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성적 연구

Search Result 4,732,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Study on Qualitative Reasoning about Motion in Space (공간에서의 물체의 운동에 대한 정성적 추론에 관한 연구)

  • 김현경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3 no.2
    • /
    • pp.23-32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정성적 공간 표현 방식과 물체의 운동에 대한 추론 방식에 제시되었다. 기존의 정성적 벡터 표현 방식은 각도 개념을 추가하여 확장되었으며, 이에 따라 방향의 계산을 위해 필요한 정성적 벡터 연산도 확장되었다. 또한 회전운동에 의한 각도의 변화를 분석하는 추론 방식도 기술되었다. 운동에 대한 정성적 추론의 기본 아이디어는 공간에서의 위치와 운동을 상대적인 개념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제안된 이론은 장치의 분석에 사용되어 주어진 연동 장치의 거동을 정확히 예측 할 수 있었다.

  • PDF

수직적 거래관계의 불공정성에 관한 연구;제조업자와 유통업자 관계를 중심으로

  • Im, Chae-Un;Pyeon, Hae-Su;Baek, Seon-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11a
    • /
    • pp.95-108
    • /
    • 2007
  • 본 연구는 수직적 유통거래 관계에서 거래의 불공정성을 발생시키는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모형을 겁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거래의 불공정성의 개념을 도입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향후 거래의 불공정성 연구에 응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시장지배력이론과 거래비용이론을 적용시킴으로서 거래의 불공정성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를 위해 노력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가설을 도출하였으며, 국내 소비재 제조기업 표본 258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제조업체의 브랜드 자산이 높을수록, 거래의 불공정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간의 상대적 의존성이 높을수록 거래의 불공정성은 증가할 것이라고 결과가 도출되었고, 마케팅협력정도가 높을수록 거래의 불공정성은 감소할 것이라고 나타났다. 거래의 불공정성이 증가할수록 관계지속기대감은 감소할 것이며, 거래의 불공정성이 증가할수록 신뢰는 감소할 것이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이론적 시사점, 실무적 시사점, 연구의 한계점 그리고 미래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정상적 모델에 기초한 비교분석 기법의 개발

  • Kim, Hyeon-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497-499
    • /
    • 2005
  • 정성적 추론은 자연 세계에 대한 정성적, 직관적인 지식을 밝혀내어 코드화하는 목표를 갖고 연구되어왔다. 정성적 추론은 전자, 기계 등의 도메인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그 실효성을 입증할 수 있었으나, 대부분의 추론은 시뮬레이션에 집중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주어진 상황에서 변화가 발생했을 때, 이 변화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파급되는지를 예측할 수 있는 정성적 비교분석 기법을 소개하고지 한다. 주어진 상황에 대한 인과모델이 정성적 분야 모델로부터 형성되고 여기에 비교분석 추론 기법을 적용하여 변화의 연쇄적인 인과 관계를 추적하게 된다. 이러한 기법은 변화의 예측 뿐 아니라, 이런 변화를 이끌어낸 인과 관계를 설명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어, 디자인, 진단, 지능형 교육 시스템, 환경 영향평가 등에 이용되리라 기대된다.

  • PDF

LOGIT 분석과 AHP 분석을 이용한 부도예측모형의 비교연구

  • Woo, Chun-Sik;Kim, Kwang-Yong;Kang, Seong-Beom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4 no.2
    • /
    • pp.229-252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실무 및 학계에 종사하는 45명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쌍별비교(pairwise comparision)에 의한 설문조사에서 얻어진 전문가들의 의견을 AHP 분석을 통하여 종합하는 과정을 거쳐 부도예측모형을 설계하여 검증한 뒤, LOGIT모형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 부도예측모형에서 정량적인 정보보다 정성적인 정보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D.Bunn-G.Wright(1991)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LOGIT 모형과 AHP 모형에서 모두 정량적인 정보만을 고려하는 경우보다 정성적인 정보를 함께 고려한 모형에서 부도예측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부도가능성을 예측하는데 있어 정성적인 정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둘째로 AHP를 이용한 부도예측 모형을 설계할 때 각 속성에 대한 전문가(45명)들의 의견을 종합하는 방법으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을 이용한 검증결과에 의하면 기하평균방법을 통하여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라는 실증적 증거를 얻을 수 있었다. 셋째로 Akaike의 기준값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LOGIT 모형은 정량적인 정보와 정성적인 정보를 모두 이용한 모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고, 모형의 부도예측력도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AHP 모형은 정성적인 정보만을 이용한 모형에서 가장 높은 부도예측을을 나타내었으며, 기하평균을 이용한 AHP 모형은 LOGIT 모형보다 항상 높은 부도예측율을 보여주었다.

