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서억제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6초

저수준 시각적 특질이 위협 탐지에 미치는 효과: 뱀 탐지 이론의 검증 (Effects of Low-Level Visual Attributes on Threat Detection: Testing the Snake Detection Theory)

  • 김태훈;권다솜;이도준
    • 감성과학
    • /
    • 제23권3호
    • /
    • pp.47-62
    • /
    • 2020
  • 뱀 탐지 이론은 영장류가 천적인 뱀과 경쟁하면서 뱀을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는 시각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고 설명한다. 구체적인 가설 중 하나는 먼지세포 중심의 피질하 시각 경로가 사람으로 하여금 심적 자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자동적으로 뱀의 위협을 탐지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뱀 영상에 대한 인간 참가자의 반응을 공포 표정의 얼굴 및 꽃에 대한 반응과 비교함으로써 뱀 탐지 이론의 가정들을 검토하였다. 참가자들은 원본 영상을 관찰하거나, 원본 영상에서 색상, 밝기와 대비, 공간주파수 에너지 차이를 제거한 변환 영상을 관찰하였다. 실험 1의 참가자들은 각 영상에 대한 정서가와 각성 유발 정도를 평정하였고, 실험 2의 참가자들은 연속점멸억제 절차에서 표적 자극을 탐지하였다. 그 결과, 뱀에 대한 반응은 시각 요인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다. 영상들의 시각적 차이를 제거했을 때, 뱀 영상은 덜 부정적이고 각성을 덜 유발하며 연속점멸억제에서 느리게 탈출하였다. 그에 비해, 다른 범주에 대한 반응은 영상 변환의 영향을 덜 받았다. 특히, 공포 표정의 얼굴은 일관적으로 영상 조건에 상관없이 위협적인 대상으로 평정되었으며 빠르게 탐지되었다. 또한, 실험 1에서 측정한 각성 평정의 변화량과 실험 2에서 측정한 연속점멸억제 탈출 시간의 변화량이 부적 상관을 보였다. 영상 변환 후 각성 평정 점수가 많이 감소한 뱀 영상일수록 탐지반응시간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뱀이 인간 관찰자의 위협 탐지 반응에 미치는 영향이 공포 표정의 얼굴에 비해 제한적이며, 연속점멸억제 탈출 반응과 의식적 평정 반응이 처리 기제를 공유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인간의 뱀 탐지가 무의식적 피질하 시각 경로의 산물이라는 가정에 의문을 제기한다.

남성 성역할이 우리나라 남성들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Male Gender Role and Adjustment of Korean Men)

  • 박수애;조은경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8권2호
    • /
    • pp.77-103
    • /
    • 2002
  • 본 연구는 남성 성역할이 우리나라 남성들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한국형 남성 성역할 척도를 개발하였다. 20대 대학생과 40-50대 중장년 남성들을 대상으로 남성 성역할을 조사하여, 우리나라 남성들이 서구의 남성들과 부분적으로 다른 성역할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서구 남성들의 주요 성역할 요인인 과제지향성이나 성취지향성과 같은 요인들은 본 척도에서 주도성과 성취지향성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에 대한 책임도 공통적인 요인이었다. 반면 서구 남성 성역할의 공격성이나 남성간의 친밀성 거부, 정서 억제성과 같은 요인은 본 연구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남성간의 의리가 우리나라 남성들이 갖고 있는 독특한 남성 성역할로 확인되었다. 연구 2는 한국 남성들이 남성 성역할을 내면화한 수준과 적응간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1에서 개발한 척도와 자아 존중감, 우울증, 정서 표현성 등의 변인을 측정하여 본 결과, 연령 집단 공통으로 주도성 요인이 강할수록 자아 존중감이 높았다. 반면에 우울과의 관계에서는 연령 집단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났는데 20대 대학생은 남성 성역할 총점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낮았던 반면, 중장년 집단에서는 가정에 대한 책임이 강할수록 우울 수준이 높았다. 또한 20대 대학생들에게서는 남성 성역할과 정서 표현성간의 상관이 없었던 반면에 중장년 남성들은 주도성이 강할수록 정서 표현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었다. 20대 대학생들은 주도성이 강할수록 진로 정체감이나 학교 친구간의 적응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정에 대한 책임이 강할수록 진로 정체감이 낮았다. 중장년 남성들은 성취 지향성과 가정에 대한 책임이 강할수록 직업에 대한 불만을 더 갖고 있었던 반면, 주도성과 결혼에 대한 불만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PDF

