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모돈의 정자기능과 체외수정율 및 수태율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이을순 (중앙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 김창근 (중앙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 정영채 (중앙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 김일 (중앙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 류재원 (중앙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 연승은 (중앙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 홍종훈 (중앙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 윤희진 (다비 AI 센터) ;
  • 강권 (다비 AI 센터) ;
  • 김인철 (축산기술연구소) ;
  • 이장희 (축산기술연구소) ;
  • 이종완 (공주대학교) ;
  • 정영호 (중부대학교)
  • Published : 2001.03.01

Abstract

본 연구는 정자의 기능검사와 체외수정을 실시하여 수정능력과 수태율의 예측을 위한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AI 중인 8두의 종모돈을 가지고 시도되었다. 정자의 기능검사로서 첨체상태는 spermac stain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정자원형질막의 온전성(integrity) 검사로는 hypo-osmotic test(HOS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정자의 첨체효소인 acrosin activity를 측정하였다. 체외수정율은 체외성숙 난포란과 실시하였다. 8마리 종모돈의 첨체형태의 정상비율은 처리전 64.7-81.9%, 처리후 21.8~48.1%로 개체간의 유의성이 있었다. Acrosin activity는 처리전 3.70-4.57 mIU/$10^{6}$ 정자, 처리후 3.23~5.53 mIU/$10^{6}$ 정자였으며 처리전 개체에서만 유의성이 있었다. HOST는 처리전 26.5~54.5%, 처리후 20.2~50.0%로서 처리전후간의 차이는 없었지만 개체간의 유의차는 있었다. 체외수정율의 범위는 61.6~8l% 였고 6일 후 배발달율(배반포율)은 11~22%로 개체간의 유의성이 있었다. Spearman ranking correlation에서 체외수정율은 첨체상태검사와는 0.45, HOST와는 0.43로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수태율은 첨체상태검사와 0.89, acrosin activity와 0.86, HOST와 0.86, 체외수정과 0.51로서 유의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결과에서 종모돈의 기능검사와 체외수정결과로 개체간의 수정능력의 차이를 알 수 있었으나 수정란의 발달율이나 수태율을 예측할 수 있을 만큼의 상관성은 얻지 못했다. 정자검사에 있어서 일반성상 검사외에 정자기능 검사의 추가 실시가 종모돈 정자의 정확한 수정능력을 예측하는데 필요할 것이다.llus kawachii등으로 담금하여 제조한 술 시료 11종류를 대상으로 하여 쓴맛, 미묘한 맛, 떫은 맛, 신맛, 좋은 맛의 정도를 5단계로 나누어 관능검사를 실시한 다음 자료를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좋은 맛에 대한 기호도는 Aspergillus sp. SH-607 시료와 Aspergillus sp. SH-412, Rhizopus sp. SH-606, Aspergillus sp. SH-613, Rhizopus sp. SH-654, Aspergillus sp. SH-696 Aspergillus kawachii 시료가 유의성 있게 좋은 맛을 나타내 기호도가 높았으며 맛과 기호도가 가장 좋았던 것은 Aspergillus sp. SH-607 시료로 나타났다.\varepsilon}}$는 268.20 $m^2$/day, $T_{ηη}$는 28.75 $m^2$/day이고 주 텐서방향은 N7.55$^{\circ}$E이며 BH-5호공에서의 $T_{{\varepsilon}{\varepsilon}}$는 168.40 $m^2$/day, $T_{ηη}$는 66.80 $m^2$/day이고 주 텐서방향은 N76.59$^{\circ}$E로 나타났다. 이처럼 연구지역에서의 각각의 공에 대한 투수량계수텐서는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주 텐서방향도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Targeting a 10% recycling rate for municipal waste in 2001. EPA plans to research and develop new recycling techniques, expand t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