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서적 상호작용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31초

유치원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 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직전문성 인식의 순차적 매개효과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Efficacy Belief about Play and Professional Recognition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 정미라;김세경;김민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37-157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efficacy belief about play and professional recognition. Participants were 268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in Gyeonggi area.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the SPSS 21.0 and Mplus 6.12 program.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gard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 single mediation effect of efficacy belief about play is significant. But there is no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the professional recognition. Second, in regards to the pathway from emotional intelligence to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professional recognition precedent mediation model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efficacy belief about the play precedent mediation model i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a concluding discussion was made regarding methods toward enhancing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

영아교사의 능동적 직업선택동기가 영아와의 상호작용 질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Active Motivation for Choosing a Profession on the Quality of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Toddlers: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Emotional Dysregulation)

  • 양수진;신나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17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active motivation for choosing a profession on the quality of their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toddlers,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ir emotional dysregula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hildcare teachers working with infants and toddlers. A mobile survey was conducted and a total of 282 sets of results have been collected. Moderating effects have been explored with the use of PROCESS Macro (version 3.5) Model 1. Results: The main findings showed that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dysregulation played a moderating role in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active motivation on the quality of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toddl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ability of childcare teachers working with infants and toddlers to regulate their emotions can simultaneously play a role as a protective factor as well as a risk factor for the quality of interaction. Also, it was revealed that is necessary to give pre-service teachers an opportunity to deliberate on their motivations for a childcare teacher position.

럭셔리 패션 브랜드 인스타그램 계정 이용 동기가 소비자 몰입, 즐거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sage motivation of luxury fashion brands' Instagram on flow, enjoyment, and purchase intention)

  • 이은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405-41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이용과 충족 이론 토대로 럭셔리 패션 브랜드 인스타그램 계정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이용 동기를 분류하고 이용 동기에 따라 경험하게 되는 몰입 상태의 즐거움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럭셔리 패션 브랜드 인스타그램 이용 동기는 몰입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상호작용 동기, 정보적 동기, 유희적 동기 순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동기 중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동기가 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럭셔리 패션 브랜드 인스타그램 계정 이용 시 소비자의 몰입상태가 즐거움과 같은 긍정적 정서를 유발하여, 이는 구매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럭셔리 패션 브랜드 인스타그램 계정 이용자 특성인 연령대는 정보적 이용동기와 몰입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 조절효과를 가졌고 유희적 이용동기와는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주요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활용되는 인스타그램 계정의 이용과 관련된 소비자 심리에 대한 실증적 결과를 얻었고, 이는 기존 관련 선행연구 흐름에 기여했다.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특성 및 의식이 브랜드 커뮤니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the Online Brand Community's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 on the Brand Community)

  • 김상진;이상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165-174
    • /
    • 2012
  • 온라인 커뮤니티는 기업이 고객과의 관계형성, 유지, 발전을 위해 중요한 방법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특성 및 의식이 소비자 커뮤니티의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였다.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특성 요인으로 커뮤니티 명성, 사회적 실재감, 즐거움, 상호작용성을 고려하였다.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의식으로는 멤버십, 영향력, 정서적 유대, 욕구의 충족을 구성변수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는 고객과 브랜드와의 관계를 공고히 하여 브랜드 자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결국 고객과 기업 관계를 발전시켜 기업에게 경쟁적 우위와 전략적 자원의 원천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절초점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 대한 연령의 조절효과 분석 (Examin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y focus and happiness)

  • 곽윤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90-199
    • /
    • 2017
  • 의료 기술의 발달로 수명이 연장됨으로써 노년기에 어떻게 행복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런데 연령대에 따라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유형이나 행복에 대한 변인의 영향력이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실증적으로 조사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선행연구를 통해 조절초점 중 '향상초점'을 활용하는 개인이 '방어초점'을 활용하는 개인보다 대체로 행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절초점의 영향이 사람의 전생애동안 모든 연령대에 걸쳐서 유효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거주지역과 연령대별로 성인 125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표집을 구성하고 연령이 조절초점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 대해 유의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향상초점과 연령은 주관적 행복감에 대해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를 가진 것이 발견되었으나, 방어초점과 연령은 유의한 상호작용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향상초점이 삶의 만족도와 정서균형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더 강해지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노년기에 능동적으로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자발적으로 동기를 부여하며 성취감을 느끼는 등 향상초점을 활용하는 것이 주관적 행복감을 경험하는 데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원체제의 구축을 통해 노인의 향상초점을 활성화할 것을 제안한다.

