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장 브랜드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초

패션브랜드개성이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정장, 캐주얼, 스포츠 브랜드의 비교 - (Impact of Fashion Brand Personality on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 Comparison among Formal, Casual, Sports Brands -)

  • 고은주;윤선영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4권
    • /
    • pp.59-80
    • /
    • 2004
  • 본 연구는 패션 제품은 사회심리적 속성이 강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Aaker의 일반적인 제품에 적용한 브랜드 개성 차원과는 다른 차별화된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패션 브랜드 이미지에서 추출한 브랜드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어휘들을 포함하여, 패션 브랜드 개성 차원을 도출하여 전체적 패션브랜드 개성 차원을 밝혔으며, 또한 패션 제품의 세분화 기준중의 하나인 복종별 (정장, 캐주얼웨어, 스포츠웨어)에 따라 패션 브랜드 개성요인은 어떻게 다르게 도출되는 지를 알아보았다. 이는 패션 제품 카테고리에 맞는 패션브랜드개성 차원을 개발함으로써 차별적 브랜드 마케팅 전략 수립 및 활용을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소비자들에게 있어 브랜드 개성차원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의 개성 차원들이 브랜드의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패션 브랜드 개성 차원은 유행/ 혁신성, 성실성, 보편/ 안정성, 전문성의 4 가지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복종에 따라 정장에서는 혁신/활동성, 안정성, 전문성, 보편성이, 캐주얼웨어에서는 유행/ 혁신성, 활동성, 성실성, 안정성으로, 스포츠웨어에서는 혁신성, 사교성, 성실성의 개성 차원이 도출되었다. 셋째, 패션 브랜드 개성 요인에 따라 소비자의 브랜드 선호와 구매의도의 영향력은 다르게 나타났다. 패션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는 성실성, 보편성, 전문성이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정장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는 전문성, 캐주얼웨어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는 활동성, 스포츠웨어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는 성실성이 선호도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전반적인 패션브랜드 개성과 정장 브랜드 개성에서는 선호도와 동일한 차원들이 각각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캐주얼웨어 브랜드 개성 차원에서는 유행/ 혁신성, 진실성, 안정성이 스포츠 브랜드 개성 차원에서는 혁신성이 각각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내 여성복업체의 입체재단 도입현황 분석 - 미시존 기성복 브랜드 중심으로 -

  • 채수경;천종숙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2-44
    • /
    • 2003
  • '95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경제위기를 맞이하면서 의류시장의 외형적 규모와 소비자들의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되자, 국내 미시존 여성복 브랜드에서는 단품의 강화와 트랜드를 반영한 캐릭터성 보완의 두 가지 측면으로 시장구도를 형성하며 의류시장의 위기를 모면하려 노력한다. 그러나 IMF 이후, 베이직 상품의 판매비중이 늘어나게 되자 정장에 트랜드를 반영하기보다는 단품에 트랜드를 반영하려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대다수의 브랜드들이 기획비중을 줄이고 보완반응의 비중을 늘리면서 인기 브랜드의 인기 아이템에 대한 디자인 카피가 늘어나게 되면서, 브랜드의 차별화가 없어지는 공동화 현상이 심각하게 대두되게 되었다. (중략)

  • PDF

과시소비성향과 정장 수입브랜드선호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by Conspicuous Consumption and Imported-Brand Preferences)

  • 박미정;임숙자;이승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1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nspicuous consuming tendency and imported-brand preferences based on purchasing behavior of clothing. 464 women living in Seoul were collected for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ats, and $X^2-test$ were used. As the result, five factors in conspicuous consumption are generated from the factor analysis. Consumers with high conspicuous consumption prefer imported-brand clothing. According to the levels of conspicuous consumption, purchasing behaviors of clothing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information usages, clothing selection evaluations, patronage store types, purchasing frequencies, and seasonal clothing expenditure. Finally,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imported-brand clothing preference in information usages, clothing selection standards, and patronage store types.

