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유향기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9초

저장조건에 따른 당귀의 정유성분 변화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Angelica gigas Nakai by the Storage Conditions)

  • 최성희;김혜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13-518
    • /
    • 2000
  • 당귀의 정유물을 Nickerson 동시 중류 추출법으로 추출하여, 저장온도와 기간에 따른 정유량의 변화를 비교하였고, 저장 60일째의 각 시료의 휘발성 성분을 GC 및 GC-MS법으로 분석, 동정하였다. 당귀의 정유함량을 비교한 결과 저장 10일째는 저온저장$(1{\sim}5^{\circ}C)$과 상온저장한 당귀는 저장직전에 분석한 당귀의 정유량과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20일 이후에는 저온저장한 당귀 시료의 정유량이 상온저장한 당귀의 정유량보다 함량이 많았다. 상온저장한 시료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정유량의 중가가 완만하다가 60일에는 정유량이 증가하였다. 저온 저장한 시료는 저장기간 20일째는 정유량의 현저한 중가추세를 보였으나 60일까지는 유지 혹은 완만한 중가추세를 보였다. 당귀의 휘발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당귀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극성 컬럼에서는 ${\beta}-elemene$ 등의 terpene hydrocarbon류, eudesmol 등의 terpene alcohol류, (-)-trans-myrtanyl acetate ester 등이 둥정되었다. 비극성 컬럼에서는 camphene 등의 terpene hydrocarbon류, ${\alpha}-eudesmol$ 둥의 terpene alcohol류, butylidene phthalide 등이 동정되었다. 특히 eudesmol류는 상온저장에서 전체 정유량의 45%, 저온저장에서 48%를 차지했다. 당귀의 휘발성 성분으로 극성과 비극성 컬럼에서 함량이 많은 eudesmol과 terpene alcohol류 등은 독특하고 상쾌한 당귀의 향에 기여하리라고 생각된다. 저장 방법 면에서 상온저장한 시료와 저온 저장한 시료를 비교해보면 당귀의 대부분의 향기성분의 함량은 저온저장한 시료에서 많았다. 그리고 eudesmol은 전체적으로 상온저장 시료와 저온저장 시료 양쪽에서 많았으나 저온저장한 시료 쪽의 함량이 더 많았다.

  • PDF

탱자(Poncirus trifoliata)의 향기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 (Flavor Components of Poncirus trifoliata)

  • 오창환;김정한;김경례;안혜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49-754
    • /
    • 1989
  • 탱자(Poncirus trifoliata)의 향기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gas co-distillation 방법으로 정유를 추출한 후 GC/retention index(RI)와 GC/MS를 이용해 multi-dimensional analysis를 행하였다. Gas co-distillation 방법으로 탱자의 향도 그대로 지니며 기기분석에 적합한 정유를 얻을 수 있었다. 향기성분의 확인작업에는 GC/RI와 GC/MS를 상보적으로 사용한 multi-dimensional analysis가 효과적이었으며 GC/RI로만 확인할 경우 극성이 다른 두 가지 column을 사용해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었다. 탱자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향기성분들은 limonene, myrcene, ${\beta}-caryophllene,\;trans-{\beta}-ocimene,\;{\beta}-pinene$, 3-thujene, 7-geranyloxycoumarin 등으로 밝혀졌으며 확인된 30개의 성분 중 cis-3-hexenyl acetate, n-hexyl acetate, 2-methyl acetophenone, elixene 그리고 elemicine 등은 이제까지 감귤류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던 새로운 성분들이다.

  • PDF

금귤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Kumquat(Fortunella margarita))

  • 곽재진;김도연;이근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23-427
    • /
    • 1992
  • 감귤의 향기성분을 분석코져 SDE법에 의해 휘발성 정유성분을 분리한 다음 GC 및 GC-MS에 의해 성분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성분은 10개 성분이며 이 중 limonene이 전체 휘발성성분의 96.5%를 차지하였고 분리된 휘발성성분의 향기특성 역시 limonene에 의해 발현되는 향기가 주류를 이루었다. 그외 ${\beta}-pinene$(1.93%), ${\alpha}-terpineol$(0.42%) 등이 확인되었다. limonene을 제외한 미량성분을 확인하기 위해서 n-pentane과 diethyl ether 100 ml를 각각 용출시켜 휘발성 정유성분을 세분하였다. 이중 diethyl ether 분획에서 alcohol류 9종, terpene 및 terpene alcohol류 22종, aldehyde 및 ketone류 7종, ester류 7종과 기타 1종의 46개 성분이 확인되었다. 그중 양적인 면(peak area%)에서 ${\alpha}-terpineol$(31.98%), ${\beta}-terpineol$(7.37%), geranyl acetate(9.69%) 및 p-menthadien-9-ol(4.12%) 등이 diethyl ether 분획의 주류를 이루었다.