소아청소년정신과영역의 새로운 항우울제 (NEW ANTIDEPRESSANTS I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이수정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4권1호
    • /
    • pp.12-25
    • /
    • 2003
  • 새로운 항우울제가 다량 개발되어 임상에 도입되면서 항우울제의 약리 작용에 대한 이해도 넓어졌다. 그에 따라 얻어진 새로운 정보와 이론을 소아청소년기 우울증 치료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소아청소년기 최신지견에 따라 합리적인 우울증 치료 지침 마련을 위하여 고려하여야 할 주요 사항들과 새로운 항우울제의 특징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자문헌 데이터베이스 검색 도구를 사용하여'new', 'antidepressant', 'children'의 검색어로 얻어진 97개 고찰 문헌 가운데 특히 치료 지침과 새로운 항우울제의 정신약리작용에 관한 것을 선별하여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아울러 새로운 항우울제 각 약물에 대한 치료 효과에 대한 문헌을 추가로 선택 참고하였다. 또 약물상호 작용과 안전성에 관하여 미국 식품보건국과 보건후생부의 공식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문헌을 참고하였다. 1) 우울 장애의 임상 경과, 치료 기간, 및 치료 효과는 성인기 치료 지침에서 제시된 바를 채택한 경우가 많았다. 2) 소아청소년기 우울증에 대한 항우울제의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는 TCA가 효과와 부작용에서 SSRI보다 뒤져서 소아청소년 우울장애의 일차 치료제로 권장 된다. 3) 새로운 항우울제는 아직 소아청소년에게 치료 경험과 임상 연구 결과가 부족하다. 4) SSRI와 새로운 항우울제들은 두 개 이상을 병용할 때 약동학적 및 약력학적인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다. 5) 소아청소년기 항우울제의 임상적 효과가 성인기와 다른 것은 발달적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겠으나 직접적인 증거가 좀더 쌓일 필요가 있다. 소아청소년기 우울증의 약물 치료 지침은 임상 연구 소견과 임상적 경험을 종합하여 세울 수 있다. 그러나 약물 치료 지침은 임상가가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참고 자료이며 그 목적을 다하기 위하여 새로운 연구 결과가 있을 때 마다 새로 개정 되어야 할 것이다. 중 외톨이-왕따에 해당되는 청소년의 어머니는 비외톨이 청소년의 어머니보다 자녀들의 사고 문제 및 우울/불안 등의 정서적 문제를 더 높게 평가하였다. 그러나, 자녀들에 대한 양육 태도에 대해서는 차이를 두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 보다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강압적인 양육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아동에 대한 역기능적 사고 및 양육 효능감을 다루어야 할 뿐 아니라, 부모의 우울감을 치료 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순차처리항목과 계산능력에서 유의하게 높았고(p<.05), KEDI-WISC를 이용한 평가에서는 ADHD- HI형은 대상수가 소수여서 비교할 수 없었으며, ADHD-C형과 ADHD-Ⅰ형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CPT, WCST, SST를 이용한 신경심리학적 실행기능의 비교에서 아형간 계량적인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 론:결론적으로 ADHD 세 아형은 임상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지만, 실행기능상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향후 보다 잘 고안 된 연구와 발달중인 아동에 적절한 신경심리 평가 도구의 개발을 통해 결과를 보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었으나, 주의력에서는 전두엽의 실행능력(executive function)과 관련되는 검사들에서 산소흡입이 특이한 효과를 보여준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기억능력에서는 단기기억능력 평가에서 산소흡입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한 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산소흡입이 전두엽과 관련된 수행능력, 작동기억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생각된다.증 1명(5%)이었다. 모든 대상 아동이 주 진단 이외의 2∼6개 이상의 다양한 공존진단을 보였다. 공존진단에는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 우울병, 경계선지능 및 정신지체, 학습장애,

  • PDF

임신부의 정보추구 경험 - 정보추구의 구조와 과정 - (Pregnant Women's Information Seeking Experience : Structure and Process of Information Seeking)

