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자 수정능력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Effects of Isotypes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Antisperm Antibodies on Semen Parameters and Fertilizing Ability (항정자항체가 정액성상 및 수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 Pang, Myung-Geol;Moon, Shin-Y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25 no.1
    • /
    • pp.1-8
    • /
    • 1998
  •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n semen parameters and fertilizing capacity of immunoglobulin (Ig) isotypes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antisperm antibody (ASA) on the human sperm surface. Sixty-seven ASA-positive patients were compared with 96 ASA-negative donors. ASAs in seme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both semen parameters and fertilizing capacity; in those with ASAs in the sperm head and/or tail, the reductions were significant. In the head as well as the tail, there was close correlation between fertilizing capacity and both IgG and IgA. Both semen parameters and fertilizing capacity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presence of ASA in semen. In particular, antibodies IgG to sperm head and/or tail, and antibodies IgA to sperm tail appeared to have a highly detrimental effect on fertilizing capacity.

  • PDF

돼지 동결정액의 배양에 따른 체외수정능력과 Glycosidase Activity의 변화

  • 황인선;정희태;양부근;김정익;박춘근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3.06a
    • /
    • pp.25-25
    • /
    • 2003
  • 본 연구는 돼지 동결-융해 정자의 배양에 의한 체외수정능력과 glycosidase activity의 관계를 검토하였으며, 또한 돼지난자의 투명대내에서 발견된 당잔기에 대한 정자의 glycosidase 특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alpha$-L-fucosidase, $\alpha$-D-mannosidase, $\beta$-D-galactosidase 및 N-acetyl-$\beta$-D-glucosaminidase ($\beta$-GlcNAc'ase)의 activity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glycosidase activity는 동결정자의 융해 후 배양하지 않았을 때보다 2시간 배양했을 때 더 높게 나타났다. $\beta$-GlcNAc'ase의 activity는 정자 배양 유무에 관계없이 다른 glycosidase 처리시보다 최소한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첨체반응이 유기된 정자의 비율은 glycosidase ($\alpha$-D-mannosidase; P<0.05)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정자를 배양하지 않은 경우보다는 배양된 정자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배양시간에 따른 정자의 생존성에 대해 glycosidase의 종류에 따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투명대내 정자의 접착과 침입에 대한 또 다른 실험에서, 서로 다른 glycosidase가 첨가된 배양액내에서 수정된 정자가 배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정자의 침입율은 낮아졌다($\beta$-GlcNAc'ase; P<0.05). 투명대내의 정자접착 정도는 glycosidase의 첨가시에 무첨가시보다 접착정도가 더 높았으며, 가장 높은 접착율은 $\beta$-GlcNAc'ase첨가시 나타났다. 또한 모든 glycosidase 처리시 2시간 배양한 정자보다는 배양하지 않은 정자에서 투명대에 대한 접착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alpha$-D-mannosidase의 처리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연구의 결과, $\beta$-GlcNAc'ase가 주로 돼지정자의 원형질막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측되며, 배양된 정자에 의한 투명대 접착정도와 침입율이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glycosidase activity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and Reproductive Efficiency in Farm Animals IV. Assessment of Fertilizing Ability of Korean Native Bull by In Vitro Fertilization with Bovine Follicular Oocytes (가축의 개량 및 번식효율 증진에 관한 연구 IV. 우 난포란과의 체외수정에 의한 한우 종모우의 수정능력 평가에 관한 연구)

  • 정영채;김창근;주일영;정길생;이규승;윤종택;방명걸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9 no.1
    • /
    • pp.95-102
    • /
    • 1994
  • 본 연구는 종모우의 선발방법으로 난포란을 이용하여 실험실내 정자의 수정능력을 직접 검정하여 평가코자 시도되었다. 즉 본 실험은 후대검정중에 있는 한우 후보종모우 15두의 동결융해정자의 수정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정액을 고장액(HIS)에 처리한 후 DM에서 6시간 그리고 소 난포액이 20% 첨가된 DM에서 4시간 전배양하여 수정능을 획득시켜 정자의 활력과 첨체 반응율을 조사하였고 전배양된 정자의 체내(토끼 난관) 또는 체외수정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FCS 15%, 발정암소혈정(CSS) 10%가 첨가된 mKRB에서 체외성숙된 한우난포란과 수정시켜 수정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인공수정에 의한 개체별 수태율과도 비교 검토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한우 난포란의 체외성숙율은 BSA 첨가구 에서 43.8%, FCS 15% 첨가구에서 67.4%, CSS10% 첨가구에서 69.9%이었다. 2. 토끼 난관에서 체외수정율은 BSA 참가구에서 43.8%, FCS 15% 참가구 41.2% 및 CSS 10% 참가구 35.0% 이었다. 3. 후보종무우 15두의 정액을 HIS-DM으로 처리후 6시간 전배양하였을 때 정자의 활력지수는 9-32%였고 첨체반응율은 19-44% 이었으며 20% 난포액을 첨가하여 4시간 전배양 하였을 때 정자의 활력지수는 9-13% 이었고 첨체반응율은 20-43%로 개체간에 차이가 있었다. 4. 체외수정율은 6.6-85.7%였으며, 발정암소혈청(CSS) 10%가 첨가된 mKRB에서 성숙시킨 난포란이 FCS 15% 첨가된 mKRB에서 성숙시킨 난포란보다 다소 높았으나, 정자수정능획득방법간에는 차이가 없었 다. 5. 체외수정율에 있어서 전배양후 정자활력지수와는 부의 상관이 었으며, 첨체반응율과는 낮은 정의 상 관을 나타냈다. 6. 종모우의 수태율은 체외수정율, 정자활력지수 및 첨체반응율과 낮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7. 종모우의 개체간 수태율 우열순위에서는 수정율순위와의 사이에 더욱 낮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8. 이상의 연구결과 비록 후대정검중의 제한된 자료로 인하여 종모우 수태율과 체외수정율간에 유의적 인 상관관계는 없었으나, 연결 한우 수정율 평가에 대한 실험실내의 검정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 PDF