  • PDF

한국산 털목이버섯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Korean Auricularia polytricha (Mont.) sacc. Mushroom)

  • 이재곤;도재호;성현순;이종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6호
    • /
    • pp.546-548
    • /
    • 1995
  • 건조 털목이버섯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SDE 방법으로 정유성분을 분리한 다음 GC-MS를 이용하여 성분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30개의 휘발성 향기성분중 acid 11종류, alcohol 10종류, aldehyde 5종류, ketone 3종류, 기타 1종류였다. 건조된 털목이 버섯의 주요 향기성분은 hexadecanoic acid(16.74%), benzeneethanol(7.77%), pentadadecanoic acid(7.59%), dihydro-5-pentyl-2(3H)-furanone(4.28%), tetradecanoic acid(3.37%), pentanoic acid(3.68%), 1-octen-3-ol(1.26%)등이 확인되었다.

  • PDF

전조 뿌리의 유리 아미노산과 정유 성분 조성 (Composition of Free Amino Acids and Essential Oils in Root of Anthriscus sylvestylis)

  • 김상국;권태용;민기군;이승필;최부술;이상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21-525
    • /
    • 1996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전조의 근에 대한 조성분, 유리 아미노산, 향기성분 등의 분석을 통하여 향료작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는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조 뿌리의 조성분가운데 조단백질은 7.69%, 조지방 1.74%, 조섬유 2.44%, 그리고 조회분은 3.76% 였으며 엑스 함량은 27.68%로 나타났다. 2. 유리 아미노산 조성 및 함량에서 종류는 총 16종이었으며 아미노산의 함량에 따른 순위는 phenylalanine>tyrosine>arginine>alanine>glutamic acid>aspartic acid>lysine>isoleucine>proline>glycine>histidine>thereonine>leucine>methionine>valine, serine이었고 유리 아미노산 함량 중 가장 높은 아미노산은 phenylalanlne으로 6.38 mg이었다. 3. 전조의 뿌리에 대한 향기성분은 $\alpha$-pinene, d-1imonene 등의 mono terpene류가 11종이었고 methyl eugenol 등의 phenyl propanoid류가 3종, 기타 8종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식물정유의 수율은 0.58%였다. 4. 종합적으로 볼 때, 한국산 전조에 대한 향료작물로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금후 향기성분의 수율을 높이기 위한 재배법 연구의 일환으로 차광, 재배거리, 시비량 등의 시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우울증완화의 효과적인 국내산 9종 식물 조합오일의 생리활성 효과 연구 (9 types of domestic plant combination oil effective for relieving depression Bioactive effect research)

  • 정숙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03-112
    • /
    • 2023
  • 본 연구는 우울에 효과가 입증된 국내 자생 식물 9종(배초향, 적송, 강황, 생강, 산미나리씨, 불수감, 황칠, 탱자, 쥐오줌풀) 을 선정하여 각각의 향기 성분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9종 정유를 조합하여 항산화(DPPH, ABTS), 세포독성(MTS), 항염(Nitric oxide)실험을 수행하였다. 향기성분 분석결과 조합오일에서 기연구된 우울완화 효과 성분인 DL-Limonene(38.44%), g-Terpinene(8.9%), Estragole(5.18%), a-Pinene(1.73%) 등이 동정되었다. 항산화 활성인 DPPH 라디칼 소거능은 75.4%, ABTS 라디칼 소거능은 74.04%을 보였으며, 세포독성이 확인되지 않은 5uL/ml의 농도에서 NO 생성 저해능은 33.14%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국내 블렌딩 정유의 우울증의 개선 또는 예방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 더불어 과학적 효능과 성분 연구가 상호 협력적으로 이루어져 우울증적 증상 개선 유무를 확인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오리엔탈 나리 '카사블랑카'의 개화단계별 향기성분 변화 (Change of Fragrant Components by Flowering Stages in Lilium Oriental Hybrid 'Casa Blanca')

