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자 생존성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9초

장기간 냉각 보존을 위한 개 정자 희석액으로서 Glucose-BSA의 유효성 평가 (Evaluation of Glucose-BSA as Extender of Chilled Canine Spermatozoa for Long-term Storage)

  • 유일정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23-330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3주 동안 장기간 냉각상태로 보관된 개 정자의 기능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두 종류의 정자 희석액, Glucose-BSA(G-BSA), Dimitropoulos-II(BIMI)가 정자의 기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개 정액을 수지법에 의해 채취하여 원심분리한 후 정장은 제거하였다. 정자를 G-BSA나 DIMI으로 희석하여 최종 농도를 $100\times10^6$ sperm/ml로 하였다. 희석된 정자를 정자 운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루지애나 주립 대학에서 뉴올리언즈 실험실까지 운송하였다. 정자 운송 시스템은 $20^{\circ}C$에서 $9^{\circ}C$까지 분당 $0.08^{\circ}C$ 냉각율로 설정하였다. 희석된 정자는 $4^{\circ}C$에서 3주간 보관하였다. 보관 1일부터, 매주 단위로 정자의 활력, 정자 원형질막 고유성(생존성), 정자 첨체의 고유성을 검사하였다. 또한 체외조건하에서의 정자 번식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zona binding assay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냉각 상태로 3주 동안 보관된 개 정자는 여전히 정자의 기능적 특성을 나타냈다. 냉각기간이 길어질수록 정자의 활력 및 생존성은 감소하였으며(P<0.01), 첨체의 고유성은 냉각기간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정자의 특성 중 활력이 다른 특성에 비해 냉각처리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G-BSA배지에 보관된 정자의 활력 및 생존성이 DIMI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1 주 동안 보관된 정자의 생존성의 비교시 유의성이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첨체의 고유성은 1일 동안 DIMI에 보관된 정자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3주 동안 냉각상태로 보관된 개 정자는 여전히 난자의 투명대에 결합하는 능력을 보였으며, G-BSA에 보관된 정자의 경우 난자에 부착되는 평균 정자 수가 보관일수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그러나 희석액 종류에 따른 난자에 부착되는 평균 정자 수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정자의 활력 및 생존성과 난자의 투명대에 결합하는 정자 수와의 상관관계를 본 결과, 활력 및 생존성이 높은 정자일수록 난자의 투명대에 많이 결합하여 정자의 잠재적 번식력이 증가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G-BSA나 DIMI의 희석액으로 희석된 후 $4^{\circ}C$에서 냉각 보관된 정자는 3주 동안 정자의 기능적 특성을 유지하였으며 냉각 보관 2주까지 좋은 성적의 정자 특성을 나타냈다. 개 정자 냉각 보존에 대안적인 희석액으로 G-BSA도 사용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정자 운동성 및 수명 보존을 위한 최적 배양에 관한 연구 (Optimized Methods to Maintain Motility and Viability in Normozoospermic Males)

  • 유영아;;오신애;방명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6권1호
    • /
    • pp.45-53
    • /
    • 2009
  • 목 적: 본 연구는 정상 정액을 배양액으로 세척한 후 $4^{\circ}C$, $22^{\circ}C$, $37^{\circ}C$에서 5일 동안 보존하면서 정자의 운동성, 생존성을 관찰하여 정자의 운동성과 수명 유지를 위한 적정 배양 환경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정액검사 시 정상으로 판정된 남성의 정자를 HTALP 배양액으로 세척하여 정자의 최종 농도 $1{\times}10^6/ml$로 각 5 ml을 배양온도 $4^{\circ}C$, $22^{\circ}C$, $37^{\circ}C$에서 5일 동안 배양하였다. 1일, 3일 5일째에 CASA에 의해 운동성을 측정하였고, HOST로 정자막의 온전성을 분석하였으며, CTC pattern으로 수정능획득 상태 분석하여 최적의 배양 환경을 분석하였다. 결 과: 정자의 운동성, 생존성 및 수정능획득이 야기되지 않은 정자는 배양일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또한 정자 배양 후 1일에는 정자의 운동성, 생존성 및 정자막의 온전성과 CTC pattern은 온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배양 후 3일과 5일에서는 $22^{\circ}C$에서 배양된 정자가 다른 배양온도에 비해 가장 잘 보존되었다 (p<0.05). 결 론: HTALP로 세척된 정자를 $22^{\circ}C$에서 보존 시 5일까지 정자의 운동성과 수명을 보조생식술에 적합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최적 배양 환경으로 제시할 수 있다.

