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서적 안정

Search Result 243,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for Noncommissioned Officer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Coworker Support and Emotional Stability (부사관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간의 관계 : 동료 지지와 정서적 안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Lee, Ja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3
    • /
    • pp.243-24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coworker support, emotional stability and burnout,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worker support and emotional stability. A total of 212 noncommissioned officers were interviewed and correlation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applied to the resulting data. As a result, the job str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worker support, emotional stability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and coworker support and emotional stabilit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In addition, coworker support and emotional stability were partially mediated by job stress and burnout. However,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the double med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showed that the emotional stability of job stress was partially mediated directly by burnout, and that coworker support was mediated by burnout only through emotional st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Factors Affecting the Mental Health of Nurse's Aides (간호조무사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Kim, Mi-Jin;Choe, Myeong-Hui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4
    • /
    • pp.359-367
    • /
    • 2020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mental health of nursing aides. The subjects were 227 nursing aides working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outh Korea,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in October 2019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mental health of nursing aides were emotion st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occupational stress, and subjective perception of physical health, and their explanatory power for mental health was 64.6%.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emotion st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occupational stress, and subjective perception of physical health in order to improve mental health of nursing aides.

A Study on the Adjustment of Offspring of Alcoholics in the United States: A Test of Theoretical Model (미국내 알콜중독자 자녀들이 적응도에 관한연구 : 이론적 모델 테스트)

  • 장진경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118-128
    • /
    • 1994
  •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콜중독가정에서 성장한 성인자녀들의 적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해줄 수 있는 이론적 인과관계모델을 개발하고 그 모델의 적합 성(fit of the model)에 대해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인과관계모델은 가족 체계이론 대응이론 사회지원이론, 그리고 사회학습이론에 기초를 두고 개발되었다. 본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이론적 인과관계모델은 표보의 특성을 좀 더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고 모델의 적합 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수정된 인과관계모델을 바탕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1) 사회적지원의 이용성을 인식하는 성인 자녀들의 경우 정서적으로 불 안정한 상태를 초래했으며 ;2) 사회적지원은 삶에 대한 적응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3) 정서적으로 안정된 성인자녀들의 경우 글의 삶에 좀 더나은 적응도를 나타내는데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사회적지원과 성인자녀들의 정서적 상태간의 부정적 인관관계에 대해 논의 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현장에서의 실제 활용에 대해서도 논의 되었다.

  • PDF

Influence of Integrared Aets Education thaw in senti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통합예술교육 초등학생의 정서변화에 미치는 효과 연구)

  • Kim, you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27-128
    • /
    • 2012
  • 본 연구는 학제간 융합 및 통합예술교육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통합예술교육이 초등학생의 건강한 정서변화 연구에 초점을 두었다. 여기서 정서변화란 정서 표현력, 정서적 안정성, 정서 조절능력을 뜻한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로서, 실제사례를 통한 참여자의 심층면담자료 검토와 자기보고서 분석을 제시하여 결과의 객관성을 확보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첫째, 통합예술교육 수업을 통해 건강한 정서 표현력이 함양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상대방의 정서적 표현을 이해하고 민감하게 반응하는 정서적 조절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셋째, 암기위주의 습득식 예술교육이 아닌 통합예술교육은 참여 학생들의 예술적 정서를 높이는데 큰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motional Experience of Married Migrant Women (결혼이주여성의 정서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Cho, Mi Jin;Kim, Hyun Ji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1
    • /
    • pp.191-199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 depth the emotional experiences experienced by marriage migrant women.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Korean migrant women who could speak Korea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Research shows that 'parents are comfortable, trying to live more actively', 'because they are faithful to their homes because of their husband's support', 'being emotionally comforted and living more positively', 'joy of experiencing God's help' Reconciled to being emotionally resilient and well-to-be with their husbands and those around them,' 'does not hold family work due to emotional anxiety', 'resulting in resentment and conflict between them and their husbands.' Eight categories of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emotional experienc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show that they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them to adapt and live emotionally well.

Development of Psychophysiological Indices for Discrete Emotions (정서의 심리적.생리적 측정 및 지표개발: 기본정서 구분 모델)

