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개발 응용 패러다임이 분산 환경 기반을 두면서 보안 문제가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정보통신 제품이나 시스템을 개발할 경우 보안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 표준화된 요구사항들의 목록으로 공통평가기준이 정의되어 있다. 공통기준에서 고려되어야할 결함 교정에서 구체적인 절차와 결함 항목의 식별, 속성, 행위 정의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공학 프로세스에서 보안측면을 고려하여, 생명주기의 자원과 프로세스에서 결함 추적 및 교정을 위한 기능적, 비기능적인 엔티티와 이를 기반으로 한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즉, 생명주기를 통한 개발과 평가를 지원하고, 개발자와 평가자에게 고려해야할 기준 이외에 생명주기 상에서의 자원 처리의 유무나 중요도 제공이 가능하다. 결함 추적과 교정을 위한 엔티티 적용에 대한 부가적인 비용과 노력을 감소시키고 정보보호 제품 개발과 밀접하게 연관된 결함을 검증하고 교정함으로써 제품의 개발과정의 신뢰성을 제공하고 생명주기 관리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고자 한다.
위성의 궤도를 해석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STK(Satellite Tool Kit)나 Matlab Tool을 많이 사용한다. 이 도구들은 훌륭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과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상당히 편리하다. 하지만 STK의 경우는 다양한 해석을 수행하기 위한 Flexibility가 다소 제한적이고 상당히 고가라는 단점이 있으며, Matlab Tool의 경우는 계산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려서 장기간에 대한 궤도해석이나 통계적인 분석에는 활용이 제한되는 측면이 있다. 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1993년부터 FORTRAN 언어로 구성된 Astro Library라는 궤도계산용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그 후 정밀도를 개선하고 성능을 분석하는 작업들을 수행해 왔다. 또한 FORTRAN 언어가 가지는 비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사용상 불편한 점들이 발견되어 Astro Library를 C++언어로 변환하여 객체화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즉 시간, 태양, 지구, 달, 위성, 궤도 및 이들을 정의하는 속성을 각각의 객체로 정의하여 직관적으로 코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무궁화위성, 천리안위성의 해석에 적용되어 편리성 및 정밀도가 입증되었다. 다양한 환경에서의 사용경험을 통하여 특히 복수위성에 대한 궤도 해석에 상당히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궤도해석 프로그램인 Astro Library의 객체 구조에 대하여 정리하였고 몇 개의 적용 사례를 소개하였다.
포지인식도(Fuzzy Cognitive Map : FCM)는 추상적이고 비구조적이며 동적인 응용영역에서 전문가의 인과관계 지식(causal knowledge)을 표현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 FCM이 기존의 다른 네트워크 형태의 지식표현방법과 다른 차이점은 대상 문제의 개념변수들을 퍼지집합으로 묘사하고, 개념 변수간의 관계를 퍼지 인과관계로 다룬다는 것이다. 그런데 FCM의 특성이 아직 충분히 논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FCM의 적용에 있어 오류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첫째, FCM의 특성과 의미를 보다 명확히 하여 이론적인 측면을 보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논리적관계(implication)와는 다른 인과관계의 정의를 다시 확인하고, 이정의에 기초한 퍼지 인과관계의 특성을 파악하고, 퍼지 인과관계와 대비되는 퍼지 부분인과관계 및 단방향 개념변수를 새로이 정의함으로써 FCM구축에 있어 잘못된 이해가 없게 하며, 둘째, FCM에서는 추론 방식이 갖추어야 할 원칙을 명시하고 이에 따라 이러한 원칙을 준수하는 새로운 추론 방식을 제시한다.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결과는 지속되고 있지만, 측정지표에 대한 선행연구는 건설분야를 제외하고는 SW 분야에서는 아직 초보적인 단계이다. 특히, 범위(Scope)는 프로젝트 관리에 있어 중요한 부분으로 지표의 발굴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WBS의 작성을 위해서는 명확한 Project Scope Statement가 제시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Project Scope Statement와 WSB 간에 서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명확한 범위정의라는 성공목표를 위한 세부적인 지표 도출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SW 프로젝트 측면에 있어 범위관리 관련 주요요인을 분석하여 범위관련 제반 문제점을 사전에 탐지하기 위한 PI, KPI를 정의 발견하는데 있다.