  • PDF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Mediating Role of Marketing on Customer Satisfaction Focused on the Aviation Service (항공서비스에서 고객 만족에 대한 마케팅 조절 효과 분석)

  • Kim, Joong-Kwan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8 no.3
    • /
    • pp.227-248
    • /
    • 2016
  • World aviation market has been expanded every year caused by improvement of economic level quality of individual life, increase of the development of tourist industry. Aviation companies have compete to develpe the service program for the maintaining of sustainable choice by customer and develop the market sha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customer service strategy which is based on the 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by providing a differentiated service quality. This paper is focusing on the investigation with the mediating role of commitments on customer satisfaction in Aviation company. For this purpose, we do literature reviews, develop research model and conduct an empirical research. The literature review covers theoretical discussion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ore variables for hypothesis setting. This analysis shows the airline service factor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ustomers' satisfaction and re-choice intention.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airlines' systematic management and strategic development on airline service factors for better airlines' customer service.

  • PDF

Color Image Difference Analysis: Quantitative versus Qualitative Methods (칼라 이미지 색차분석: 정량적 및 정성적 방법)

  • Kang, Byoung-Ho;Cho, Maeng-Sub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159-162
    • /
    • 2002
  • 본 논문은 두 이미지간 색차 (Color Difference)를 도출하는 두 가지 방법론, 즉 정량적, 정성적 방법간의 통계적 상관관계분석에 관한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 방법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을 경우 관찰자를 동원하고 상대적으로 많은 자원이 소요되는 정성적 연구를 정량적 차이분석으로 대체할 수 있는가의 가능성을 분석키 위한 것이다.

  • PDF

An Extension Technique of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Qualitative Model (정성적 모델에 기초한 비교분석의 확장 기법)

  • Kim, Hyeon Kyeong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12 no.4
    • /
    • pp.51-60
    • /
    • 2006
  • The goal of qualitative analysis is to capture and formalize qualitative and intuitive knowledge about physical world. Qualitative reasoning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electric and mechanical mechanism domains, in which most of reasoning has focused on simulation. This paper introduces a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technique which predicts how a change in a given situation propagates. We developed a comparative analysis technique which extends previous research by including a reasoning technique about the relative rate of the change of a parameter. Previous research focuses only on the relative change of a parameter. Causal model for the given situation is generated from qualitative domain model. The propagation by the change in causal relations are traced by applying our comparative analysis. By providing explanation as well as prediction for the given change, our technique is expected to be used in design, diagnosis, intelligent tutoring system, environmental evaluation.

  • PDF

A Design of Expert System for Reconstruction of Automobile Collision Accidents (자동차 사고 재구성 전문가 시스템의 설계)

  • 김현경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4 no.2
    • /
    • pp.35-44
    • /
    • 1998
  • 자동차 사고 재구성이란 사고 상황으로부터 가능한 모든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사고 거동 및 원인을 규명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사고 재구성에 직접 적용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범용성의 정성적 충돌 전문가 시스템의 Prototype을 소개한다. 이 시스템은 충돌 전 물체의 운동 방향과 공간에서의 정보가 주어졌을 때, 충돌로 인한 물체의 순간적인 운동을 정성적으로 예측한다. 분야 모델은 정성적 충돌 이론과 정성적 계산을 제공하는 정성적 수학의 지식 베이스로 구성된다. 충돌로 인한 물체의 운동을 해석하는 데 있어, 충돌 전 물체의 운동 방향과 충돌시의 기하학적 배치사이의 상호 작용을 분석하는 것이 그 핵심을 이루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 상호 작용을 밝혀 내어 정성적 표현 방식에 의거하여 해석하는 충돌 이론을 소개하였다. 추론 기관을 설계하는데 있어서는 동력학 정보뿐만 아니라 공간 정보를 추론하기 위한 기법이 제시되었다.

  • PDF

A Methodology for Driver's Comfort Evaluation (운전자의 안락감 평가 방법)

  • 김선웅;박세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171-176
    • /
    • 2002
  • 자동차 시트 시스템의 개발은 주요한 연구 과제가 되어 왔으며, 이러한 분야의 연구들은 일반적으 로 두 개의 형태로 나누어지는데, 그 첫 번째는 자동차 시트의 위치나 인체 측정학적인 요구 조건에 대한 연구이고, 두 번째는 시트의 안락감 성능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후자인 시트의 안락감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론적인 접근을 하고자 한다. 안락감을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정성적인 평가방법과 정량적인 평가 방법이 있다. 과거에는 주로 정성적인 평가방법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정량적인 평가 방법들이 많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평가 방법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각 방법들에 대한 장ㆍ단점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활용하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Faculty Perception of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연구업적 평가에 관한 대학 교수 인식 연구)

  • Yong Hwan, Kim;Ji Hei, Kang;Jongwook, Lee;Younghee, No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6 no.4
    • /
    • pp.309-333
    • /
    • 2022
  • A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erceptions related to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from 2,618 professors. The survey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about two parts. One is a survey of professors' perceptions about the faculty performance evaluation, which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at each university. The other is that we analyzed the perception of the introduction of qualitative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an alternative to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evaluation. As a result, we confirmed followings. Quantitative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is carried out in most universities.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is not appropriate for a department or research field. And an extension of the evaluation period is required. Quantitative evaluation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academic community. Quantitative evaluation needs to be improved. As regard to the introduction of the qualitative evaluation, we confirmed that professors perceived that qualitative evaluation is necessary to evaluate research performance, and they also have negative opinions about introduction of qualitative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