생태체험 프로그램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Program of Ecological Experience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 강영식;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680-3689
    • /
    • 2010
  • 본 연구는 생태체험 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함으로써 유아들에게 기쁨과 추억을 만들어 주고 스스로 정서지능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도에 소재하는 어린이집 만 5세반 중 두 학급의 어린이 40 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남, 녀 각각 20명씩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구대상인 실험집단 유아들은 생태체험활동의 프로그램을 따라 정한 요일에 5명씩 그룹을 나눠서 관찰하고, 체험하며 실험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생태체험 프로그램 활동은 전반적인 유아정서지능과 하위요인별 자기정서의 이용,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에 있어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자연과의 유기적인 관계형성과 생태 중심의 체험 탐구수업이 실내교육에서 느낄 수 없는 자연 세계의 이해와 자연친화적 태도, 생태위기 인식, 사회적 협력과 더불어 함께 생활하는 태도 기반 형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아들의 정서지능 향상에서 유용한 프로그램임을 입증시켜 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초정밀기술과 옵토메카트로닉스부품의 현황과 과제

  • 한국광학기기협회
    • 광학세계
    • /
    • 통권97호
    • /
    • pp.62-66
    • /
    • 2005
  • 본 고는「특집: 여러 가지 초정밀기술을 응용한 옵토메카트로닉스부품화기술」이라는 주제로 일본 광기술콘택트지 (Vol. 42, No. 12(2004년), 637~641쪽)에 게재됐던 카사이 도시오(河西敏雄)씨가 기고한 내용을 번역, 정리한 것으로 초정밀기술과 옵토메카트로닉스부품의 현황과 과제에 관해 간단히 논하였다. 산업계에서 신문보도등에 의하면 교또의정서의 발효는, 러시아의 기준에 의해 2005년 2월경이라고 한다. 지금까지 앞서간다고 여겨져 왔던 엄한 CO가스의 삭감규제가 드디어 아주 가깝게 대두되었다. 환경문제로 지구온난화를 조금이라도 억제하려는 기업 노력이 추진되어 왔지만, 금후의 초정밀기술 및 옵토메카트로닉스부품·시스템에 대해서도 이를 염두에 둔 새로운 기술전개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아동의 초기 정서성, 양육행동 및 모자녀 애착과 남·여 아동의 행동억제간의 관계 (Behavioral Inhibition as a Function of Child's Early Emotionality, Parenting, and Mother-Child Attachment)

  • 박성은;박성연
    • 아동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9-47
    • /
    • 2001
  • In this study of 79 3- and 4-year-old children, behavioral inhibition was assessed by their preschool teachers; mother-child attachment was assessed by the researchers in home visits; and mothers reported on their parenting and their child's emotionality at 6-12 months of age. Findings were that insecure attachment was related to high child's distress reactions to limitations (negative emotionality) in early infancy and to strong maternal rejection/hostility. Higher maternal sensitivity to child's inhibition was related to more secure attachment. Girls were more highly inhibited than boys. Smiling and laughter (positive emotionality) in early infancy was negatively related to child's inhibited behavior. Maternal sensitivity to child inhibi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child's inhibited behavior.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Engfer's (1993) theory of gender differences in developmental paths into behavioral inhibition.

  • PDF

유아의 성별에 따른 억제 성향 정도가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특성·정서지능의 매개 효과 검증 (Effects of Inhibition on Preschool Adjustment : Soci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Intelligence)

  • 임원신;민성혜
    • 아동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5-174
    • /
    • 2007
  • This study explored effects of inhibited behavior on preschool adjustment a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hibited behavior and preschool adjustment. The Inhibition Questionnaire (Park, 1998), The Social Attribute Checklist (Min, 1997), Emotion Questionnaire (Lee, 1997) and 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Kim, 1996) were administered to 602 preschoolers (322 boys, 280 girls, 4-5 years of age).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Gender differences in adaptation to preschool by inhibited children were affirmed by results showing that inhibited boys have more difficulties adapting to preschool than inhibited girls. Soci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hibited behavior and preschool adjustment.