돼지 정액의 동결과정중 정자 생존성에 대한 Flow Cytometric 및 형태학적 평가의 비교 (Comparison of Flow Cytometric and Morphological Assessment on Viability of Spermatozoa during Freezing Process of Boar Semen)

  • 이장희;김인철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9-77
    • /
    • 1999
  • 본 연구는 돼지 정액의 동결과정동안 flow cytometric 분석에 의한 정액내 생존정자의 비율을 조사하여 주관적으로 평가되는 활력 및 정상첨체율(normal apical ridge ; NAR)과 비교하여 정자의 손상과 생존성에 대한 적절한 평가법을 찾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동결과정 중 정액채취, 냉각, 예비동결 및 동결융해 후에 flow cytometric 분석에 의한 정자 생존율은 각각 93.0$\pm$3.6, 85.1$\pm$3.9, 28.9$\pm$6.8 및 26.1$\pm$5.9%이었다. 동결처리동안에 생존율은 예비동결 및 동결융해 후 가장 많은 정자사멸로 동결상태 이전의 생존율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5). 평가기법으로 정액 채취시 활력, NAR율 및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각각 91.0$\pm$4.2, 96.8$\pm$2.5 및 92.2$\pm$3.2%로 NAR율이 생존성 및 활력보다 높게 평가되었으며, 생존율이 활력보다 다소 높게 평가되었다. 그러나 동결융해 후에는 각각 44.0$\pm$8.9, 49.0$\pm$7.9 및 35.6$\pm$9.7%로 활력이 생존율보다 다소 높게 평가되었다. 전체적으로 NAR율은 활력은 생존율보다 높게 평가되었으며, SYBR-14 / PI(propidium iodide) 이중형광염색법에 의한 flow cytometric 평가법으로 생존율은 동결되지 않은 정액에서의 활력 및 NAR 평가보다 다소 민감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보아 SYBR-14 / PI 형광염색에 의한 flow cytometry의 생존성 평가는 동결되지 않은 정액의 평가방법으로는 적절하지만 동결된 정액의 생존성 평가는 부적절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Catalase 첨가에 따른 돼지 정액 동결 및 융해 후 생존 정자에서 Hydrogen Peroxide의 감소 (The Reduction of Hydrogen Peroxide in Viable Boar Sperm Cryopreserved in the Presence of Catalase)

  • 김수희;이영준;강태운;김용준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19
    • /
    • 2011
  • 요 약: 정액 동결 과정은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유발하며, 생성된 활성산소종은 정자의 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결 과정 중 항산화 효소 중 하나인 catalase (CAT)를 첨가함으로써 융해 후 정자의 기능과 활성산소종의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5마리 돼지에서 채취한 정액은 0 (대조군), 200, 400 U/mL CAT가 첨가되어 있는 동결 희석액으로 각각 동결하였다. 융해 후, 정자 운동성, 생존성, 정상 형태율, 형질막 온전성, 미토콘드리아 기능, 세포내 ROS를 평가하였다. CAT는 400 U/mL의 농도에서 전체 정자 운동성을 향상시켰지만 (P < 0.05), 전진 운동성, 생존성, 기형율, 형질막 온전성, 미토콘드리아 기능의 향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활성산소종의 평가에서, CAT는 융해된 생존 정자의 ${\cdot}O_2$의 감소에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H_2O_2$를 감소시켰다(P < 0.05). 결론으로 CAT는 동결 및 융해된 정자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큰 효과를 나타내진 않았지만 생존 정자에서 $H_2O_2$을 제거함로써 생존정자의 산화적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개 정액의 정장이 개정자의 냉각과 동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minal Plasma on Chilling and Freezing of Canine Spermatozoa)

