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서 모형

Search Result 36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 Ambivalence on Interpersonal Stres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직장인의 정서표현 양가성이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지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Lee, Hyun-Joo;Chung, Eun-J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9
    • /
    • pp.558-576
    • /
    • 2020
  •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when office worker's emotional expressive ambivalence influences on interpersonal stres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22 office workers from August to September of 2018. SPSS, AMOS and Mplus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verific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ediated effec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emotional expressive ambivalence of self-defense model,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relational emotional expressive ambivalence model. In both self-defense and relational emotional expressive ambivalence model, double mediation effect of passing through support an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pressive ambivalence and interpersonal stress was significant. This study sought ways to reduce interpersonal stress by increasing the level of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nd using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for office workers.

소비자 만족 형성 과정에 대한 감정 반응의 역할

  • 김광수;곽원일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 no.1
    • /
    • pp.2.1-2.38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만족 형성 과정에서 발현되는 소비자의 감정 반응의 역할에 대해 이론적 및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소비자 감정 반응에 관한 선행 연구의 고찰을 통해 소비자 만족 형성 과정에서 발현되는 소비자 감정 반응은 구매라는 사건을 중심으로 기분 상태와 소비 정서라는 주요한 범주로 구분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다음으로 감정과 인지의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 특히 정서의 인지적 평가 이론을 기초로 기존의 기대-불일치 모형에 의한 인지적 과정과 기분 상태→소비 정서의 감정적 과정을 결합하는 연구 모형을 수립하고 확인적 요인 분석과 구조 방정식 모형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 연구 결과 점포 내 기분 상태는 유쾌와 각성, 소비 정서는 긍정적 소비 정서와 부정적 소비 정서의 차원으로 구분되며, 기대가 소비자의 점포 내 기분 상태의 인지적 평가로, 불일치가 소비 정서의 인지적 평가로 간주될 수 있으며, 점포 내 기분 상태가 제품의 성과 판단과 소비 정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PDF

Recognizing Facial Expressions Using a Neural Network (신경망을 이용한 얼굴 표정인식)

  • 신영숙;이일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101-105
    • /
    • 1998
  • 기존의 표정인식 연구는 Ekman의 기본정서모형의 특에 의하여 표정인식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이러한 6가지 기본정서(행복, 놀람, 공포, 분노, 혐오, 슬픔)에 의한 표정인식은 6개 정서 중에서 선택하는 간제 선택법이 아닌 자유응답방식을 택했을때는 훨씬 인식률이 떨어진다. 이는 표정이 기본정서이외에도 여러 가지 미묘한 마음상태를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섬세한 표정인식을 우한 방법으로, 차원모형을 근거로 MLP를 적용한 표정인식을 수행하였다. 차원 모형에 의한 표정은 3가지 차원으로 하나의 표정을 이룬다. 3가지 차원은 쾌-불쾌, 각성-수면과 외부지향-내부지향이다. 3가지 차원을 갖는 각각의 표정은 MLP에 의하여 쾌-불쾌차원 68%, 각성-수면차원 60%, 외부지향-내부지향차원 76%의 인식률을 보였다. 연구결과에서 차원모형에 근거한 표정인식을 통하여 기존의 표정인식을 통하여 기존의 기본정서모형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섬세한 표정인식을 수행할 수 있었다.

  • PDF

The combined system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using Fuzzy Petri net and Neural Network (퍼지페트리네트와 신경망을 이용한 의식.무의식 통합 시스템)

  • 박경숙;박민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311-321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정신분석과 두 종류의 정서이론, 인공지능과 신경회로망 그리고 퍼지 페트리 네트 등을 사용하여 사람의 인지과정을 모방한 인지모형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먼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을 사용하여 정신의 구조를 그래프로 표현한 후 이것을 '마음의 지도'라 명명하였다. 인지모형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첫 번째 작업으로 동적인 추론을 할 수 있는 지능 모델인 KNBN(Kohonen Network based Belief Network)을 제안하였다. KNBN으로 표현한 마음의 약도 내에서 연결강도 값으로 사용할 상대적 데이터를 만들기 위한 근거로서는 '정서'를 사용하였는데, 플라칙의 진화론에 근거한 정서이론과 오토니의 인지적 정서이론을 결합하여 데이터로 만든후 이 수치를 연결강도로 사용하였다. 이 두 개의 정서이론을 결합하는 알고리즘을 만들기 위해 페트리네트를 변형한 퍼지 페트리네트를 제안하였다. 또한 오토니가 주장하는 정서의 인지구조를 사람들이 그대로 이해하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해 정서의 인지구조에 대해 조사하였고 그 결과 값에 근거하여 두 개의 정서이론 결합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이것으로 정서 발화에 대한 상대적인 수치가 산출되었고, 이것을 KNBN으로 표현한 마음의 약도에 결합하기 위해 0과 1사이의 수치로 정규화 하였다. 이렇게 정규화된 데이터를 이용해 인지 모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Convergence and Substitutability: A Case Study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가족관계, 스마트폰의 중독적 사용 및 정서적 문제간의 인과관계 - 전국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모형 검증 -)

