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의적 목표

Search Result 76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pplication of data mining techniques for finding customer-oriented product market segments (고객지향 세분시장 획득을 위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 적용방안)

  • Kim, Jong-Ho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3 no.3
    • /
    • pp.385-392
    • /
    • 2012
  • The definition of the product market in a supplier's point of view can cause various problems in the market activities of companies because specific situations are excluded and the consideration for discontinuity is lacking by identifying segmented markets with processes, raw materials, the similarity of product functions and so forth. Furthermore, as this definition is static and general, it is difficult to express and predict the dynamic market changes. Meanwhile, customer-oriented market segment can be obtained by grouping substitutable products and related customers in the situation pursuing specific benefits. This definition of the product market enables us to find threats and opportunities emerging in markets and promotes effective performance assessments and resource allo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suggesting a framework to select data mining techniques proper for the customer data characteristics to identify customer oriented product market.

The Analysis of Educational Effect of The Horticultural Picture Books Focused on B.S.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블룸(B.S. Bloom)의 교육목표에 따른 원예그림동화책과 교육적 효과분석)

  • Kwack, Hye Ran;Kim, Sun A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loral Art and Design
    • /
    • no.41
    • /
    • pp.155-169
    • /
    • 2019
  •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educational effects of the horticultural picture books, which are depending on B.S.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fter collecting various horticulture-related picture books, this study classified them by the B.S bloom's educational taxonomy. There were objectives of the cognitive domain, objectives of the affective domain, psychomotor domain in plants and gardening activities. And the cognitive domain, affective domain, psychomotor domain subdivided into the sub-region can learn from the horticulture picture books to teach the unique characteristics could be found. To know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using picture books in the horticulture class, questionnaire were analyzed from the survey. As a result, by Bloom's educational taxonomy area they preferred children's books. Teacher think that fairy tale books promote the interest of the children and have the advantage of fostering creativity. In addition, an easy point to get in school, lack of hours in the effective education to help horticulture that was expected. The cognitions of most effective storytelling method of horticulture picture book was story immersion. And the effective activity after reading picture book was drawing picture. Also, the most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was a real-life picture.

Study on Reliability Target Proving Process for Advanced EMU (차세대전동차 목표신뢰도 추종방안 연구)

  • Joung, Eui-Jin;Kim, Gil-Dong;Hong, Jae-Seong;Lee, Jang-Mu;Lee, Han-M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775-777
    • /
    • 2012
  • 차세대전동차는 직접구동모터(DDM : Direct Drive Motor) 방식으로 기존에 사용하던 기어박스를 없애는 등, 연결부품을 제거함으로써 고장률을 줄여 기존차량 대비 30% 이상 신뢰도를 향상하도록 개발하였다. 그러나, 단순히 모터 자체 만을 변경함으로써 신뢰도를 향상시켰다고 보기는 어렵고, 시스템 차원에서 전동차 내 타 구성품과의 인터페이스를 살펴보고,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서 신뢰도가 어느 정도 향상되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신규차량일 경우, 기존차량대비 어느 정도로 신뢰도가 향상되었는지를 입증하고자 주행시험을 실시하는데 전동차에 신뢰성 이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크게 목표설정, 신뢰도예측, 신뢰도입증의 3단계 작업이 진행되며, 신뢰도 예측은 주요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부품단위의 고장률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신뢰도를 예측하고, 신뢰도 목표치를 만족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며, 신뢰도 입증은 예측한대로 시스템이 구축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전동차에서 설정한 목표신뢰도를 만족시키기 위해 수행한 업무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PDF

Estimation of Error Performance for Digital Satellite Communication (디지털 위성통신 시스템에서의 오류 성능 추정)

  • Yeo, Sung-Moon;Kim, Soo-You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45 no.2
    • /
    • pp.52-59
    • /
    • 2008
  • Recommendation ITU-R S.1062 specifies the performance of digital satellite systems. The performance objectives were given in terms of bit error probability divided by the average number of errors per burst versus percentage of time. This performance objective is highly dependent on the forward error correction(FEC) coding schemes used in the system. This implies that we need an effective way of estimating the error performance of a system by the given FEC scheme. In this paper, we derive theoretical formula to estimate performance measure of digital satellite systems defined in Recommendation ITU-R S.1062. We demonstrate various estimation results, and verify them by compar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A Study on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on Information Science Applying Project-based Learning (정보과학 창의성 향상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 Kim, Hosook;Kim, Hyou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8 no.4
    • /
    • pp.529-540
    • /
    • 2014
  • We propose an efficient information science teaching-learning method to improve information-scientific creativity of math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The students are able to improve their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team-work abilities through team project work to resolve a variety of application problem in real world. In the pursuit of this purpose, we designed a new two-stage information science learning method consisted of the standard stage and the application stage, and a new systemic project process. Moreover, we applied small-scale cooperation learning strategies and a multi-dimensional assessment system. The analysis on our proposed model shows that there is a remarkable achieve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on cognitive capability, social and affective ability of information science creativity.