  • 김갑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3-37
    • /
    • 2006
  • 본 연구는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임신부들의 정보추구경험과 관련된 제 개념 및 이들 개념들 간의 관계 규명을 통하여 임신부의 정보추구에 관한 구조와 과정을 밝힌 연구이다. 이론적 표집에 의해 16명의 임신부들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면담을 수행하였고. 면담데이타는 근거이론의 지속적인 비교분석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임신부의 정보추구의 발생원인은 임신의 수용으로 나타났다. 임신부들은 지각된 불안과 궁금증의 맥락에서 임신의 정상상태 유지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산전 진단데이타 추구하기. 표준지식 추구하기, 경험담 추구하기와 정서적 지지 추구하기의 작용/상호작용적 정보추구 전략을 취하였으며, 비교하기, 맥락화 하기, 확인하기의 정보추구의 과정들을 거쳐 갔다. 이때, 정보 획득방법 인지, 임신 출산의 선행지식, 자아조절, 정보접근환경이 중재조건으로 작용하였다. 그 결과 충족과 불충족을 경험하였다. 또한 임신부들은 임신의 과정동안 정보요구의 변화 발전에 따라, 수용국면, 적응국면, 구체국면, 전환국면을 통과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밝혀진 정보추구의 구조와 과정을 통합하여 임신부의 정보추구행위를 총체적으로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인간의 선악을 보여주는 영상은 자신과 타인에 대한 도덕적 판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Effects of Videos about Good and Evil on Moral Judgments Regarding Self and Others)

  • 김신우;이원섭;이형철
    • 감성과학
    • /
    • 제22권2호
    • /
    • pp.29-36
    • /
    • 2019
  • 기존 연구들은 도덕적 판단이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받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혐오감이 도덕적 엄격함을 유도하며, 도덕적 처벌에 대한 청중효과는 이를 보여주는 예들이다. 도덕적 판단이 유동적이라는 것은 강한 정서적, 인지적 효과를 가진 영상자극이 도덕적 판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지게 한다. 긍정영상이 도덕적 행동을 촉진한다는 것을 보여준 연구들은 일부 존재하지만(Schnall, Roper, & Fessler, 2010), 부정영상이 도덕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인간의 선함과 악함을 보여주는 영상이 자신과 타인에 대한 도덕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참가자들에게 인간의 긍정 혹은 부정적인 면을 보여주는 영상을 시청하게 한 다음, 자신 혹은 타인의 도덕적 위반행위의 옳고 그름에 대해 판단하게 하였다. 그 결과 영상의 내용(긍정, 부정)과 행위주체(자신, 타인) 모두 도덕적 판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두 요인간의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다. 특히 인간의 악함을 보여주는 영상을 시청한 경우 참가자들은 타인의 도덕적 위반행위를 더욱 가혹하게 판단하였다. 이 결과는 영상의 내용이 도덕적 판단에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이 행위주체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덕적 혐오, 프레이밍 효과, 기본적 귀인오류에 근거하여 이 결과를 해석하였다.

감성판단에 대한 SOM(States of Mind) 모형 : 긍정적/부정적 정보의 비대칭성 (SOM(State of Mind) Model for Emotional Judgement Asymmetry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Information)

  • 임승락;김지혜
    • 감성과학
    • /
    • 제4권2호
    • /
    • pp.69-77
    • /
    • 2001
  • 인간의 적응적인 마음상태는 긍정적/부정적 사고의 상호작용에서 자기 고양적인 방향으로 편향된 비대칭성을 가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긍정적/부정적 인지, 정서의 균형에 대한 심리 수학적 모형인 SOM 모형을 감성판단 영역에 적용하여 보았다. ,iOM 모형은 개인이 긍정적, 부정적 감성의 이분법적 판단에 있어서 평균적으로 6B의 비율을 유지한다고 제안하며, 이러한 비율은 고대수학의 .6)0 ,.182의 황금분할비와 일치하는 것이다. 32명의 일반성인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 긍정적/부정적 감성단어에 대한 자기 관련성 평정의 SOM 비율은 .62(SD=.On)로 나타났으며, 우연회상 과제수행의 SOM 비율은 .18(SD=.34)로 이론적 기준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상관분석에서 개인의 10M 비율은 긍정적/부정적 감성단어에 대한 평정과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인지적 균형비의 의미와 감성과학 분야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 PDF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 Reading Therapy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n the Enhanc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 최은실;변호승
    • 한국교육논총
    • /
    • 제41권1호
    • /
    • pp.1-2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소재의 B중학교 1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집단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실험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독서 활동 과정에서 일어난 참여자들 간의 긍정적인 상호 작용과, 참여자 개인이 등장 인물의 행동 및 상황에 정서적으로 반응하여 동일시와 카타르시스를 느끼고 통찰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심리적 변화라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