 20:16분에 345kV 신경산변전소 GIS모선#1측 지락고장 파급으로 주발전기 정지중 기동시 보호 용계전기(50/27)가 동작되어 발전정지 되고 원자로 출력은 60%까지 감발 되었음. 본 보호계전기는 발전기 정지나 터닝기어로 저속운전 중 인적 실수에 의해 발전기 병입용차단기 투입시 발전기가 과도한 돌입전류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계전기로, 정상운전중이거나 외부사고시에는 동작할 수 없는 보호계전기임. 따라서 본 보호계전기의 동작원인을 당시 동작 상황과 기록데이터를 정정치와 함께 분석하고 적정동작을 위한 대책을 제시함.

  • PDF

Design of Multiple Channel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for Unmanned Vehicle (무인차량용 다중채널 무선원격 제어시스템의 설계)

  • Kim, Jin-Kwan;Ryoo, Young-J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4 no.5
    • /
    • pp.489-494
    • /
    • 2014
  • In this paper, a design of multiple channel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for unmanned vehicle is proposed. One of serious problems of the previous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is that it does not work when a control channel is damaged in case of emergency because it's composed of single control channel. Therefore, we propose the multiple channel wireless remote system which is composed of a portable wireless remote controller and a stationary wireless remote controller. The portable wireless remote controller and stationary wireless remote controller are designed and the multiple channel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for unmanned vehicles in developed. By applying to the unmanned vehicle to check its performance. The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is tested. Emergency stop using the portable wireless remote controller is tested when the stationary wireless remote controller is damaged. Also, emergency stop using the stationary wireless remote controller is tested when the portable wireless remote controller is damaged. The result of emergency stop test shows satisfied performance.

A New Weinberg Converter with High Efficiency Low Current Ripple for Geosynchronous Satellite (정지궤도 위성에 적합한 높은 효율 및 작은 출력 전류 리플을 갖는 Weinberg 컨버터)

  • Kim, Dong-Kwan;Lee, Nayoung;Park, Jeong-Eon;Moon, Gun-W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07a
    • /
    • pp.216-218
    • /
    • 2018
  • Weinberg 컨버터는 입출력 전류 리플이 작아 필터 사이즈가 작고, 스위치 및 다이오드가 소프트 스위칭을 하여 높은 효율을 갖는 장점으로 인해 정지궤도 위성용 배터리 방전 조절기와(Battery Discharge Regulator, BDR) 같이 높은 전력밀도 및 높은 효율을 요구하는 제품에 유용한 승압형 컨버터이다. 최근 정지궤도 위성의 큰 전력 요구사양에 맞춰 버스 전압 사양이 커지면서 Weinberg 컨버터는 몇 가지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첫째 다이오드의 큰 순 방향 전압 강하로 인해 도통 손실이 증가한다. 둘째 다이오드의 기생 커패시터와 누설 인덕턴스간의 공진으로 인한 전압 맥동이 심화되면서 EMI 특성이 악화된다. 셋째 스위치 턴-오프 시 발생하는 큰 출력 전류 스파이크로 인해 출력 필터 크기가 커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추가 스위치 및 커패시터를 이용해 다이오드 차단시 그 전압을 기존보다 크게 낮춤으로 써 도통 손실 개선 및 EMI 특성 개선을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출력 필터 사이즈 저감을 위해 출력 전류 리플을 줄일 수 있는 추가 스위치의 적절한 구동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제안하는 컨버터는 더욱 높은 전력 밀도 및 효율을 얻을 수 있어 차세대 정지궤도 위성용 BDR에 적합하다. 본 컨버터는 100V/750W의 출력전압/전력을 갖는 시작품을 통해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 PDF