제벤처생태계 개념통합형 기초공통교육 모델화 연구

  • Park, U-Hui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67-69
    • /
    • 2016
  • 이 연구는 경영학과 MBA교육과정이 세상의 모든 제품과 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듯이, 세상의 어떤 분야의 제품이든 그 시작인 한 개 착안에서부터 시장력 확보를 위해 시도 되는 도전행위의 매개인 모든 착안과 아이디어가 기업이 되는 과정인 제벤처행위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학문이 될, MVA(PH-MVA, master of venture arming, 벤처무장학)학의 개념적 모델링의 시작에 필요로하는 정의론과 개념론으로, MBA에 있어 경영학원론이 개론화되듯, MVA에 있어 그 개론서가 될 벤처학원론서 설계에 있어서의 시작인 1편 기초론을 구성하는 내용을 벤처창업이나 기업의 신제품개발 부서에의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들과 제벤처 생태계의 모든 직간접 관련 직무자 들이 공통적으로 무장하면 벤처적 행위에 필요로하는 여러 가지 직무자들 같이 소통력은 물론 직무매칭력 등의 분업 협업력이 매우 높아 질 것이라는 주장을 바탕으로한다. 그리고 제시하는 정의와 개념을 제벤처 생태계 전체의 표준으로 참고 삼아, 누구의 어떤 모델이든, 창조경제의 일부로서 미생들의 벤처(창업, 기업만들기 도전)행위나 완생기업들의 신제품개발 모두에 두루 적용 될 수 있는, 누구나가 이해, 공감, 교감, 습득이 용이한 벤처학 개발이 왕성하게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곧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한 학자들의 사명이자 새로운 성장동력 모델의 발굴이기도하다는 측면에서의 동참이 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아울러, 이러한 정의와 개념을 바탕으로 전개되어, 벤처생태계 전반에서 수행 될 교육이 개인들의 창업(기업만들기)을 목표로하는 공부가 되기도하고 연장에, 완생기업들이 필요로하는 신제품개발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능력과 자질을 갖춘 인재선발적 취업준비공부도 될 수 있는 통합적 교육이되어야한다는 취지를 가지고있다. 또 연구를 통해 제벤처(기업의 신제품개발 도전협업행위 포함) 생태계에서의 직무자들의 직무매칭력 및 협업행위에 있어서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와 개념들의 제각각으로 부터 발생되는 상치(相馳, 제각각, 불통, 협업마찰, 대립, 갈등, 등)력을 해소하는 것이 역설적으로 협업력을 최적으로 활성화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모두가 인지, 수용토록 하고자 함을 목적으로한다. 이러한 연구를 전벤처단계의 벤처기초학을 바탕으로하는 제벤처생태계 개념을 일원화 통합화하는 연장에 전개되는 공통무장교육 모델화를 목적으로한다.

  • PDF

과학영재의 과학 관련 태도와 과학 불안도

  • 양태연;박상우;한기순;박인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05a
    • /
    • pp.131-135
    • /
    • 2003
  • 과학영재교육의 중요한 목표중의 하나는 과학영재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특히 태도와 같은 정의적 특성은 지적 특성에 비하여 후천적이고, 학습에 의해서 변화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Marsh, 1990) 교육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학생들이 성장하여 과학에 관련된 직업이나 활동을 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Oliver, W Hill, Pettus, W. C. and Hedin, B. A 1990). Anderson(1981)은 과학에서의 정의적 영역을 흥미, 태도, 가치, 통제의 소재, 학문적 자아개념, 불안, 선호 등의 7가지 영역으로 나누고 이 중에서 불안요인을 학업성취 및 태도에 가장 강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구분한 바 있다. 이처럼 과학 관련 태도나 과학 불안도는 학생들의 과학관련 활동이나 성취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연구는 극히 미미하다. 지금까지의 태도 및 불안도에 관한 연구들은 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과학영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학영재교육원에 다니는 194명의 과학영재들을 대상으로 하여 과학영재 수업을 받은 후 과학 관련 태도와 과학 불안도가 변하는지, 과학 관련 태도와 과학 불안도는 어떠한 상관이 있는지, 그리고 남$\square$녀 집단의 차이가 있는지를 영재수업을 받기 전과 후의 검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들의 과학 관켠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고등학생을 위한 과학 관련 태도’검사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는 Fraser(1981)가 개발한‘TOSRA’(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와 Munby(1983)의‘태도 측정 도구 조사’에서 문항 선정이 이루어졌다. 적절한 단어 및 어휘, 일부 문항들의 부적절한 환경 상황 등을 고려하여 40 문항 중 21문항을 수정하거나 삭제하고 문항내적 상관이 낮은 4문항을 제거하여 최종 30문항을 제시하였다(고유곤, 1996). 이 검사의 문항 내적 신뢰도 $\alpha$ 는 0.9 이었다. 검사 문항은 4개 범주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의 사회적 의미,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 과학적 태도 등과 각 범주의 하위 문항으로 되어 있다 과학 불안도 측정 검사 도구는 중$\square$고등학생들의 과학불안도 측정을 위해 김범기(1993)가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다.

