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자 생존성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8초

BSA 또는 Fatty Acid Free BSA 첨가가 닭 희석 정자와 동결 정자의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BSA or Fatty Acid Free BAS on the Motility of Fresh or Cryopreserved Rooster Spermatozoa)

  • 김성우;김민수;유연희;김찬란;전익수;김종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59-6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닭 정액의 운동성 분석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희석배율에 따른 생존성을 조사하고, 신선정액의 희석 시에 필요한 조건을 확보하기 위하여 희석제에 단백질원으로서 BSA와 FAF-BSA의 첨가가 닭정자의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최종 희석율이 1/4이 되도록 닭 정액을 희석하여 생존성을 조사하면 신선정액에서 희석율이 1/8, 1/16 및 1/32로 낮아질수록 89.9%, 69.9% 및 53.2%로 생존율이 낮아지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단백질원으로 BSA나 FAF-BSA를 이용하면 생존율을 유의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동결정액의 희석에도 중요한 요인으로 관찰되었는데, FAF-BSA를 이용하여 희석할 때 단백질이 없는 경우보다 양호한 생존율이 나타난다는 것을 관찰하였다(17.6% 대 34.0%). 그러나 단백질원을 활용하더라도 닭정액의 희석율이 낮아질수록 생존율이 저하하는 현상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신선정액에 비하여 동결정액은 장수성이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정자의 분석방법은 닭 정액동결을 실시하여 운동성을 분석할 때 필요한 기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닭 희석배율을 낮추어 동결정액의 효율성을 높이는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돼지 동결정액의 배양에 따른 체외수정능력과 Glycosidase Activity의 변화

  • 황인선;정희태;양부근;김정익;박춘근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25-25
    • /
    • 2003
  • 본 연구는 돼지 동결-융해 정자의 배양에 의한 체외수정능력과 glycosidase activity의 관계를 검토하였으며, 또한 돼지난자의 투명대내에서 발견된 당잔기에 대한 정자의 glycosidase 특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alpha$-L-fucosidase, $\alpha$-D-mannosidase, $\beta$-D-galactosidase 및 N-acetyl-$\beta$-D-glucosaminidase ($\beta$-GlcNAc'ase)의 activity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glycosidase activity는 동결정자의 융해 후 배양하지 않았을 때보다 2시간 배양했을 때 더 높게 나타났다. $\beta$-GlcNAc'ase의 activity는 정자 배양 유무에 관계없이 다른 glycosidase 처리시보다 최소한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첨체반응이 유기된 정자의 비율은 glycosidase ($\alpha$-D-mannosidase; P<0.05)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정자를 배양하지 않은 경우보다는 배양된 정자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배양시간에 따른 정자의 생존성에 대해 glycosidase의 종류에 따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투명대내 정자의 접착과 침입에 대한 또 다른 실험에서, 서로 다른 glycosidase가 첨가된 배양액내에서 수정된 정자가 배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정자의 침입율은 낮아졌다($\beta$-GlcNAc'ase; P<0.05). 투명대내의 정자접착 정도는 glycosidase의 첨가시에 무첨가시보다 접착정도가 더 높았으며, 가장 높은 접착율은 $\beta$-GlcNAc'ase첨가시 나타났다. 또한 모든 glycosidase 처리시 2시간 배양한 정자보다는 배양하지 않은 정자에서 투명대에 대한 접착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alpha$-D-mannosidase의 처리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연구의 결과, $\beta$-GlcNAc'ase가 주로 돼지정자의 원형질막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측되며, 배양된 정자에 의한 투명대 접착정도와 침입율이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glycosidase activity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Bisphenol S가 돼지정자와 난소내 과립막세포의 생존성과 활성산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sphenol S on Viability and Reactive Oxygen Species of the Sperm and Ovarian Granulosa Cells in Pigs)