  • 유명조;이존화;김인식;박진호;권중기;김종훈;김범석;유일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86-492
    • /
    • 2007
  • 개 정액의 정장은 정자를 동결 보존하기전 정액에서 제거되어진다. 그러나 근래 개정장이 정자를 냉각하고 동결하는데 유효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정자를 냉각과 동결하기 전 정장을 정자 희석액에 첨가하여 정장이 정자의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건강한 4마리의 수캐로부터 정액을 채취 혼합한 후 3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다시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회수하여 정장으로 사용하였다. 정자의 희석액으로는 Egg yolk-Tris(EYT)를 사용하였다.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 정장이 0, 20, 40, 80, 100%비율로 포함된 EYT배지에 정자를 희석하여 두 시간 동안 $4^{\circ}C$$25^{\circ}C$에서 보관하였다. 정자수는 $2{\times}10^8/ml$로 조정하였다. 실험 2: 전체적으로 9개 실험군으로 구분하여 4개 실험군은 정장이 20, 40, 80, 100%포함된 EYT배지에 각각 정자를 희석하여 $4^{\circ}C$까지 냉각한 후 EYT+1.2 M glycerol배지로 2차 희석하여 동결하였다. 나머지 4개의 실험군은 EYT배지에 정자를 희석하여 $4^{\circ}C$까지 냉각한 후 각각 정장이 20, 40, 80, 100%포함된 EYT+1.2 M glycerol배지로 2차 희석하여 동결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정장을 포함하지 않은 EYT배지에 정자를 희석하여 $4^{\circ}C$까지 냉각한 후 EYT+1.2 M glycerol배지로 2차 희석하여 동결하였다. glycerol의 최종농도는 0.6M, 정장의 최종농도는 10, 20, 40, 50%이었으며, 정자수는 $1{\times}10^8/ml$로 조정하였다. 정자를 straw에 충진하고 분당 $25^{\circ}C$의 냉각율과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동결하였다. 융해는 $38^{\circ}C$에서 1분간 실시하였다. 정자 운동성, 정자 형질막 보존성(생존력), 정자 첨단체의 보존성을 검사하여 정자의 생존성을 검증하였다. 정자의 운동성은 400배율에서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생존력과 첨단체 보존성은 각각 이중형광염색과 Pisum sativum agglutinin을 이용하여 검사하였다. 실험 1의 결과는 보존온도와는 관련없이 희석액에 정장을 첨가하는 것은 정장이 포함되지 않은 희석액과 비교하여 정자의 운동성을 향상시키지 못했다. 실험 2 결과, 동결 전 냉각상태에서 정장을 포함한 EYT+0.6 M glycerol배지에 희석되었던 정자가 정장을 포함하지 않은 EYT+0.6 M glycerol배지보다 높은 진행운동성을 보였다(P<0.05). 그러나, 동결 융해 후 정장을 포함한 EYT+0.6 M glycerol배지에 희석되었던 정자의 생존력은 정장을 포함하지 않은 EYT+0.6 M glycerol배지보다 낮거나 비슷하게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비록 정장이 동결보호제가 포함되지 않은 EYT에 혼합되었을 경우는 냉각되어진 정자의 생존성을 향상시키지는 못했으나 동결보호제가 포함된 EYT에 정장을 혼합한 경우 정장은 정자의 냉각 후 정자의 운동성을 향상시켰다.

Glass Wool Filtration 후 돼지정액의 평가 (Evaluation of Extended Boar Semen after Glass Wool Filtration)

  • 강태영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5-48
    • /
    • 2015
  • 돼지의 희석정액을 glass wool filtration 한 후 양질의 정자를 선별하고자 실시하였다. 돼지의 정액을 채취한 후 glass wool 높이와 시간에 따른 정자의 농도, 기형율, 생존율, 그리고 운동성을 조사하였다. Glass wool 여과 후 정자의 농도는 줄었으나, 정상 정자비율과 생존율은 상승하였고, 운동성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해 돼지 정자의 glass wool 여과는 상대적으로 낮은 기형율과 높은 생존율을 가진 정자를 얻을 수 있는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Tris-buffer에 첨가되는 당의 종류에 따른 동결융해정자의 생존율 및 운동성에 관한 연구

  • 유대중;정수룡;오인석;이정우;손병훈;서재석;서진성;조성균;배인휴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3-3
    • /
    • 2002
  • 본 연구는 개의 동결정액제조 시 동결보호 희석액 내에 첨가되는 당의 종류와 조합이 동결융해 후 정자의 생존율 및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과 정자동결 시 straw size, 예비동결 시 액체질소표면으로부터 straw까지의 거리 및 융해온도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포유류의 경우 부생식선의 정낭선에서 분비되는 정장내에는 정자의 체외사출 후 정자의 영양물질인 fructose 가 분비되는데, 동결정액제조 시 회석액내에 첨가되는 당 성분은 fructose 및 glucose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중략)

  • PDF

요크샤 종모돈의 정액성상, 동결-융해 후 정자의 생존성 및 테스토스테론의 농도에 미치는 봄과 여름의 영향 (Effect of Spring and Summer on Semen Characteristics, Frozen-Thawed Sperm Viability and Testosterone Concentration in Yorkshire Boars)

  • 김홍기;임재삼;명평근;양창범;이영주;고현진;박창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01-206
    • /
    • 2001
  • 본 연구는 요크샤 종모돈의 정액성상, 동결-융해후의 정자생존성 및 혈청 중 테스토스테론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봄 (3~5월)과 여름 (6~8월)으로 나누어 실시한 바, 그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요크샤 종모돈의 정액량, pH, 희박정자 부분의 정자농도는 봄과 여름철에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봄철 농후정자 부분의 정자농도는 여름철 농후정자 부분의 정자농도보다 높았다 (P<0.05). 2. 원정액 정자에서는 운동성 및 정상첨체에서 봄과 여름철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동결-융해정자의 운동성 및 정상첨체는 봄철의 종모돈에서 생산한 정자가 여름철의 종모돈에서 생산한 정자보다 우수하였다. 3. 요크샤 종모돈의 혈청 중 테스토스테론의 농도 변화는 봄과 여름에 각각 4.04 ng/$m\ell$과 2.85ng/$m\ell$l으로, 봄철 테스초스테론의 농도가 여름철의 농도보다 높았다(P<0.05). 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요크샤 종모돈에 있어 정자의 내동성은 혈청 중 테스토스테론의 농도가 높을수록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개의 동결 정액 제조시 Straw의 크기와 융해온도가 정자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raw Size and Thawing Rate on Post-thaw Quality of Bog Semen)