  • 이경화;이임갑;손진훈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2
    • /
    • pp.43-52
    • /
    • 1999
  • 정서는 생리적 반응을 수반하는 주관적인 경험이다. 뇌파와 자율신경계 반응의 차이에 의한 기본정서 구분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1) 여섯 기본정서를 뚜렷하게 유발하는 정서자극을 선정하고, 이를 사용하여 2) 기본정서를 구분할 수 있는 심리생리적 복합 지표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국제정서사진체계에서 여섯 기본정서 (행복, 슬픔, 분노, 혐오, 공포, 놀람) 각각을 신뢰롭게 유발하는 여섯 쌍의 슬라이드를 선택하였다. 슬라이드 제시에 의하여 유발되는 뇌파, 심전도, 호흡, 피부전기반응을 기록하여 분석/비교하였다.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뇌파의 상태적 출현량, 심박률, 호흡률, 피부전도반응은 안정상태와 정서상태간의 비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뇌파분석결과에서는 theta (F4, 01), slow alpha (F3, F4), fast alpha (O2), fast beta (F4, O2)파의 상대적 출현량 변화값이 일부 정서들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자율신경계 분석결과에서는 심박률, 호흡률, 피부전도반응이 일부 정서들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들 결과를 토대로 기본정서를 특정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심리생리적 복합 지표 모델을 구성하였다. 네 기본정서 (공포, 혐오, 슬픔, 분노)는 뇌파와 자율신경계 반응패턴에 의한 구분이 가능하였으나, 행복과 놀람은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심리생리지표에 의한 최종 구분이 불가능하였다. 여섯 기본정서를 모두 구분할 수 있는 적절한 지표를 찾아내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PDF

충청일부지역 남녀 중학생의 음주실태와 음주행동

  • 정은희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4.05a
    • /
    • pp.401.1-401
    • /
    • 2004
  • 우리나라는 음주에 대해 비교적 관대한 정서적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청소년 음주도 흡연이나 약물 등 다른 비행에 비교해 본다면 상대적으로 경미하다고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청소년 음주행위는 건강에 해로운 또 다른 약물과 물질의 오ㆍ남용을 불러오는 길잡이 노릇을 하며, 정서적으로 안정되지 못하고 심리적 갈등이 유발되기 쉬운 청소년기에 흥분이나 거친 행동 등 각종 비행의 원인이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 시기에 잘못 길들여진 음주 습관은 일생동안 계속되고, 후에 술로 인한 질병에 걸리거나 알코올 의존자가 되어 일생을 그르칠 가능성이 높다.(중략)

  • PDF

The Effects of Campus Forest Therapy Program on University Students Emotional Stability and Positive Thinking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안정과 긍정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Lee, Ju-Eun;Shin, Won-Sop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3 no.6
    • /
    • pp.748-757
    • /
    • 2019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rest therapy programs using school forest on the emotional stability and positive thinking of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led group, and the number of subjects in each group was 35 and 25, respectively. The fores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from 4 September to 12 December in 2018 for a total of 8 sessions, and each session lasted two hours (120 minutes). The subjects were examined in the emotional state and positive thinking before and after the forest therapy program.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emotional stability and positive thinking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 conducted a paired t-test and analyzed the data with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tabilize emotional state and positive thinking. This study shows that forest therapy programs using school forests have an effect on students' emotions and positive thinking. Thus,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forest therapy program as an alternative activity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of Factors Influenced on Life Satisfaction of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알코올 중독가정 성인자녀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장진경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2 no.2
    • /
    • pp.109-128
    • /
    • 1994
  •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 중독 가정내에서 성장한 성인자녀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간의 인간관계를 설명해 줄수 있는 원인-결과 모델을 개발하고 그모델의 적합성에 대해 연구되어졌다. 본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회적 지원의 활용성 정도에 대한 인식이 높은 자녀들의 경우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를 보이는 경향이 있으며 ;2) 사회적 지원의 활용성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은 성인자녀들의 경우 어려운 상황을 잘 극복해 나가는 성향을 보여Th ; 3) 위기 대처 능력이 뛰어난 성인자녀들의 경우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마지막으로 4) 정서적으로 안정된 성인자녀들의 경우 그들의 삶에 대한 적응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사회적지원과 성인자녀들의 정서적 상태간의 부정적 상관관계에 대해 논의 되었으며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의 연구방향 및 상담현장에서 본 연구내용의 실제활용등에 대해서도 논의되었다.

  • PDF

The Mediation Effect of Trust in Homeroom Teacher in the Relationship of his Transformation Leadership and the Students' Emotional Stability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생의 정서적 안정감 관계에서 담임교사신뢰의 매개효과)

  • Lee, Joo-Y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12
    • /
    • pp.426-440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the teacher's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room teacher's transformative leadership and the students' emotional stability from the organizational perspective. For this, the data from 290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ransformative leadership of the homeroom teacher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trust of the leader. In addition, the teacher's trust in the leader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learner's emotional stabilit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learner's emotional stability.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meroom teacher's transformative leadership and the learner's emotional stability, teacher trust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objectively verified what kind of leadership the homeroom teacher should aim for in order to operate the classroom as the peripheral unit of the school organization, and what emotional and psychological effects such leadership can have on students who are members of the orga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