우리나라 화학 교육과정에서 표면장력은 분자 간 상호작용과 함께 지속적으로 제시되어 온 개념이지만, 지금까지 다뤄진 표면장력은 과학적 정의보다는 단순히 현상이나 사례의 측면으로만 제시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면장력에 대한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을 마련하고자 과학적 정의에 기반을 둔 표면장력 측정 실험 장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표면장력 측정 장치들의 한계점을 분석하였고, 실험의 직관성, 편리성, 정확성 등에 초점을 맞추어 Wilhelmy 평판법(Wilhelmy plate method) 기반의 표면장력 측정 장치를 개발하였다. 6종 액체의 표면장력을 측정함으로써 제작된 표면장력 측정 장치가 짧은 시간 내에 정확하고 정밀한 값을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표면장력 측정 장치는 추후 화학 수업 현장에서 표면장력 교수와 측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ad Along by Google with primary English learners' pronunciation and affective domains. In order to answer these two questions, a 4-week pilot study was conducted with 24 participants in the 6 th grade. Read Along as a main learning tool was utilized for a reading-aloud activity, and a pre-/post pronunciation test and survey on the affective factors were distributed as a research instrume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read-aloud activity with Read Along brought a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learners' pronunciation ability in terms of accuracy and fluency. Participants showed improvement in the post-pronunciation test, compared to the pre-on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 result of the paired samples t-test. Next,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affective domains illustrated that participants showed overall improvement in learning interest and confidenc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se factors. Ye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rning attitude, even though they showed partial improv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IT 관련 Cycle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 범위 및 분석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1990년 1사분기에서 2000년 4사분기까지 효율적인 Band Pass 필터링에 의하여 IT Cycle을 정의하였고, Business Cycle과의 상관관계 그리고 몇 가지 IT Cycle 특징을 Co-Spectra 분석을 통하여 동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둘째, 우리나라 수출 안정화 측면에서 주요 5개 산업 수출 Cycle과 IT 수출 Cycle을 중심으로 서로 간의 동태적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산업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1980년대가 뉴럴네트워크의 이론적 재도약으로 특성화할 수 있다면 1990년대는 여러 분야의 제반문제에 뉴럴네트워크가 적용되어 기존의 다른 문제해결방법을 대체하거나 보완하는 적용확산 기간이라 말할 수 있다. 이는 '인간의 두뇌활동의 이해'라는 본래적인 뉴럴네트워크의 심리/생리학적 목적과는 관계 없이 제반 문제의 해결에 뉴럴네트워크의 방법론적 강점을 활용하는 공학적 접근방안의 확산을 의미하며, 본 논문의 내용 또한 이러한 측면에서 기술되고 있다. 다음은 뉴럴네트워크의 정의와 특성을 약술하고 계속하여 뉴럴네트워크의 종류와 뉴럴네트워크 적용시의 지침을 정리해 본다.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v.10
no.4
s.36
/
pp.385-396
/
2005
In this paper, a new structural approach to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is presented. A primitive pattern is defined as a part segmented by a local minimal position of speed. And a structural description of signature is composed of subpatterns which are defined as such forms as rotation shape, cusp shape and bell shape, acquired by composition of the primitives regarding the directional changes. As the matching method to find identical parts between two signatures, a modified DP(dynamic programming) matching algorithm is presented. And also, variation and complexity of local parts are computed from the training samples, and reference model and decision boundary are derived from these. Error rate, execution time and memory usage are compared among the functional approach, the parametric approach and the proposed structural approach. It is found that the average error rate can be reduced from 14.2% to 4.05% when the local parts of a signature are weighted and the complexity is used as a factor of decision threshold. Though the error rate is similar to that of functional approaches. time consumption and memory usage of the proposed structural approach are shown to be very effective.
Lee, Kwang Seok;Lee, Byung Wook;Ko, Han Suk;Won, Byung Ch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v.21
no.48
/
pp.25-36
/
1998
본 논문은 일반 인간사회에서의 ’적절 대응’ 개념을 살펴보고 이를 경영도구에서 설정하는 것에 관한 연구이다. 많은 경영도구들은 목적과 수단을 혼동함으로써 실패해 왔다. ‘적절 대응’ 개념은 경영도구의 성공을 위해 필수적인 개념으로서 인간사회에서는 오래 전부터 성공의 기본 요건이 되어 온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적절 대응’ 개념을 변수를 도입하여 정의하고, 관찰, 이해, 해석, 이행의 4단계로 구성되는 ‘적절 대응’ 과정을 설정한다. ‘적절 대응’ 개념을 실현하기 위해서 경영도구는 이러한 4단계의 과정을 이행할 수 있도록 일반 기능 측면에서의 능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측면에서의 능력, 적응성 측면에서의 능력을 보유해야 한다. 이러한 ‘적절 대응’ 개념은 생산정보시스템에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