  • PDF

Analysis of Inquiry Unit of Science 10 in Terms of Nature of Science (과학의 본성의 측면에서 10학년 과학의 탐구 단원 분석)

  • Cho, Jung-I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8 no.6
    • /
    • pp.685-695
    • /
    • 2008
  • An analysis on the Inquiry unit of Science 10 textbooks was conducted in terms of nature of science (NOS). The subject of the analysis was instructional objectives, activities and sentences in the unit of ten Science 10 textbooks. Contents of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could be grouped into nature of science, nature of scientists, scientific methods, and Science-Technology-Society. The concret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SK) and constructing scientific theory or model, however, were not found in the objectives. The total number of activities in the Inquiry unit was 38. Seventeen out of them were presented without any supplemental or introductory materials, and 21 activities were provided with information followed by questions, discussions or investigations. For the most activities, any clear statements about NOS elements and desired/informed views of NOS were not made. The sentences of the Inquiry units were mixed up with constructivist and inductive views on NOS. The definition of science tended to be described based on the inductive view. And the generation of SK tended to be described as discovering regularities in natural phenomena rather than constructing theories. For science teachers who want to teach NOS effectively, stating clear learning objectives and elements of NOS and presenting reading materials with relevant views on nature of science were necessary.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 혁신을 보는 다양한 시선

  • Song, Wi-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749-749
    • /
    • 2017
  • 최근 들어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 활동이 활성화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추진하는 국민생활연구사업, 그리고 혁신본부에서 기획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다부처 공동 기획사업 등이 추진되고 있다.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은 사회문제 해결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에 수월한 과학기술지식의 창출,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과는 목표와 추진체제가 다르다.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은 사회혁신과 과학기술을 결합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새로운 유형의 혁신활동이 등장하면서 이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각 논의들을 정리하고 향후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의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여기서는 크게 3가지 분류로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을 보는 관점을 정리한다. 첫 번째는 전문가 중심의 관점(Innovation for people)이다. 이는 전문가가 분석과 논의를 통해 사회문제를 정의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접근이다. 많은 과학기술전문가들이 가지고 있는 틀로서 선형모델에 입각한 논의이다. 때문에 혁신의 선형모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피드백의 부족, 현장에 대한 이해 부족 등과 같은 단점이 있다. 두 번째는 시민사회 중심의 관점(Innovation by people)이다. 이는 현장의 문제 상황에 있는 시민들이 문제를 정의하고 혁신활동을 주도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이 관점은 일반 시민을 과학기술혁신의 주체로 호명하고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참여시키면서 주류 과학기술의 미흡한 현장 지역 지향성을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혁신의 논의가 지역에 한정되면서 규모 확대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장기 지속성을 확보하는 데에도 난점이 있다. 세 번째는 전문가와 시민의 협업 관점(Innovation with people)이다. 이는 시민성과 전문성의 결합을 통해 민주주의를 고양하고, 현장 지식과 전문 지식의 융합을 지향하는 접근이다. 또 리빙랩과 같은 추진 체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그러나 전문가와 시민사회의 협업을 지원하는 인프라와 지원체제가 부족하면 여러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관점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국지적 문제해결과 국가적 문제 해결의 연계, 실험의 중요성 강조, 전문가와 최종 사용자 및 시민의 실질적 협업을 위한 기반 구축, 시스템 전환 프레임의 도입을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 PDF

Instructional Strategy of Cooperative Learning Applied Peer Tutoring in the Practical Class of Technical High School (공업계 고등학교 실기 교육에서 동료지도법을 적용한 협동학습 수업 전략)

  • Son, JuMin;Kim, PanWook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1 no.1
    • /
    • pp.23-4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instructive strategy model of cooperative learning for practical class in technical high school.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has conducted related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interviewed with professionals for reconstruction of practice contents. As a result, 15 steps instructional strategy model of cooperative learning was designed and this model based on traditional 4 steps model, Jigsaw and STAD model which have been verified as effect. To complete the final project, all the team members must cooperate themselves and tutor their peers with learning guides which are constructed as a modular system. This instructional strategy model which is correlated with modular instruction, peer tutoring and cooperative learning is expected to enhance students' school work of psychomotor domain as well as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