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의적 특성

검색결과 3,646건 처리시간 0.035초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National Assessment System Development of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 김효남;정완호;정진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57-369
    • /
    • 1998
  •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데에는 과학과 관련된 정의적 특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과학적 태도, 자연과 과학에 대한 가치, 호기심과 관심 등의 과학과 관련된 정의적 특성이 대부분의 과학교육 목표에 포함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과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와 문항을 개발하였다. 인식, 흥미와 과학적 태도의 세 개의 주범주와 16 개의 소범주로 평가체재가 구성되었다. 평가체제의 타당도는 10 명의 과학교육학자들에 의하여 검증되었다. 48 개의 평가 문항을 문항반응분석과 문항-검사 상관계수를 고려하여 총 64 문항 중에서 선정하였다. 크론바하 알파계수는 인식과 흥미에서 0.83 이고, 과학적 태도에서는 0.86 이었다. 검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과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둘째, 초등학생이 중등학생보다 더 높은 과학과 관련된 특성 점수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도시지역의 학생이 시골지역의 학생보다 더 높은 과학과 관련된 특성 점수를 보여 주었다.

  • PDF

과학일지 쓰기가 과학영재의 인지적 ${\cdot}$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ce Journal Writings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features of the science gifted students)

  • 이정희;우규환
    • 영재교육연구
    • /
    • 제14권4호
    • /
    • pp.15-45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일지 쓰기 활동이 과학영재의 인지적 ${\cdot}$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 소속 과학영재 21명을 대상으로 6 개월간 온라인으로 과학일지를 쓰게 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일지에서 글쓰기 형식에 따라 과학개념이 드러나는 양상과 함께 과학영재의 심리 ${\cdot}$ 행동적 특성이 정적 양상과 부적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학일지 쓰기는 인지적 측면에서 과학영재의 과학개념에 대한 이해와 탐구력을 향상시키며, 정의적 측면에서 관찰력이나 과학에 대한 흥미와 태도 및 글쓰기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킨다. 따라서 과학일지 쓰기는 과학영재의 인지적 ${\cdot}$ 정의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과학영재는 과학일지 쓰기가 매우 유익하며 영재교육 프로그램으로도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어, 이러한 결과는 과학일지 쓰기 활동이 영재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ISA와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성취 실태 분석 -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PISA and TIMSS)

  • 최승현;박상욱;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23-43
    • /
    • 2014
  • TIMSS와 PISA의 두 국제평가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경우, 수학 교과에 대한 인지적 영역의 성취도는 매우 우수한 반면 정의적 영역의 성취도는 참가국 중 최하위권의 순위를 기록하여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즈음에, 우리나라 학생들이 취약한 정의적 특성 요인의 함양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은 의미 있은 일일 것이다. 이러한 취지하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PISA와 TIMSS 두 국제평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아효능감, 그리고 수학에 대한 가치 인식의 정의적 특성 요인을 대상으로, PISA와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특성의 성취 실태 및 사례를 파악하여 이의 실천적 함양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최승현 외, 2013). 본고에서는 PISA와 TIMSS에 관한 선행 연구 재분석 및 통계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이에 초점을 두어 수학 교과에서의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성취 실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 PDF

중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Regular Students in Perfectionism and the Affective Traits)

  • 황우형;이유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3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중등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성향,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학문적 자아개념, 학습태도, 흥미, 수학불안, 학습습관)에 대해 알아보고, 완벽주의 성향과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영재학생들에 대한 이해를 돕고 영재아의 진로 및 학습전략 상담을 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신뢰도와 타당도가 밝혀진 다차원 완벽주의 척도와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 질문지를 사용하여 SPSS for Window 12.0 Program의 상관관계 분석, t-검증,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에 완벽주의 성향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하위요인인 자기지향적 완벽주의는 영재학생이 일반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중등 영재학생의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은 일반학생보다 더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중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모두 완벽주의 성향과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는 낮은 상관을 가지고 있었으나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와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는 상호 관련성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아들이 지닌 완벽주의 성향이 재능발휘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도록 전문적 도움이 필요하다. 둘째, 영재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을 고려한 수학영재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완벽주의 성향과 교과관련 정의적 특성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하며, 그 결과가 영재학생 및 영재학부모 대상 연수의 내용에 포함되어야 한다.