오일 시일의 밀봉성능

  • 양보석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v.3 no.1
    • /
    • pp.12-17
    • /
    • 1987
  • 밀봉장치는 밀봉요소 또는 시일(seal)이라 불리우며, 서로 접촉한 부분 사이에서 유체의 누설방지 및 이물질의 침입방지에 이용되고 있다. 밀봉면에 거시적인 상대운동이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 동적요소와 정적요소로 분리된다. 동적밀봉요소를 운동용 시일 또는 패킹(packing)이라하고 크게 접촉형과 비접촉형으로 분리된다. 정적밀봉요소를 정지용 또는 고정용 시일이라하며 가스켓(gasket)이라고도 한다. 오일 시일의 일반적인 사항에 대해 설명하였다. 사용기기의 고속, 고성능화에 다라 오일 시일의 사용조건이 점점 가혹하게 되고 있으므로 신뢰성과 안정성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트러블 원인은 살펴보면 취급법이나 축에 기인하는 초기 고장이 많으므로, 사용조건에 적당한 오일 시일을 선정하고 올바른 사용 방법을 지키므로서 초기 고장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보다 전문적인 내용들은 관련 문헌을 참조바란다.

Performance and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Gas Fuel Processor for 1kW Class PEMFCs (1kW급 고분자 연료전지용 통합형 천연가스 개질 수소 제조 시스템의 성능 및 운전 특성)

  • Seo, Yu-Taek;Seo, Dong-Joo;Seo, Young-Seog;Roh, Hyun-Seog;Jeong, Jin-Hyeok;Yoon, Wang-Lai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17-20
    • /
    • 2006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는 가정용 고분자연료전지 열병합 발전시스템을 위한 통합형 천연가스 연료처리 시스템을 개발해 왔다. 가정용 시스템으로서 필수적인 소형화와 고효율을 현실화하기 위해, 연료처리 시스템의 각 단위 공정 즉 수증기 개질, 수성가스 전이, 선택적 산화 공정 등을 이중 동 심관형 반응기에 통합하여 상호 열교환이 용이하도록 반응기를 설계하였다. 현재 시험 운전 중인 Prototype-I 연료 처리 시스템은 1kW급 고분자 연료전지 열병합 발전 시스템에 개질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기초 성능은 정격 부하 운전시 열효율 78% (HHV 기준), 메탄 전환율 91%이다. 개질 가스 내 일산화탄소 농도는 고분자 연료전지 전극의 피독을 피하기 위해 10ppm 이하로 유지되어야 하며, Prototype-I 연료 처리 시스템은 백금과 루테늄 촉매를 적용한 선택적 산화 반응기를 통해 개질 가스 내 일산화탄소 농도를 10ppm 이하로 제거하였다. 일반 가정에서는 고분자 연료전지 시스템의 부하 변동이 예상되기 때문에 연료 처리 시스템의 부하 변동 운전 특성도 살펴보았다 정격 부하에서 80%, 60%, 40%로 부하를 변동하며 운전하였고, 각 부하에서 안정한 메탄 전환율과 10ppm이하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보였다. 80%까지는 열효율이 77%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60%에서는 76%, 40%에서는 72%로 열효율이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연료 처리 시스템의 일일 시동-정지 운전시 내구성을 테스트 중이다. 현재까지 50여회의 일일-시동 정지를 시도하였다 시동 후 약 세 시간가량의 정력 부하 운전을 실시한 후 부하 변동을 실시하였고, 총 운전 시간 8시간 정도 운전한 후 시스템을 정지하였다 메탄 전환율과 일산화 탄소 농도, 열효율을 모니터링 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초기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앞으로 일일시동-정지 운전 시험을 지속하면서 초기 시동 특성 및 부하 변동에 따른 응답 특성 개선, 그리고 연료전지와의 연계 운전을 실시할 예정이다

  • PDF

Failure Cause Analysis for Loss of Off-site Power Test during Normal Full Power Operation On Wolsong-4 NPP (월성원전 4호기 전 출력 운전시 소외전원상실시험 실패 원인분석)