  • Bae, Sung Man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2 no.3
    • /
    • pp.36-46
    • /
    • 2015
  • This study verified theoretical model to explain adolescents' addictive use of smartphone. I used the data of 67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mong 2013 internet addiction survey of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NIA). This study util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o compare a suggestive model and alternative model. According to the final model, higher the satisfaction of family relationship, the addictive use of smartphone and emotional problems of adolescents were reduced. And, higher the addictive use of smartphone, higher the emotional problems of adolescents. Also, family relationship affects emotional problems via addictive use of smartphone. While, in the alternative model, path from amount of smartphone use to addictive use of smartphone was not significant.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amily relationship variable may play an antecedent factor of addictive use of smartphone and emotional problems of adolescents and control of smartphone use is important to keeping a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ask value, self-efficacy, goal structure, and academic emotions for promoting self-regulated learning in e-learning course (이러닝 수업에서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제가치, 자기효능감, 수업 성취목표구조, 학업정서 간의 구조적 관계)

  • You, Ji-Wo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5 no.4
    • /
    • pp.61-7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ask value, self-efficacy, classroom goal structure, and academic emotions(enjoyment, fear, boredom) for promoting self-regulated learning in e-learning course. The results showed that task value, self-efficacy, class goal structure influenced academic emotion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nd enjoyment had mediation effects among exogenous variabl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 findings offer implications of facilitating self-regulated learning while considering academic emotions.

  • PDF

The Effect of Savoring Belief on Gratitude: Positive Affect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s a Mediating Variable (향유신념이 감사에 미치는 영향: 긍정정서와 인지적 정서 조절을 매개)

  • Lee, Eun-Sung;Lee, Hee-Ky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2
    • /
    • pp.520-532
    • /
    • 2018
  • Based on advanced research,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savoring belief and gratitude, and identify a model of the mediating mechanisms of positive affect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savoring belief and gratitude. For this purpose, savoring belief, positive affect,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gratitude were measured, among 485 adult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hypothesis and the patterns of variables was confirmed. The results showed that savoring belief, gratitude, positive affect,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ve the positive correlation and savoring belief, gratitude, positive affec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The dual mediation effect by positive affect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as also verified.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are discussed.

Facial Color Control based on Emotion-Color Theory (정서-색채 이론에 기반한 게임 캐릭터의 동적 얼굴 색 제어)

  • Park, Kyu-Ho;Kim, Tae-Yong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2 no.8
    • /
    • pp.1128-1141
    • /
    • 2009
  • Graphical expressions are continuously improving, spurred by the astonishing growth of the game technology industry. Despite such improvements, users are still demanding a more natural gaming environment and true reflections of human emotions. In real life, people can read a person's moods from facial color and expression. Hence, interactive facial colors in game characters provide a deeper level of real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cial color adaptive technique, which is a combination of an emotional model based on human emotion theory, emotional expression pattern using colors of animation contents, and emotional reaction speed function based on human personality theory, as opposed to past methods that expressed emotion through blood flow, pulse, or skin temperature. Experiments show this of expression of the Facial Color Model based on facial color adoptive technique and expression of the animation contents is effective in conveying character emotions. Moreover, the proposed Facial Color Adaptive Technique can be applied not only to 2D games, but to 3D games as well.

  • PDF

Relationship of Avoid Fusion and concentration : Focused on mediative effects of emotion control and thinking control (인지융합과 집중력 간의 관계: 정서조절과 사고조절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Lee, JeongHwa;Son, ChongNa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12
    • /
    • pp.433-440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mediative effects of two factors, emotion control and thinking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 fusion and attention. Participants (308 high school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which contains items to measure some psychological properties such as emotion control (EC), thinking control (TC), avoidance avoid fusion (CF), conceration(Co) and learning attitude(L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showed that 8 of modified 9 path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F to Co and TC, TC to EC, Co, and LA, EC to Co and LA, and Co to LA. Limitations and suggestions were mentioned in the discussion.

Subjective Well-Being in the Workplace: The Role of Work Self-Efficacy and Work Meaningfulness (직장에서의 주관적 안녕감: 업무 효능감과 업무 의미감의 역할)

  • Lee, Jong Man;Oh, Sangj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131-13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업무 효능감/의미감의 역할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긍정 정서, 부정 정서, 삶의 만족과 같은 주관적 안녕감의 구성요인들과 업무 효능감, 업무 의미감으로 구성된 이론모형을 제안하였다. 설문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예상대로 긍정 정서는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부정 정서는 삶의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업무 효능감과 업무 의미감은 긍정/부정 정서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 효능감 및 의미감이 직장인의 행복감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 관리자들이 효과적인 지휘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