브랜드자산의 가치평가 모형과 평가지수 개발

  • 성태응;최산;전승표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35-746
    • /
    • 2017
  • 기업의 이윤창출은 보유 제품 기반의 사업으로부터 거둬들이는 미래 수익을 기반으로 예측되기도 하는데, 과거 발생한 매출실적에 기여한 요인은 일반적으로 인적자산, 시장자산, 기술자산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특허, 디자인과 같은 기술자산이 일정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에, 고가의 소비재(예. 고급시계, 핸드백, 남성/여성 정장, 승용차 등)에서는 브랜드 자산이 매출창출에 상당한 역할을 한 경우를 종종 접하게 된다. 그렇다면, 새롭게 시장에 출시된 경쟁제품의 사업화에서 브랜드가 차지하는 비중은 얼마인지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브랜드 이전 라이센싱, 투자의 의사결정, 브랜드전략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브랜드 자산의 경제적 가치를 객관적을 판단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라 하겠다. 그러나 현재 시점에서 브랜드 자산의 가치평가 방법에 대한 표준화된 가이드라인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 브랜드자산의 가치평가를 위한 사업가치 산출방식을 수익접근법 기반으로 개발하고, 실제 브랜드 보유 기업의 과거 2~3년간 매출실적과 제안된 평가모형에 적용한 결과를 비교 분석해본다. 또한, 브랜드자산의 가치평가에서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충성도가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브랜드자산의 가치평가 모형을 실제 시범사례에 적용할 때 발생하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고도화 연구로 수행하기로 한다.

  • PDF

여성 정장과 캐주얼 브랜드에 나타난 의복이미지 연구 (A Study on Clothing Images in Women's Formal and Casual Brands)

  • 은숙;박재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30-64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make comparison of clothing images presented in women's formal and casual bran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9 formal brands out of 155 and 64 casual brands out of 256 in Korea Fashion Brand Annual in 2005/2006. 316 words selected were classified into five clothing images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previous researches and analyzed according to age ranges and price zones of bran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mal brands focused on thirties and forties in age ranges and better and prestige in price zones, while casual brands centered on twenties in age range and better and volume in price zones. 2) Luxury, modem and feminine were more frequent words than others both in formal and casual brands, but elegant was found most frequently in formal brands, while comfortable, chic and simple were found frequently in casual brands. 3) Clothing image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nd appeared in elegance, modernity, individuality, and activeness order in formal brands, while clothing images in casual brand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including youthfulness and appeared in elegance, activeness, modernity, individuality, and youthfulness order. 4) Elegance was a highly presented as clothing image in all the age ranges except thirties of formal brands but modernity and activeness with elegance were presented in price zones of casual brand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clothing images in women's formal and casual brands.

남성 정장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제2보) -20∼40대 남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Men's Suit Purchasing Behaviors (Part II) Focus on Men in Their 20's∼40's-)

  • 김민정;이숙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15-625
    • /
    • 2004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segment the male consumers' market for men's suit based on brand preferences and to identify the group differences in apparel purchasing behaviors and demographic features and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applicable to marketing strategy. 705 men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y were in their twenties through forties, and they lived in Seoul and its suburbs. 655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Using the SAS package, frequency, factors, reliability, correlation, genealogical group analysis, distribution analysis, the ($\chi$$^2$-test and the Duncan test for verification were actualized for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le-suit consumers tend to prefer the national brand(61.07%), licensed brand(19.39%), volume character brand(7.63%), prestige character brand(6.56%), and directly imported brand(5.34%) in order.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arel shopping orientations, purchasing behavior variables and demographic variables among the 5 classified groups.

신사 정장 브랜드의 기성복 및 MTM 생산 실태 조사 - 백화점 입점 브랜드를 대상으로 - (Investigation of Production Condition of Ready-Made and MTM Men's Suits - Focusing on Brands of Department Store -)

  • 최진영;송화경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746-754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ready-made suit and MTM (Made-to-measure) suit production with 10 men's suit brands turning over 200 billion won. Their target age group is late 30's to late 40's. Regarding production for the ready-made suit, eight out of 10 brands are using both KS and their own sizing. Classification of body shapes was done in 8 brands, mostly for upper body in simple ways (lean, normal, and obese). All brands are conducting fittings on only standard size. The number of sizes produced is varying depending on the brands; 9 to 17 for a jacket and 9 to 20 for a pair of pants. Regarding on the MTM production, four out of 10 brands have implemented MTM production. The rate of MTM production to their total production is about 15-20%. There were positive opinions on MTM production since it enables to reduce stocks through a small quantity of production for necessary sizes only. The reasons of orders of MTM production were answered as 'no size available', 'unique body shape', etc., and most orders were placed by consumers who are fat-bellied or have thick thighs. They have used MTM automated CAD software developed by Gerber Technology or Investronica. All the brands have utilized automated marker-making software and cutting facilities for MTM production.