  • Chang, Tae-H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a
    • /
    • pp.175-181
    • /
    • 2000
  • 월성원자력4호기가 '99.06.09일 11:53분 경 전출력 소외전원상실시험시 주발전기 병입차단기 및 기동용변압기 차단기의 트립과 동시에 예상 밖의 13.8Kv 원자로 냉각재펌프모터#3(9.000HP)이 순시과전류 보호계전기(50Y) 동작으로 트립되어 이로 인한 냉각재 저유량으로 원자로 제1정지계통이 동작되고 원자로가 비상정지 되어 동 시험이 실패되었음. 이 비정상적인 고장은 예비디젤발전기의 수동 기동 병입과 터빈 수동 정지 및 주발전기 트립후 적절한 조치로 소내전원은 정상적으로 복구되었음. 이에 대해 냉각재펌프모터#3의 순시과전류 동작 원인을 유도전동기의 전원상실 후 발생되는 잔류전압(Residual Voltage)과 공급 모선전압(Bus Voltage) 측면에서 분석하며, 모터의 회전속도, 위상각, 잔류전압크기 변화 및 신속개방 절체시 냉각재펌프모터의 돌입 기동전류를 계산하고, PSS/E 프로그램을 사용한 간략한 모의 사례로 검증하였으며 이에 대한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을 제시함.

  • PDF

Development Strategy of Nuclear Power Plant Training Simulator based on Design Analysis Codes (설계해석코드 기반의 원자력발전소 훈련용 시뮬레이터 개발전략)

  • 박근옥;이종복;서용석;구인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369-372
    • /
    • 2000
  • 원자력발전소의 과도상태와 불시정지에 대한 운전원의 진단 및 대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활용되고 있는 훈련용 시뮬레이터는 운영중인 발전소를 모델링하여 이를 응용 소프트웨어로 개발한 후 컴퓨터와 하드웨어 장비에 통합시킨 방식으로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개발방법은 훈련용 시뮬레이터 개발에 상당한 비용과 시간을 요구한다. 특히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상당한 투자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발전소 설계 시에 시스템 해석을 위하여 사용되는 열수력 및 안전해석 코드를 이용하여 훈련용 시뮬레이터를 단기간에 저비용으로 개발하는 전략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Driver Behavior and Dilemma Zone during Yellow Interval at Signalized Intersections (신호교차로 황색현시에서의 운전자 형태 및 딜레마 구간 연구방안)

  • 이승환;이성호;박주남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1 no.4
    • /
    • pp.7-16
    • /
    • 2003
  •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drivers' behaviors at signalized intersection during yellow interval. For this, deceleration rate of stopping, PRT(Perception-Response Tim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lemma zone and deceleration rate of stopping were surveyed at two signalized intersections located at urban area(Songtan and Suwon) and local area(Yongin) As a result, the deceleration rate of stopping at signalized intersections and a range of dilemma zone were estimated. It was found that the deceleration rate of stopping and PRT were 1.6m/sec$^2$ and 1.27sec, respectively. These values are bigger than ITE's values which have been used in our country.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that these values should be used as a new design criteria for the traffic signal control.

Design of LQR Controller of DSIATCOM for Compensating Voltage Sag Using PSCAD/EMTDC (PSCAD/EMTDC를 이용한 전압 Sag 보상을 위한 배전용 정지형 보상기의 LQR 제어기 설계)

  • 이명언;정수영;최규하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3 no.1
    • /
    • pp.68-74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of DSTATCOM (Distribution 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 controller. The results are verified by using PSCAD/EMTDC package. The state equation derived by decomposition analysis of DSTATCOM current component is applied to load model and the combined model which considered constraint condition. In case of single line to ground fault, the conventional method of Pl control is compared with LQR control technique. LQR control is shown to be superior in terms of response profile and composition of voltage sag.

A Survey of the Current Components of Bipropellant Propulsion System for Geosynchronous Satellites (정지궤도 인공위성용 이원추진시스템 부품 조사)

  • Chae, Jong-Won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6 no.1
    • /
    • pp.82-89
    • /
    • 2008
  • In this paper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urrent components of bipropellant propulsion system for geosynchronous satellites. The purpose of the survey is to list up the alternativ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components of chemical propulsion system (CPS) of the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 so that the criterion of survey is whether the alternative components can be applicable to COMS CPS or not. The survey results are described in component-by-component way and the short descriptions of each component and its companies are added. This paper can be useful for beginning a market survey and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components of bipropellant propulsion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