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상조건

검색결과 2,104건 처리시간 0.046초

쿨백-라이블러 정보함수를 이용한 누적노출모형 추정 (An Estimation of Cumulative Exposure Model based on Kullback-Leibler Information Function)

  • 안정향;윤상철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8
    • /
    • 2004
  • 본 논문은 누적노출모형에서 수명시간이 지수분포를 따르고 서로 독립일 때 쿨백-라이블러 정보함수를 이용하여 단계 스트레스 가속수명시험으로부터 얻은 자료로부터 모수의 추정량을 제안하고, 단계 스트레스 가속수명시험의 정상조건에서 편의와 평균제곱오차 관점에서 모의실험을 통하여 Vasicek (1976), Van Es (1992)와 Correa (1995)가 제안한 세가지 추정량들에 대한 소표본 특성을 비교 논의하고자 한다.

  • PDF

작동 수명을 고려한 NREL 1.5MW 급 수평축 풍력터빈 블레이드의 최적설계 (Design Optimization of NREL 1.5MW HAWT considering the operating life)

  • 정지훈;박경현;전상욱;조준호;최선;이동호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60.1-60.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풍력 터빈 블레이드의 다분야 통합 최적 설계를 위하여, 진동하는 비정상 공력하중에 의한 작동 수명을 고려한 최적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최적화 대상으로는 NREL의 1.5MW 급 풍력터빈을 baseline 으로 하였고, NREL의 FAS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발전기의 정격 출력 및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비정상 공력 하중 특성을 분석하였다. 최적화 수행 시 블레이드 형상의 효율적인 구현을 위해 형상모델링 함수를 이용하여 코드 길이와 트위스트 분포를 모델링하였다. 그리고 상용 MDO Framework 인 Piano를 이용하여 블레이드 루트부의 비정상 공력하중 조건을 완화시키는 최적화 설계를 수행하였다. 정격출력을 유지하면서도 Out of Plain 방향의 하중 조건을 개선하여 보다 긴 작동 수명을 기대할 수 있는 블레이드 형상을 설계하였다.

  • PDF

환경 효과를 포함한 가속수명검사 모형을 이용한 추론 (Accelerated life testing data analysis using the model incorporating the random environmental effect)

  • 이석훈;박희창;강현희
    • 응용통계연구
    • /
    • 제9권2호
    • /
    • pp.119-134
    • /
    • 1996
  • 가속수명검사는 시간과 경비를 현실적인 여건에 맞추기 위하여 정상조건보다 열악한(강도가 높은) 조건에서 검사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정상조건에서의 수명분포와 관련된 관심사(기대수명, 신뢰도) 등을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검사 방법이다. 이 연구에서는 고장률이 다른 두 개의 부품이 직렬형으로 구성된 시스템의 가속수명검사 자료를 분석할 때 사용되는 하나의 모형을 제안하고 분석 과정 및 기존의 두 개의 부품이 서로 독립이라고 가정한 모형과 비교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였다. 시스템이 작동될 때 받는 관찰이 가능하지 않은 총체적인 환경의 효과를 동일 시스템내의 두 개의 부품이 공유하게 됨으로써 발생되는 두 부품의 수명의 의존성을 frailty 모형을 이용하여 모형화하였고, 분석 과정에서는 Profile 우도함수를 사용하여 최대 우도 추정 과정에서의 초기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모의실험을 통하여 독립성의 가정을 검토하여 보았다.

  • PDF

정상중력 및 무중력에서의 저변형율 대향류화염의 전산 (Computation of a Low Strain Rate Counterflow Flame in Normal and Zero Gravity)

  • Woe-Chul Park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07-111
    • /
    • 2002
  • 닥트의 두께와 속도 경계조건이 정상중력 및 무중력 상태에서 화염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81%의 질소와 19%의 메탄이 혼합된 가연성가스와 공기의 저변형율 (20 s-1) 대향류 화염을 수치법으로 모사하였다. 정상중력에서는 닥트의 두께와 속도 경계조건에 따라 화염의 위치가 이동함으로써 그 영향이 컸으나, 무중력에서는 그 영향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염구조의 차이는 부력으로 인한 것이고, 따라서 정상중력에서의 측정에서는 닥트 두께와 속도 경계조건의 영향을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수치 기상 모형을 이용한 최대 강수량 산정에 대한 연구 (Study for Estimation of Maximum Precipitation using Numerical Weather Model)