  • 이유섭;이승형;양부근
    • 동물자원연구
    • /
    • 제29권4호
    • /
    • pp.166-171
    • /
    • 2018
  • 본 연구는 돼지의 정자와 난소내 과립막세포에서 bisphenol S(BPS)가 생존성과 활성산소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돼지정액은 0, $5{\mu}M$ BPS를 처리하여 3, 6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정자의 생존성은 SYBR14/PI를 이중 염색하여 분석하였으며, 활성산소의 생산을 측정하였다. 또한, BPS(0, 5, 10, $20{\mu}M$)를 과립막세포에 처리하여 24, 48, 72시간동안 처리하였다. 처리 후, 세포의 생존율과 활성산소 생산(단, $5{\mu}M$ BPS)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돼지에서 정자의 생존율은 BPS에 의해 감소하였고, 활성산소의 생산은 모든 처리시간에서 증가하였다(p<0.05). 또한 과립막세포의 생존은 BPS에 의해 억제되었고, 활성산소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BPS의 노출은 정자의 활성과 번식과 관련된 세포에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융해 속도가 동결.융해된 개 정자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awing Rate on the Function of Cryopreserved Canine Sperm)

  • 김수희;유도현;강태운;김용준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71-575
    • /
    • 2011
  • 정액 동결 방법들은 지속적으로 향상되어 왔지만 융해 속도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정립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결 후 융해 속도가 정액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글견으로부터 채취된 정액은 동결 보존 후 다른 융해 속도 ($37^{\circ}C$/1분 or $70^{\circ}C$/15초)에서 융해 되었다. 융해 후, 운동성, 생존성, 정상 형태율, 형질막 온전성, phosphatidylserine (PS) translocation, 세포내 $H_2O_2$ 수준을 평가하였다. $70^{\circ}C$에서 융해된 정자는 $37^{\circ}C$에서 융해된 정자에 비해 향상된 정자 운동성, 생존성, 정상 형태율, 세포막 온전성, non-PS translocation을 보였으나(P < 0.05), $70^{\circ}C$$37^{\circ}C$에서 융해된 실험군간 세포내 $H_2O_2$ 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 > 0.05). 결론으로, $70^{\circ}C$에서의 융해는 개 정자 동결 후 정자 기능을 증진시켰으며, 적절한 융해 온도는 동결 정자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돼지 정액의 동결시 Taurine과 $\alpha$-Tocopherol 첨가가 동결$\cdot$융해 정자의 성상과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aurine and $\alpha$-Tocopherol Treatment during freezing on Sperm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in Frozen-Thawed Porcine Semen)

  • 신현아;김창근;정영채;방명걸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9권3호
    • /
    • pp.155-162
    • /
    • 2005
  • 본 연구는 돼지 정자 동결시 taurine과 $\alpha$-tocopherol의 첨가가 융해후 정자 성상과 정자 기능 활성산소계(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발생 정도 및 지질 산화(lipid peroxidation, LPO)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1차 및 2차 희석액내 taurine과 $\alpha$-tocopherol이 첨가된 돼지 동결정액의 융해 후 정자 운동성 양상, 정자 생존성, 정자 기법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Taurine(25mM, 50mM), $\alpha$-tocopherol($500{\mu}M,\;1,000{\mu}M$ 단일처리군 그리고 taurine과 $\alpha$-tocopherol의 혼합처리군($25mM\~500{\mu}M\~1,000{\mu}M$)은 동결$\cdot$융해 후 대조군과 비해 정자 운동성과 생존성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aurine과 $\alpha$-tocopherol의 혼합처리군 $50mM\~1,000{\mu}M$에서 HOST, 점체 반응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다소 증가하였다. 동결$\cdot$융해 정자의 ROS 발생 억제를 위한 taurine과 $\alpha$-tocopherol의 모든 처리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cdot\{O_2}{^-}$ 발생을 유의적으로 완화시키지 못하였다. 그러나 taurine 단일처리군(25mM), $\alpha$-tocopherol 단일처리군($50mM,\;1,000{\mu}M$)과 혼합처리군($25mM\~500mM,\;50mM\~1,000{\mu}M$$H_{2}O_{2}$의 발생을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완화시켰다(P<0.05). 동결$\cdot$융해 정자의 malondialdehyde의 생산은 taurine과 $\alpha$-tocopherol의 모든 처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돼지 정액의 동결보존시 taurine와 $\alpha$-tocopherol 같은 항산화제의 처리는 ROS 발생과 LPO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킴에 따라 돼지 정액의 동결보존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제주흑우 동결정액 제조에 있어 난황 Tris 희석제에 항산화제로서 Taurine, Hypotaurine 그리고 Trehalose의 첨가가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ng Taurine, Hypotaurine and Trehalose as Antioxidants to a Tris-based Egg Yolk Extender on Korean Jeju Black Bull Sperm Quality Following Cryopreservation)