소비자(消費者)의 여성정장(女性正裝) 브랜드 선호(選好)와 기성복(旣成服) 치수(値數)의 맞음새 (Consumer's Apparel Brand Preference and Fit of Ready-to-wear for Women)

  • 오설령;천종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6권1호
    • /
    • pp.128-136
    • /
    • 2002
  • This study was initiated to study suitability of the apparel sizing systems that utilized in women's ready-to-wear market. To achieve this, the researchers surveyed 383 women from the ages of 18 through 59.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followed. 1) The targeted age of the apparel brand does not always correspond with the purchaser's age. The subjects tend to prefer the brands targeting younger women than their age. The women who prefer the brand targeting younger women than their age were less satisfied with the jacket size available in Korean apparel market. They also took into consideration their body size. 2) The subjects who prefer the brands aimed for younger women were dissatisfied with fit at waist and hips. 3) The result of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more sizes are needed for short and tall women. The subjects pointed out that hips of the pants gave worst fit. 4) KS standard size designation system which listed body measurements bust-hips stature was not well known to the consumers.

국내 남성복 브랜드의 네임스펙트럼 (The Name spectrum of domestic menswear brands)

  • 권혜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1호
    • /
    • pp.92-10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types of name spectrum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domestic men's wear brands focusing on formal and casual wear and also examine the differences based on the type of brands' product and brand style. Total 184 of men's wear brands, which were consisted of 66 formal wear brands and 84 casual wear brands, were selected from '2009 Korea Fashion Yearbook'. For data analysis, quantitatively evaluated the frequency and qualitatively evaluated the image of brand product and the meaning of brand name. The result as follows; 1. The domestic fashion brands for men's wear appeared to have four types of name spectrum. The descriptive name was the most frequently showed, and followed by arbitrary, suggestive, and coined name. For formal wear brands, four types of name spectrum were appeared in the order of descriptive, suggestive, coined, and arbitrary name. In casual wear brands, three types of name spectrum were appeared in the order of descriptive, arbitrary, and suggestive name. 2. The characteristics of men's brand name according to their name spectrum was as follows.; In the descriptive brand names, person's name was used the most and some ascribed the characteristics, feature or geographic location of the product. The suggestive brand names contained images and symbols of the product and also implied the relevant benefit information in a particular product context. In the arbitrary brand name, they imply the various meanings according to the product and are made up of either coined or natural. For the coined name, some bear the ideology or symbolized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 itself. 3. The descriptive name spectrum showed the most in domestic menswear brands, regardless of the brand type. Except thi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ype and the frequency of name spectrum depending on the brand type.

이소재 복합 ATY사를 이용한 PET Base 가방지용 직물 개발 (The Development of Bag-fabrics with Using ATY Composite Yarn)

  • 홍상기;박성우;서말용;강윤화;강수진;오익환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1년도 제44차 학술발표회
    • /
    • pp.95-95
    • /
    • 2011
  • 가방지 중에서 고급 브랜드의 핸드백은 근래의 세계적인 경기불황에서도 꾸준한 소비층을 형성하면서 매출 상승을 유도하고 있는데, 기존 40~50대 시니어들을 위한 전통적인 레자 또는 자카드 문양직물의 고유한 디자인 뿐만 아니라 20~30대의 젊은 층을 위한 다양한 칼라의 프린팅 문양 직물도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잠재권축사와 고강력PET를 이용하여 이소재 복합 ATY를 제조하고 제직 및 날염을 통해 다양한 프린팅 문양을 발현할 수 있는 가방지용 직물 개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캐주얼 및 힙합룩은 물론, 베이직 정장 차림까지 트렌디한 우븐 백이 코디 아이템 1호로 떠오르고 있는데, 가방용 브랜드 중"레스포색"과 "키플링" 등이 급상승 기류를 타며 국내에 빠르게 정착하고 있으며 수입 브랜드인 경전상사의 "롱샴"도 폴딩백으로 인기를 누리고 있다. 핫 이슈인 스포티즘을 떠올리지 않더라도 최근의 변화는 소비자의 니즈를 적극 수용하려는 패션잡화 업체들의 움직임을 대변하고 있으며, 직물형태의 백이 합리적인 가격에서나 가볍고 편리한 실용적인 부분 모두 소비자의 니즈를 채워주기에 충분하고, 트렌드가 부각된 가방일수록 시즌에 따라 스피디하게 구매가 이뤄지고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최신 트렌드의 디자인과 재료 효과를 극대화한 제품이 다수 선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트렌드 디자인의 문양 발현을 위한 직물을 위해 PET Base의 잠재권축사와 PET 고강력사를 사용하였는데, 이때 사용되는 잠재권사는 Effect사로써 온도, Air압 등의 공정요소 제어를 통해 Soft한 touch을 위한 잔루프를 발현하도록 하였으며, PET 고강력사는 Core사로 사용함으로써 잠재권축사의 강도를 보강하여 가방지로써 요구되는 강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