  • 손정민;김영실;신영지;임영환;윤기영;이두수;신상태;조종기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7-83
    • /
    • 2006
  • 본 연구는 개 동결 정액 융해 시 straw 크기 및 융해 속도가 융해 정자의 질(quality)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최적의 융해 조건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상적인 번식능을 가진 비글 수컷 5마리에서 정액을 채취하여 원심 분리하여 정장을 버리고 남은 정자에 동결보호제인 glycerol이 첨가된 tris-glucose-egg yolk extender를 첨가하여 동결하고 액체질소에 보관한 후 융해하였다. 동결 융해 조건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traw는 0.25 ml과 0.5 ml크기를 사용하였고 융해 조건은 $75^{\circ}C$에 10초, $55^{\circ}C$에 12초 및 $37^{\circ}C$에서 120초로 하여 융해 후 정자의 활력도(vigor), 운동성(motility), Hypo-osmotic test(HOS test)를 이용한 생존성(viability) 및 $SperMac^{\circledR}$ 염색을 하여 정자의 membrane integrity를 비교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0.5 ml 크기의 straw를 사용한 경우 $37^{\circ}C$ 융해가 $55^{\circ}C,\;75^{\circ}C$ 융해보다, 0.25 ml 크기의 straw를 사용한 경우에는 $37^{\circ}C,\;55^{\circ}C$ 융해가 $75^{\circ}C$ 융해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력 지수 및 생존성을 보였다(P<0.05). Straw크기에 따라 비교하였을 경우 0.5 ml 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력도, 생존성 및 membrane integrity를 보였다(P<0.05). 결론적으로 개 정액이 동결 및 융해 시 0.5ml straw를 이용하여 동결한 후 $37^{\circ}C$에서 120초 동안 융해하는 것이 최적의 조건임이 사료된다.

개 신선 및 동결 정소상체 정액을 이용한 체외수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n Vitro Fertilization of Follicular Oocytes of Canine using Fresh and Frozen Epididymal Sperm)

  • 김상근;이봉구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01-306
    • /
    • 2004
  • 본 연구는 개의 신선 및 동결 정소상체 정액과 정소상체 정액을 saline가 tris-buffer액으로 희석하고 원심분리에 의해 정장성분을 제거한 정액의 성상과 및 동결보존 시의 생존성 및 난포란과 정소상체 정자의 체외수정 후 체외수정율과 분할율에 대해 조사하였다. 개 정소상체 정액을 saline으로 희석한 정액을 20분간 배양했을 때 정자농도는 3.50$\pm$0.80${\times}$l0$^{6}$ cells/$m\ell$, 정자의 활력은 72.45$\pm$4.55%, 기형정자 수는 7.40$\pm$1.20%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인 사출정액의 정자농도는 5.45$\pm$0.50${\times}$$10^{6}$cells/$m\ell$, 정자의 활력은 92.55$\pm$4.65%, 기형정자 수는 3.25$\pm$0.45%와 비교할 때 정자농도와 활력은 낮았으며, 기형정자 수는 많았다. 개 정소상체 정액과 tris-buffer로 희석한 정액을 20분간 배양했을 때 정자농도는 3.80$\pm$0.36${\times}$$10^{6}$ cells/$m\ell$, 정자활력은 78.45$\pm$3.50%, 기형정자 수는 5.54$\pm$0.85%였으며, 희석하지 않은 정소상체 정액의 성상에 비해 약간 높게 나타났다. Tris-buffer로 희석한 개 정소상체 정액을 동결 융해했을 때 생존율은 57.50$\pm$4.20%, 활력은 52.70$\pm$5.50%였으며, 희석하지 않은 대조군의 생존을 74.50$\pm$6.25%와 활력 78.50$\pm$5.20%에 비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개 난포란과 신선 몇 동결 정소상체 정자와 체외수정시켰을 때 체외수정율은 각각 63.10$\pm$6.45%, 49.50$\pm$4.28% 및 42.84$\pm$5.90%, 22.30$\pm$5.60%로서 신선 정자에 비해 동결 정소상체 정자로 수정시킨 군의 분할율이 유의하게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