  • 오신애;고민희;강태영;최선호;고문석;정영호;조원모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4호
    • /
    • pp.283-290
    • /
    • 2012
  • 제주흑우의 동결 정액 제조시 동결 보존액에 첨가한 taurine과 hypotaurine은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운동성, 생존성 그리고 정자막 온전성을 개선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aurine과 hypotaurine의 첨가는 유의적으로 높은 운동성, 생존성을 보였으며(p<0.05), 특히 hypotaurine은 다른 실험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정자막 온전성을 나타냈다(p<0.05). 뿐만 아니라, hypotaurine은 유의적으로 높은 F pattern 비율을 유지하였으며(p<0.05), 이들 항산화물질을 첨가한 실험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AR pattern을 나타내어(p<0.05) 동결로 기인된 수정능획득 유사 상태 정자의 비율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조기 첨체반응 비율을 감소시켰다. 정자의 난자내 침투능력에 있어서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웅성전핵 형성율과 SFI를 나타냈으며, hypotaurine의 처리는 가장 높은 침투능력을 나타냈으나 처리구간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멸실위험의 토종가축 생식세포 및 유전자원 보존과 토종가축 육성을 위한 번식 증대를 위한 제주흑우 동결정액 제조에 중요한 이용 방법이 될 것이며, 동결 융해 후 정자의 기능 개선을 위한 다양한 희석제 및 첨가제를 활용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개 정자의 동결융해 후 생존성 및 첨체의 변화 (Viability and Acrosomal Status Changes Following Post-thawing Canine Spermatozoa)

  • 이영락;이성림;강태영;최상용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1-59
    • /
    • 2003
  • 본 실험은 개의 인공수정에 사용할 정자의 보존에 있어서, 개 정액 동결시 동결속도와 응해온도에 따른 정자의 생존율, 운동성 그리고 intact acrosome의 비율을 조사하였던 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실험에서 실험견의 사출된 평균 신선정액의 농도는 3.44$\times$$10^{8}$ /ml로 정상범위에 들었으며, 정자의 형태학적 판정에서 정상적인 정자의 농도는 평균 59.45$\pm$3.45%로 상대적인 기형율은 약 30~40% 정도 나타났으며, 이는 정상적인 상태의 개 정액이라 할 수 있다. 2 개 정액의 동결속도는 동결하는 높이가 6, 10 및 17 cm 일 때 각각 최저온도는 -11$0^{\circ}C$, 7$0^{\circ}C$, -35$^{\circ}C$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때 최저온도로 감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각각 6분, 8분 20초 그리고 12분 50초로 결과적으로 분당 동결속도는 각각 19$^{\circ}C$/min, 8.9$^{\circ}C$/min 그리고 3$^{\circ}C$/min로 나타났다. 3. 정액을 동결속도와 융해온도에 따른 정자의 생존율, 운동성 그리고 intact acrosome의 비율은 동결속도가 3$^{\circ}C$/min일 때 가장 높았으며, 융해 온도는 37$^{\circ}C$일 때 효율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4. 동결의 방법에 있어서는 액체질소의 표면으로부터 17 cm 높이에서 동결하는 분당 -3$^{\circ}C$의 동결속도에서 동결하여 37$^{\circ}C$에서 2분간 융해하는 방법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생존성과 운동성은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첨체의 intact한 비율은 저조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소형 개 RSP-S와 RSP-T 정액의 동결 융해후의 생존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iability of Frozen Removed Seminal Plasma by Saline(RSP-S) and Tris-buffer(RSP-T) Semen of Small Spcies Dogs)