  • PDF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CoProC)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공업계열 특성화고 학생들의 인성 역량과 과학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cience Classes Applying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or Character Competency (CoProC) on the Character Competence and Scientific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강시내;박지훈;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5권6호
    • /
    • pp.468-483
    • /
    • 2021
  • 이 연구는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CoProC)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공업계열 특성화고 학생들의 인성 역량과 과학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공업계열 특성화 고등학교 화학공업과 2학년 2개 학급 43명을 대상으로 인성 역량 및 과학의 정의적 특성 검사지, 각 모둠별 논의 과정 음성 녹음본, 수업 되돌아보기 활동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성 역량 검사 총점에서 실험집단 학생들은 비교집단 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9개의 하위 인성 역량 요소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과학의 정의적 특성 검사 결과, 실험집단 학생들은 총점에서 비교집단 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흥미의 일관성을 제외한 7개의 하위 요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CoProC)을 적용한 과학 수업은 공업계열 특성화고 학생들의 인성 역량과 과학의 정의적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중등 수학 교사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과 수업 실태 분석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recognition of the affective domain and analysis od condition in mathematics teaching)

  • 한혜숙;최계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491-518
    • /
    • 2011
  • 최근에 수행된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성취는 인지적 성취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이는 개인 연구자 수준을 넘어서 국가적 차원에서 연구를 요구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현재 수학에 대한 정의적 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과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나 수학 교사에 초점을 맞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소재 중등학교 수학 교사 327명을 대상으로 교사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 수업에서의 실천도, 향후 실천 의지 및 계획 등에 관해서 조사를 하였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수학 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난 반면 본 연구에서 조사한 교사들의 수업에서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인식 및 실천 정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교사와 학생간의 견해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의적 특성, 수학적 문제 해결력, 추론능력간의 관계

  • 이영주;전평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8권
    • /
    • pp.137-150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들의 수학 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 수학적 문제 해결력, 추론 능력간의 상호 관계를 구명하고, 이러한 관계들은 아동의 지역적인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정의적 특성의 하위 요인 중 수학적 문제 해결력과 귀납적 추론 능력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은 요인은 수학교과에 대한 자아개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역적 추론 능력에 대한 설명력은 학습 습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_그리고 귀납적 추론 능력이 연역적 추론 능력 보다 수학적 문제 해결력에 대한 설명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적 문제 해결력과 귀납적 추론 능력은 지역별로 유의한 차가 나타났으나 연역적 추론 능력은 지역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수학영재의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ffective variables of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s)

  • 강순자;김용구;정인철;임근광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41-55
    • /
    • 2006
  • 영재들의 학습 효과를 위해서는 학생들이 지적으로 준비가 갖추어졌다할지라도, 학생들의 지적 능력을 활성화하고 적극적인 학습 행동으로 동력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영재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자아개념, 태도, 흥미, 수학불안, 학습습관과 같은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 PDF

과학 학습을 위한 개별적인 CAI에서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특성과 개념 이해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Cognitive .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from Individual CAl for Science Learning)

  • 노태희;김경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28-735
    • /
    • 2005
  • 이 연구는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과 컴퓨터 보조 수업을 한 후의 개념 이해도와 관계를 조사하였다. 장의존-장독립성, 학습 전략, 자기 조절 능력, 시각적 학습 선호도, 성취 목적, 능력에 대한 자아 효능감, 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에게 컴퓨터 보조 수업을 실시한 후에 '분자의 운동'에 관한 개념 검사를 하였다.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는 인지적 특성들 중에서 장의존-장독립성, 학습 전략, 자기 조절 능력, 정의적 특성 중에서는 시각적 학습 선호도, 성취 목적, 능력에 대한 자아 효능감과 CAl에 대한 태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개념 이해에 관한 인지적 특성들의 중다 회귀 분석 결과, 장의존-장독립성은 가장 유의미한 예언 변인이었다. 자기 조절 능력과 심층적 학습 전략도 유의미한 예언 변인 이었다. 정의적 특성들에 관한 분석 결과에서는 시각적 학습 선호도, 능력에 대한 자아 효능감이 학생들의 개념 이해에 유의미한 예언 변인이었다.

초등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학교에서의 수학 교육 및 사회적 환경을 중심으로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and Social Environment)

  • 권점례;권미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3호
    • /
    • pp.199-217
    • /
    • 2023
  • 수학 교육에서 정의적 영역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으나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나 흥미는 크게 변화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따른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학교에서의 수학 교육 요인과 사회적 환경 요인으로 구분하여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59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생들은 학업성취도와 관계없이 자신의 정의적 특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교에서의 수학 수업'을 꼽았다. 그 외에 상 수준의 학생은 '수학 사교육'과 '대학 입시와 직업', 중 수준의 학생은 '학교에서의 평가'와 '수학 사교육', 하 수준의 학생은 '학교에서의 평가'와 '수학 교과서' 순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학업성취도가 낮아질수록 학생들의 수학 수업 참여도가 급격히 줄어들었으며, 그 이유로 가장 많은 학생들이 배우는 수학 내용이 너무 어려워서라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정의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교에서의 수학 수업'에서의 변화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따라 정의적 특성의 향상 방안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