  • 이정훈;김상단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235-235
    • /
    • 2016
  • 댐이나 홍수방지시설과 같은 대규모 수공구조물의 설계 및 평가에는 주로 가능최대강수량(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PMP의 산정은 관측자료의 정상성 가정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기후변화와 같은 비정상성을 고려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대기 프로세스의 비정상성 효과를 반영할 수 있는 물리적 기반의 수치 기상 모형(Numerical Weather Model)을 이용하여 최대강수량(Maximum Precipitation, MP)을 산정하는 접근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례 연구로 대상 극한 강우사상을 식별하고, 식별된 사상들은 지역 대기 모형 중 하나인 WRF를 이용하여 재현된다. 이때, 한국 내의 약 650개의 AWS 자료와 NCEP에서 제공하는 전세계 기상관측자료 및 해수면 온도 자료를 사용하여 초기조건과 경계조건을 개선하고, 총 강수량과 강우의 공간적인 분포를 재현하기 위한 최적 물리옵션을 찾기 위해 다양한 수치실험이 수행된다. 최종적으로 재현된 극한 강우사상은 모형의 경계조건과 수분 최대화의 통해 최대화되어 물리적으로 가능한 최대 강수량을 산정하게 된다. 본 연구는 제한된 강우사상을 대상으로 최대 강수량을 산정하였기 때문에 추후 다양한 강우사상에 대한 연구와 강우의 최대화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지만, 정상성 가정에 의존하지 않는 극한 강우사상 산정에 잠재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 PDF

가압식 분리막을 이용한 Side-Stream MBR 공정의 비정상 운전조건에서 막 오염 저감 (Fouling Mitigation for Pressurized Membrane of Side-Stream MBR Process at Abnormal Operation Condition)

  • 고병곤;나지훈;남덕현;강기훈;이채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23-328
    • /
    • 2016
  • 공기주입형 가압식 MBR 공정은 일반적인 침지식 MBR 공정과 마찬가지로 정상 운전조건에서 막 오염에 대한 제어 및 관리 기술뿐만 아니라 저유량, 저부하 조건과 같은 비정상 운전조건에서도 시설의 운영에 지장이 없도록 막 오염에 대한 제어 대책이 필요하다. $85m^3$/일 규모의 공기주입형 가압식 MBR 실증시설 운영을 통해 공기주입에 의한 분리막 오염 저감효과와 비상 시 운전조건에서 미생물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막 오염 문제를 고찰하였다. 가압식 분리막에서 공기의 주입은 분리막 표면에서 공기방울에 의한 scouring 효과에 의해 TMP 상승 기간을 연장시키고 처리의 안정성과 높은 효율의 플럭스($40L/m^2{\cdot}h$ 이상)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정상 운전조건에서는 생물반응조에 PACl (53 mg/L as Al)을 주입한 경우 19%의 TMP 상승 감소효과가 있었으나 MBR 공정의 비정상 운전조건 지속에 따른 반복적인 PACl의 주입은 질산화 미생물의 활성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궁극적으로 질소 처리효율이 악화될 수 있음을 회분식 배양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생물반응조에 PAC (0.6 g/L)을 주입한 경우에서는 연속운전 5일 동안 TMP 상승 없이 운전 초기 TMP인 $0.2kg/cm^2$을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운전이 가능하였다. 이것은 미생물의 성장 저해조건에서 막 오염 원인물질을 유발하는 EPS와 같은 고분자 물질의 흡착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비정상(非正常) 상태(狀態)의 확산(擴散)모델을 이용한 수분(水分) 경사(傾斜)의 예측(豫測) (II) - 실험적(實驗的) 검증(檢證) - (Estimations of Moisture Profiles During Wood Drying Using an Unsteady-State Diffusion Model (II) - Experimental Verification for Red Oak -)