  • 김상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9-275
    • /
    • 2001
  • 본 연구는 소형 개의 동결정액을 개발하여 인공수정에 이용하고자 제 2차 분획정액을 생리적 식염수와 Iris-buffer액으로 희석하고 원심분리에 의해 정장성분을 제거한 RSP-5 및 RSP-T 정액의 일반성상과 단기보존 및 동결보존시의 생존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1, 제 1분획의 정액량은 0.65$\pm$0.09 $m\ell$, 정자농도는 4.52$\pm$0.35$\times$$10^{6}$cells/$m\ell$, 활력은 15,64$\pm$3.85%, 기형정자수는 84.36$\pm$0.62%였으며, 제 2분획의 정액량은 1.25$\pm$0.20 $m\ell$, 정자농도는 3.35$\pm$0.48$\times$$10^{6}$cells/$m\ell$, 활력은 96.25$\pm$4.65%, 기형정자수는 3.75$\pm$0.46%였으며, 제 3분획의 정액량은 1.45$\pm$0.21 $m\ell$, 정자농도는 3.85$\pm$0.52$\times$$10^{6}$cells/$m\ell$, 활력은 92.82$\pm$4.24%, 기형정자수는 4.66$\pm$0.58%였다. 2. 제 2분획 정액의 RSP-5군의 정자농도는 4.82$\pm$0.36$\times$$10^{6}$cells/$m\ell$, 활력은 90.10$\pm$3.42%, 기형정자수는 9.90$\pm$0.68%였으며, RSP-T군의 정자농도는 4.55$\pm$0.45$\times$$10^{6}$cells/$m\ell$, 활력은 93.25$\pm$3.85%, 기형정자수는 6.75$\pm$0.58%였다. 이는 대조군의 정자농도 5.45$\pm$0.82$\times$$10^{6}$cells/$m\ell$, 활력 95.55$\pm$4.65%, 기형정자수 4.45$\pm$0.45%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3. 제 2분획 정액을 RSP-5와 RSP-T로 처리한 정액을 4$^{\circ}C$에서 보존했을 때 각각 1~72시간(97.54~6.25%)과 1~100시간(97.40~5.62%)에서 생존성이 유지되었고, 38$^{\circ}C$에서 보존했을 때 1~40시간(96.45~7.45%)과 1~50시간(95.60~B.65%)에서 생존성이 유지되었다. 이는 무처리 대조군의 1~50시간(97.24~4.82%)과 1~30시간(95.52~5.55%)에 비해 생존성이 높게 나타났다. 4. 제 2분획 정액을 처리한 RSP-5군의 정액을 완만 및 초급속 동결후 융해했을 때 생존율은 각각 67.3$\pm$4.45%와 46.4$\pm$3.84%였으며, RSP-T군 정액은 58.8$\pm$4.46%와 74.4$\pm$4.20%로서 대조군의 8.5$\pm$2.12%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 PDF

개 정소상체 정자의 난자내 침입율과 동결융해 후의 생존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Number of Sperm Penetrated Oocytes and Survival Rate of Frozen-thawed Epididymal Dog Sperm)