  • PDF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 체계에 대한 뇌전도와 뇌자도 신호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EG and MEG signals in BAS/BIS)

  • 장승진;신명근;류권규;권혁찬;김원식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1-72
    • /
    • 2009
  • 행동활성화체계(BAS)/ 행동억제체계(BIS)는 서로 독립적이고 구분되는 신경 기저와 작용 방식을 가졌기 때문에 사람들은 이 두 체계에서 각기 독립적인 민감성을 보이리라고 가정할 수 있으며, 개인의 기질이나 성격 특성 및 광범위한 전반적 정서 경험 경향성과도 밀접하게 관련된다고 가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뇌자도(MEG)에서 취득한 신호를 가지고 EEG에서 얻은 신호 및 자기 보고식 질문지를 통한 비교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9명 (male=6, female=3)을 대상으로 EEG/MEG를 수행한 후 BIS/BAS 질문지를 수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자기 보고식 질문지와 EEG/MEG와의 상관관계 및 통계분석을 통하여 EEG와 MEG에서 일치성 및 상관성을 살펴보고 향후 성격 및 감성성향 판단 및 분류에 있어서 MEG의 효용성 측면을 살펴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PDF

중환자실 환자의 물리적 억제대 적용 여부에 따른 신체손상, 정서반응, 우발적 치료기구 자가 제거 발생 비교 (Comparison of Physical Injury, Emotional Response and Unplanned Self-Removal of Medical Devices According to Use of Physical Restraint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 이미미;김금순
    • 임상간호연구
    • /
    • 제18권2호
    • /
    • pp.296-306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the physical injury, emotional response and unplanned self-removal of medical devices in patients with physical restraints and patients not restrained. Methods: Eighty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ICU) of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ty patients made up each group and the group not restrained was matched with the restraint group for age and history of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Data on occurrence of physical injury, intensity of anxiety, stage of agitation and unplanned self-removal of medical devices were collected by observation and medical chart review using a structured instrument. Statistical processing of collected data was done with the SPSS WIN 17.0 program. Results: The physically restrained group experienced more physical injuries and record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anxiety and agitation than the unrestrained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occurrence of unplanned self-removal of medical devices. Conclusion: Results indicate a need for critical care nurses to carefully monitor physical injuries and emotional responses of physically restrained patients an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o prevent adverse effects associated with restraint use. There is also a need to develop patient safety guidelines when using physical restraints.

물리치료사의 정서억제와 직무탈진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Emotional Suppression and Burnout on the Job Satisfaction among Physical Therapists)

  • 배원식;이건철;오혜원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77-187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emotional suppression and burnout on the job satisfaction. Methods: We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216 physical therapists and collected completed questionnaires from 193. We analyzed the data us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s,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were 62.7% male, 43.5% less 30 years old, 31.6% working over 10 years in the hospital. 27.1% participants treated 31 patients or more a day, most(85.5%) participants were regular staff members. 2) Emotional Suppression, exhaustion and diminishe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job satisfaction, the job satisfaction negatively related with the diminished self-efficacy, exhaustion but positively related with the emotional supression. Their power of explanation regarding job satisfaction was 31.2%.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diminished self-efficacy was importantly influenced on the job satisfaction. So this result of the study means that we must improve the stratege for keeping efficient management.

간호사의 치매환자에 대한 공감도 요인구조 탐색 및 모형적합성 검증 (Factor Constructs Exploration and Model Goodness-of-fit Verification of Empathy for Dementia Patient among Nurses)

  • 백경미;이혜경;백종남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87-295
    • /
    • 2020
  • 본 연구는 치매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도 구성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여, 이를 통해 치매환자 간호실무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요양병원에서 치매환자 간호에 종사하는 219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공감도(ECRS)를 이용하여 요인구조 탐색과 확인요인분석(CFA)을 통한 기초모형 추출 및 모형 수정, 모형 적합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사의 치매환자에 대한 공감도는 타인 정서의 수용, 자신의 부정정서 억제, 정서의 교류 및 상호작용 등 3개요인 49개 문항으로 구성요인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한 공감도 측정 도구는 향후 치매환자 간호실무현장에서 간호사의 공감도를 확인하는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