  • 박정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4권3호
    • /
    • pp.37-44
    • /
    • 1996
  • 포수상태(包水狀態)의 루부라참나무(Quercus rubra) 시험편을 3가지 등온조건(等溫條件)에서 건조한 결과를 비정상상태(非正常狀態)의 확산(擴散)모델로 추정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표면이 충분히 젖은 상태인 건조초기에는 불안정(不安定)한 확산현상(擴散現象)이 관찰되었으나, 함수율(含水率)별 건조속도의 변이를 Fick's의 확산법칙과 비교할 때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실험에서 얻은 건조조건별 건조곡선은 확산모델의 수치해석(數値解析) 결과와 거의 일치하였으며, 같은 평위함수율(平衛含水率) 조건에서 건조온도의 증가는 목재표면 보다 내부의 함수율 변화에 더 크게 영향하여 결과적으로 낮은 온도에서의 건조조건이 목재 내의 수분경사(水分傾斜)를 급하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목재 건조 중의 내부에 발생하는 수분경사를 추정하는데 비정상상태의 확산모델이 모든 함수율 범위에 걸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 PDF

거리의존 해양환경에서의 수중음파전달 모델에 대한 benchmark 시험

  • 성우체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6년도 제11회 수중음향학 학술발표회 논문집 11th Underwater Acoustics Symposium Proceedings
    • /
    • pp.64-68
    • /
    • 1996
  • 수중음파전달 모델은 benchmark 시험을 통해 정확도, 적용범위, 계산시간 등의 성능을 평가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analytic 모델, 정상 모드 모델(normal mode model), 포물선 방정식 모델(parabolic equation model), 가우시안 빔 모델(Gaussian beam model), 스펙트럼 모델(spectral model) 등 거리의존 모델에 대해 benchmark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benchmark 시험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거리의존 해양환경으로 나누어 실시했다 : 1) 해수면과 해저면이 Dirichlet 경계조건인 이상 쐐기 문제(ideal wedge problem), 2) 해수면은 앞서 말한 Dirichlet 경계조건이나 해저면은 전달 손실이 있는 손실 통과 해저면 쐐기 문제(penetrable lossy bottom wedge problem), 3) 해수면은 앞서 말한 Dirichlet 경계조건이고 해저면은 Neumann 경계조건으로 서로 평행이면 음파전달 속도가 거리방향 의존인 경우, 경우 1은 anaytic 모델을 사용하고 경우 2는 정상 모드 모델, 포물선 방정식 모델, 스펙트럼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경우 3에 대해서는 가우시안 빔 모델과 포물선 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였다.

  • PDF

반밀폐된 구획에서 비정상 화재특성 예측을 위한 FDS의 평가 (An Evaluation of FDS for Predicting the Unsteady Fire Characteristics in a Semi-Closed Compartment)

  • 황철홍;문선여;박충화;김종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6
    • /
    • 2011
  • 비정상(unsteady) 화재성장이 발생되는 반밀폐된 구획에서 환기부족화재의 열 및 화학적 특성에 관한 FDS(Fire Dynamics Simulator)의 예측성능 평가가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실규모 ISO 9705 표준 화재실의 출입구 폭이 0.1m로 축소되었으며, spray 노즐을 통해 Heptane 연료유량은 선형적으로 증가되었다. 수치계산에 대한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동일조건에서 수행된 실험결과와의 상세한 비교가 이루어졌다. 적절한 격자계를 이용한 FDS의 결과는 구획 내부의 온도 및 열유속(heat flux)은 비교적 잘 예측하지만, 비정상 CO 및 $CO_2$ 생성특성은 적절히 예측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수행된 유사조건의 정상상태 환기부족 구획화재에 대한 FDS 예측결과와 상반된 것으로서, 반밀폐된 구획화재 모델링에서 FDS를 이용한 비정상 CO 생성특성 예측에 상당한 주위가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