돼지의 체외수정시 투명대내 Lectin 결합과 수정촉진 Peptide의 영향

  • 황인선;정희태;양부근;김정익;박춘근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2.06a
    • /
    • pp.13-13
    • /
    • 2002
  • 수정촉진 peptide(Fertilization Promoting Peptide; FPP) 는 체내에서 정자-난자의 결합시 투명 대내에서 glycoprotein 과 progesterone에 의해 정자침입이 활성화 될 때까지 첨체반응을 억제함으로써 정자의 수정상태 유지를 위하여 필요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한편, 정자내에 존재하는 lectin과 같은 단백질 및 효소 등은 투명대내에 존재하는 oligosaccharide 잔기를 합성시킨다. 본 연구는 돼지 정자-난자의 체외수정시 투명대내 FITC-labelled 처리된 lection의 결합과 FP의 영향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중략)

  • PDF

종모돈의 정자기능과 체외수정율 및 수태율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Lee, Eul-Soon;Kim, Chang-Geun;Jung, Young-Chae;Kim, Il;Ryu, Jae-Won;Yeon, Seung-Eun;Hong, Jong-Hun;Yoon, Hee-Jin;Kang, Kwon;Kim, In-Chul;Lee, Jang-Hee;Lee, Jong-Wan;Jung,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03a
    • /
    • pp.10-10
    • /
    • 2001
  • 본 연구는 정자의 기능검사와 체외수정을 실시하여 수정능력과 수태율의 예측을 위한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AI 중인 8두의 종모돈을 가지고 시도되었다. 정자의 기능검사로서 첨체상태는 spermac stain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정자원형질막의 온전성(integrity) 검사로는 hypo-osmotic test(HOS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정자의 첨체효소인 acrosin activity를 측정하였다. 체외수정율은 체외성숙 난포란과 실시하였다. 8마리 종모돈의 첨체형태의 정상비율은 처리전 64.7-81.9%, 처리후 21.8~48.1%로 개체간의 유의성이 있었다. Acrosin activity는 처리전 3.70-4.57 mIU/$10^{6}$ 정자, 처리후 3.23~5.53 mIU/$10^{6}$ 정자였으며 처리전 개체에서만 유의성이 있었다. HOST는 처리전 26.5~54.5%, 처리후 20.2~50.0%로서 처리전후간의 차이는 없었지만 개체간의 유의차는 있었다. 체외수정율의 범위는 61.6~8l% 였고 6일 후 배발달율(배반포율)은 11~22%로 개체간의 유의성이 있었다. Spearman ranking correlation에서 체외수정율은 첨체상태검사와는 0.45, HOST와는 0.43로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수태율은 첨체상태검사와 0.89, acrosin activity와 0.86, HOST와 0.86, 체외수정과 0.51로서 유의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결과에서 종모돈의 기능검사와 체외수정결과로 개체간의 수정능력의 차이를 알 수 있었으나 수정란의 발달율이나 수태율을 예측할 수 있을 만큼의 상관성은 얻지 못했다. 정자검사에 있어서 일반성상 검사외에 정자기능 검사의 추가 실시가 종모돈 정자의 정확한 수정능력을 예측하는데 필요할 것이다.llus kawachii등으로 담금하여 제조한 술 시료 11종류를 대상으로 하여 쓴맛, 미묘한 맛, 떫은 맛, 신맛, 좋은 맛의 정도를 5단계로 나누어 관능검사를 실시한 다음 자료를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좋은 맛에 대한 기호도는 Aspergillus sp. SH-607 시료와 Aspergillus sp. SH-412, Rhizopus sp. SH-606, Aspergillus sp. SH-613, Rhizopus sp. SH-654, Aspergillus sp. SH-696 Aspergillus kawachii 시료가 유의성 있게 좋은 맛을 나타내 기호도가 높았으며 맛과 기호도가 가장 좋았던 것은 Aspergillus sp. SH-607 시료로 나타났다.\varepsilon}}$는 268.20 $m^2$/day, $T_{ηη}$는 28.75 $m^2$/day이고 주 텐서방향은 N7.55$^{\circ}$E이며 BH-5호공에서의 $T_{{\varepsilon}{\varepsilon}}$는 168.40 $m^2$/day, $T_{ηη}$는 66.80 $m^2$/day이고 주 텐서방향은 N76.59$^{\circ}$E로 나타났다. 이처럼 연구지역에서의 각각의 공에 대한 투수량계수텐서는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주 텐서방향도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Targeting a 10% recycling rate for municipal waste in 2001. EPA plans to research and develop new recycling techniques, expand t