  • 박종민;김상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9-234
    • /
    • 2002
  • 본 연구는 불임견의 번식장애를 해결할 목적으로 개 정소상체로부터 채취한 정액을 tris-buffer로 원심분리하여 정장을 제거한 RSP-T 희석 정자의 일반성상과 동결방법 및 glycerol 농도가 동결융해 후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과 난자와 정소상체 정자를 매정시켰을 때 정자침입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 WES, RSP-S 및 RSP-T 희석 정소상체 정액의 정자수는 각각 4.25 $\pm$ 0.25(X$10^{6}$ Cells/$m\ell$), 3.85 $\pm$ 0.20(x$10^{6}$cells/$m\ell$), 4.05 $\pm$ 0.28(X$10^{6}$cells/$m\ell$)이었고, 활력은 50.55 $\pm$ 2.75%, 67.25 $\pm$2.55%, 78.75$\pm$3.55%이었고, 기형정자율은 49.45$\pm$2.25%, 37.75 $\pm$ 2.10%, 24.25 $\pm$ 1.55%이었다. 2. RSP-S와 RSP-T 희석 정소상체 정액을 완만 동결을 했을 때 생존율은 각각 35.00 $\pm$2.35%, 45.50 $\pm$2.15%와 초급속동결시의 생존율은 16.50 $\pm$ 3.55%, 22.55 $\pm$ 3.95%이었다. RSP-T 희석 정소상체 정액을 동결시 내동제에 glycerol 농도를 2.0~8.0% 첨가하여 동결했을 때 생존율은 각각 9.25 $\pm$ 1.55%~17.50$\pm$2.50%로서 신선정액의 25.50% 4.50%~34.00$\pm$5.15%에 비해 낮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3. 동결 융해한 정소상체 희석정자의 평균 수정 능 획득 율과 첨체반응 및 생존정자수는 각각 13.00 $\pm$ 2.35%, 3.55 $\pm$ 0.85%, 15.50 $\pm$ 1.90% 였고, 신선 정소상체 정액의 45.25$\pm$5.75%, 7.06 $\pm$0.25%, 49.20$\pm$6.80%이었다. 신선 및 동결 수정 능 획득 정자를 난자와 매정시켰을 때 난자내 정자의 침입율은 각각 39.25 $\pm$4.72 %와 34.24$\pm$3.93%였고, 난자당 정자의 침입 수는 각각 1.30$\pm$0.33개, 1.10$\pm$0.50개이었다.

제주흑우 동결정액 제조시 Ethylene Glycol의 농도와 예비 동결 조건이 정자의 생존율 및 첨체양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ylene Glycol Concentration and Freezing Speed on Post-thawed Semen Viability and Acrosome Integrity in Korean Jeju Black Bull)

  • 최선호;고민희;강태영;조상래;박용상;오신애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5권3호
    • /
    • pp.377-38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제주흑우의 유전자원 보존과 증식을 위한 안정적인 동결정액 제조법을 수립하기 위하여 제주흑우의 정액 동결 제조에 있어 동결 융해 후 ethylene glycol이 정자의 운동성, 생존율 그리고 첨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제주흑우의 동결정액제조시 5%의 ethylene glycol의 첨가가 $72.5{\pm}5.00%$의 활력과 $54.88{\pm}0.66%$의 생존율 그리고 $46.00{\pm}2.40%$의 정자막 온전성을 나타내 3%와 5%의 ethylene glycol을 첨가한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p<0.05). 또한, 7% glycerol을 사용한 실험구와 비교하였을 때 5% ethylene glycol을 첨가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높은 생존율과 정자막 온전성을 나타냈다(p<0.05). 또한, 예비 동결 조건이 정자의 성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3 cm, 5분 예비동결 실험구에서 생존율과 정자막 온전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Ethylene glycol이 정자의 첨체 양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5%와 7%의 ethylene glycol을 사용하였을 때 효과적으로 첨체가 보호되어 F pattern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조기 첨체 반응도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p<0.05). 그러나 7%의 glycerol과 비교하였을 때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5%와 7% ethylene glycol 사이의 유의적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예비 동결 조건이 정자의 첨체 양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역시 정자의 생존율과 정자막 온전성과 같이 3 cm, 5분 예비동결 시 유의적인 F pattern의 감소와 조기 첨체 반응에 의한 AR paattern의 증가를 볼 수 있었다(p<0.05).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ethylene glycol과 예비동결 조건의 조합으로 나타난 결과를 활용하여, 희소가축의 생식세포 보존 및 유전자원 확립을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며, 생존율과 운동성 증대를 위한 다양한 희석제를 활용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