  • 노아란;박천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2호
    • /
    • pp.163-169
    • /
    • 2001
  • 본 실험은 오리엔탈 나리 'Casa Blanca'의 유용한 향기성분을 찾아내어 이 성분들의 개화단계별 정유함량과 정유성분 구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각각의 이용 가능한 추출적기를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Casa Blanca'의 개화단계별 정유함량은 꽃봉오리 단계를 제외하고는 개화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여 만개 후 개화 단계에서 가장 높았다. 오리엔탈 나리 'Casa Blanca'의 정유성분을 분석해 본 결과 이들의 주성분은 각 단계에 따라 farnesol(18.96%), benzyl salicylate(13.81%), butyl-hydroxy toluene(12.87%), geranyl linalool isomer(7.46%), isoeugenol(7.17%)이었다. 이들의 개화 단계별 정유성분을 비교해 보면, fatty acid derivative류는 개화 초기와 개화 후기에 많은 반면 benzenoid류는 개화 중기, 만개 단계에서 많았다. 오리엔탈 나리 'Casa Blanca'의 주성분 중 butyl-hydroxy tolune과 isoeugenol과 같은 benzenoid류 물질들은 대부분 강한 항산화 효과가 있어 식품의 첨가제나 방부제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Geranyl linalool isomer와 같은 monoterpene계 물질은 개화 후기로 갈수록 함량이 증가되었고 나리의 구성 성분 중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는 farnesol과 같은 sesquiterpene계 물질은 만개 시에만 나타났고 이는 geranyl linalool isomer와 함께 좋은 향기를 가져 중요한 향료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오리엔탈 나리 'Casa Blanca'의 유용한 주성분들의 개화단계에 따른 추출적기를 살펴보면 farnesol, benzyl salicylate은 만개단계, butyl-hydroxy tolune은 1/2 개화한 단계, geranyl linalool isomer, isoeugenol는 만개 후 단계였다. 이로 미루어 보아 오리엔탈 나리 'Casa Blanca'의 정유는 개화단계에 따라 정유성분과 정유함량에 변화가 있었으며, 이들 성분은 추출적기를 알맞게 고려한다면 향장류나 식품첨가제, 아로마테라피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추출방법에 따른 섬백리향의 휘발성 향기성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Compounds from Thymus Magnus Nakai by Three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이사은;김성문;임원철;강기춘;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71-17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각 추출방법에 따른 섬백리향(Thymus magnus Nakai)의 향기 성분들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본연의 향에 아주 가까우면서 맡기에 좋은 향으로 재현하고자 초임계유체추출법, 혼합 증류법, 동시증류추출법으로 정유를 추출한 후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먼저 초임계유체추출법의 $40^{\circ}C$ - 400 bar 조건에서 추출한 정유 성분 중 linalool (0.1%), trans-sabinene hydrate (0.9%)가 다른 조건에서 추출한 정유성분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50^{\circ}C$ - 400 bar 조건에서는 borneol (3.82%), terpinen-4-ol (0.3%), caryophyllene oxide (2.2%), $50^{\circ}C$- 300 bar 조건에서는 ${\beta}$-bisabolene (5.88%), 1-octen-3 -ol (0.31%), caryophyllene (2.91%), p-cymene (2.04%), ${\gamma}$-terpinene (0.52%), $50^{\circ}C$ - 200 bar 조건에서는 thymol (77.63%), carvacrol (5.65%)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합 증류법으로 추출한 정유 성분 중에는 ${\alpha}$-bisabolol (0.17%), caryophyllene (6.46%), cis-${\alpha}$-bisabolene (1.52%), ${\beta}$-bisabolene (20.65%)이 초임계유체추출법으로 추출한 정유 성분 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시 증류추출법을 통해서는 정유를 얻지 못하였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각각의 추출법을 통해서 확인된 향기 성분들을 모두 취합하여 섬백리향 본연의 향에 좀 더 가깝도록 세밀하게 재현하는데 있어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청호(Artemisia apiaceae Herba)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nents Artemisia apiaceae Herba)

  • 김옥찬;장희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1호
    • /
    • pp.37-42
    • /
    • 1994
  • 청호(Artemisia apiaceae Herba)를 simultanuous distillation 및 steam distillation으로 추출하여 정유의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고, GC 및 GC-MS로 분석하여 34개 성분을 확인하였다. 정유의 관능적 특성은 camphorous하면서 herbal하였고, 정유의 steam distillation에 의한 수율은 0.23%, simultanuous distillation extraction에 의한 수율은 0.37%이었다. 확인된 34개 성분 중에서 camphene, camphor, borneol and caryophv-llene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또 정유를 11개로 분획한 후 좋은 향기 특성을 갖고 있는 5개의 분획물만을 성분 분석하였으며 특히 분획물 F-5와 F-6은 기능성 약리효능을 얻을 수 있는 의료용 향료로 개발가능성을 보였다.

  • PDF

마늘 정유물의 향기성분 및 저장 안정성 (Flavor Compounds and Storage Stability of Essential Oil from Garlic Distillation)

  • 조길석;김현구;하재호;박무현;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40-845
    • /
    • 1990
  • 마늘에서 정유물을 증류하고 그 정유물의 휘발성 성분분석 및 저장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정유물을 포집하는데 사용한 pentane과 dichloromethane의 비는 2 : 1이었고, 정유물의 수율은 0.8 mm의 크기로 마쇄처리한 시료의 경우가 0.35%였고, 통마늘의 경우는 0.07%였다. 마늘 정유물에서 dimethyl sulfide, diallyl sulfide, methyl-1-propenyl disulfide, diallyl disulfide, allyl methyl sulfide, diallyl trisulfide 등의 6종류의 휘발성 물질이 동정되었고, diallyl trisulfide, diallyl disulfide, allyl methyl sulfide가 주요한 휘발성 성분이었다. 마늘 정유물을 $5^{\circ}C$$25^{\circ}C$에서 60일 동안 저장 중 품질 변화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