  • PDF

Loss of Surface-Associated Albumin during Capacitation and Acrosome Reaction of Mouse Epididymal Sperm in vitro (정자의 수정능력획득 과정 동안 정자표면의 Albumin의 이탈현상)

  • 계명찬;김문규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8 no.4
    • /
    • pp.514-522
    • /
    • 1995
  • In order to examine the interaction of albumin with the sperm during capacitation in mouse, proteins of cauda epididymal sperm were extracted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analyzed with SDS-PAGE. Sperm surface labeling patterms were also examined using fluorochroin~conjugated wheat germ agglutinin (WGA) and bovine serum albumin (BSA). Albumin was detached from the sperm surface during the incubation and seemed to be constituted the major protein components of the conditioned media in which sperm incubated for 90 mm. Detachment of albumin from the sperm was not affected by the Ca2+ in the medium. WGA-FITC labeling confirmed that Triton X-100 permeabilired plasma membrane overlaying the apical segment of sperm head and detached plasma membrane associated proteins having negatively charged glycoconjugates. BSA-FITC labeling of epididymal sperm occurred on the apical segment of periacrosoinal region and postacrosomal region of the head. BSA-FITC labeling was not observed in periacrosoinal region of the sperm treated with Ca2+-ionophore ~3187 (10 MM)~ whereas the postacrosome region of acrosome-reacted sperm was still labeled after the A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bumin bound to the surface of epididymal sperm is detached during the capacitation process, and it might be involved In physiological change of sperm plasma membrane accompanying the capacitation.

  • PDF

Streptozotocin으로 유도된 당뇨병성 Wistar rat 정자의 특성: Calcium Ionophore을 이용한 첨체반응 유도 및 정자수의 변화

  • 전용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1998.07a
    • /
    • pp.45-47
    • /
    • 1998
  • STZ를 주사한 후 혈액내 인슐린 및 포도당 농도는 당뇨병 유발에 의해 반비레적인 관계를 보였다. 대조군의 부정소두와 체내 정자의 농도 그리고 부정소미내 정자의 수는 당뇨병 유발에 의한 혈당량의 변화에 민감하게 감소하였다. 자발적 첨체반응율은 대조군의 부정소미와 수정관내 두부위간 유의한 차이로 증가하였다. 3일군과 14일군의 부정소미내 정자의 자발적 첨체반응율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ARIC test 결과 대조군, 3일군, 그리고 14일군에서 약 12%의 차이를 보였다. 결과저긍로 당뇨병 유발에 의해 부정소미내 정자수의 감소와 자발적 첨체반응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나 ARIC test의 결과에서 부정소미내 정자는 수정능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당뇨병은 정자의 수적인 감소를 유발하며 부정소내 기능의 이상을 초래하여 정자성숙을 방해하여 자발적 첨체반응을 증가시킴으로서 개체의 수정율 감소를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 of Progesterone, Estradiol 17 beta and Cholesterol on Sperm Swim-up Separation through Sucrose Layer (Progesterone, Estradiol 17 beta 및 Cholesterol Sucrose 층으로부터 정자의 Swim-up 분리에 미치는 영향)

  • 김경화;여영근;박영식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13 no.3
    • /
    • pp.291-300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effect of progesterone, estradiol 17 beta and cholesterol in follicular fluid on sperm chemotaxis for fertilization. By inducing swim-up migration through sucrose layer into bMSS containing progesterone, estradiol 17 beta and/or cholesterol, their effects on sperm migration and sperm movement were examined.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Progesterone inhibited sperm migration and movement, but significantly attracted capacitated-sperm at the level of 50 $\mu$g/ml. 2. Estradiol 17 beta inhibited sperm migration and movement, but didn't significantly inhibit migration of capacitated-sperm at the level of 10$\mu$g/ml. 3. Cholesterol significantly stimulated sperm migration and movement at the level of 50$\mu$g/ml, but didn't attact capacitated-sperm. 4. Progesterone and estradiol 17 beta reduced the effect of cholesterol stimulating sperm migration and movement. But estradiol 17 beta and cholesterol didn't reduce the effect of progesterone attracting capacitated-sperm. In conclusion, progesterone of 50$\mu$g/ml in bMSS attracted the capacitated-sperm, cholesterol of 50$\mu$g/ml stimulated sperm migration and movement, but estradiol 17 beta of 10$\mu$g/ml didn't affect sperm swim-up separ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