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비계획지구

Search Result 6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Suggestion of Zoning Criteria Based on the Assessment System for River Environment (하천환경 평가체계의 구축에 따른 지구 지정 기준의 검토 및 제안)

  • Chun, Seung-Ho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7 no.6
    • /
    • pp.647-657
    • /
    • 201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view as criteria for zoning at management plan for river restoration, in case of naturalness of river environment and suitability of water friendly activity suggested at assessment system of river environment in Korea. As a result of reviewing law and guidelines concerned, historic & cultural resources used as criteria for preservation zone, it was judged that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as the preservation zone needs to be examined in connection with waterfriendly activity zone. In this study, we propose a sequential evaluation method to distinguish the waterfriendly activity zone by applying suitability of waterfriendly activity reflecting land use social characteristics, followed division of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zone at the first stage by the naturalness of river environment reflecting the natur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application to the test bed, Gap and Yudeung streams. In particular, it was concluded tha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d more clear criteria for the problem that the last criteria for zoning did not reflec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side of stream, or the designation of the excessive water friendly zone. On the other hand, the criteria for designation in this stud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river environments as well as the setting of assessment unit based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rivers, and other legal regulations and local situations should be adjusted and supplemented in administrative procedure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Landscape Management Plans for Zhoucun Ancient Mall in Zibo City, Shandong Province, China (중국 산동성 쯔보시 주촌고상성 역사경관관리계획의 특성)

  • Sun, Shu-Zi;Yang, Geon-Seo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7 no.2
    • /
    • pp.54-65
    • /
    • 2019
  • China government recently tries to preserve not only the famous national historic-culture cities, but also the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due to the damages and destruction of the cities by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urban expansion and the development of tourism industry. Hence, this study chose 'Zhoucun ancient mall' which is one of the hotness of cultural heritage located in a mid-sized city named 'Zhoucun district Zibo city Shandong province' that has continuously cared historical landscapes by the protective policy regarding the city as a historic-culture resource from '80s, and considered the character of the city's development process on how the historical landscapes were well protected. In fact, the protection policy in Zhoucun ancient mall had been started in early '80s, however, the viable plan was established in 2001 entitled 'Historical block protection planning of Zhoucun Da street'. And then, 'Regulatory plan for the ancient mall site of Zhoucun Da street' established in 2008 has expanded the area of the blocks for protection. However, this plan organized area only block-by-block so that the small blocks couldn't have the unity when expanded. Later in 2015, 'Regulation Organization Plan' hastried to expanded the protect-area to solve the unity proble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istorical landscape management plan of Zhoucun in Zibo city has been systematically changed in 2001 after. In other words, this 2001's plans established buffer zones for the maintenance of protected area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n the detailed regulatory plan for 2008 led to a concrete urban management plan. After that, in 2015, it was found that the expansion plan to protect and manage the whole area of Zhoucun disrict is to manage the landscape of the surrounding area including the historical landscape of 'Zhoucun ancient mall'.

A Study on Generating a Coastal Flood Hazard Map (국내 적합한 연안침수지도제작에 관한 연구)

  • 원대희;김계현;박태옥;최현우;곽태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435-440
    • /
    • 2004
  • 연안침수지도는 태풍이나 해일에 의한 연안침수 발생 시 방조제의 월류 및 붕괴로 인한 예상 침수구역을 강우빈도(200년)별로 나타내고, 침수면적과 깊이를 표현한 지도로서 국외 선진국에서 방재형 국토관리 정책결정과 침수피해에 대한 대민 홍보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연안침수에 의한 피해가 나날이 커지고 국토의 개발에 따른 자연 재해가 많아짐에 따라 보다 방재형 국토개발로 국민의 안전과 복리를 증진하고, 연안침수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연안침수지도의 제작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시범지역인 대부도 남부지역의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문헌조사 및 기구축 데이터 확보, 지역의 특성에 맞는 신규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제시하였다. 침수구역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링을 지원하기 위한 정확도와 경제성, 객관성, 현실성이 높은 지형공간자료의 효율적인 구축이 강조되었다.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의 세부 유형은 침수위험구역, 침수경계구역, 침수량 화살표이며, 기존에 구축된 데이터를 활용한 레이어는 해안선, 도로, 건물, 등고선, 등심선, 연안 표고점 측량데이터이다. 연안침수지도는 효율적인 재난관리를 위하여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나아가 주민의 침수에 대한 경각심 고취와 사전 교육, 지방자치단체의 침수위험 관리업무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연안침수지도는 지자체 주민들을 위해 보기 쉽고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제작되었으며, 이를 위해 사진과 삽화를 추가하여 주민들에게 침수피해에 대한 경각심과 이해를 높이는데 중점을 두었다. 유지관리 후 활용체계 정비의 중요성’을 점검하고, ‘변동자료 발생원인의 분석’, ‘명확한 변동자료 입력 근거의 확보’, ‘갱신주체별 역할의 정의 및 유지관리 기준의 설정’, ‘분야별업무 특성을 고려한 관련 기준의 마련 및 타 시스템과 연계되는 항목을 고려한 절차 정의’ 등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유지관리 모델을 기반으로 각 지자체별로 적절한 컨설팅이 진행되고 이에 따라 담당자의 실천이 이루어진다면 지자체 GIS의 투자대비 효과에 대한 기대는 이상이 아닌 현실로 다가오게 될 것이다.가오게 될 것이다. 동일하게 25%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스굴 시추사업은 2008년까지 수행될 계획이며, 시추작업은 2005년까지 완료될 계획이다. 연구 진행과 관련하여, 공동연구의 명분을 높이고 분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시료채취 및 기초자료 획득은 4개국의 연구원이 모여 공동으로 수행한 후의 결과물을 서로 공유하고, 자세한 전문분야 연구는 각 국의 대표기관이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스굴에 대한 제1차 시추작업은 2004년 3월 말에 실시하였다. 시추작업 결과, 약 80m의 시추 코아가 성공적으로 회수되어 현재 러시아 이르쿠츠크 지구화학연구소에 보관중이다. 이 시추코아는 2004년 8월 중순경에 4개국 연구팀원들에 의해 공동으로 기재된 후에 분할될 계획이다. 분할된 시료는 국내로 운반되어 다양한 전문분야별 연구에 이용될 것이다. 한편, 제2차 시추작업은 2004년 12월에서 2005년 2월 사이에 실시될 계획이다. 수백만년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쳐 지구환경변화 기록이 보존되어 있는

  • PDF

Elicitation and Evaluation of Landscape Components for Vitalization of Rural Tourism -Centered on Rural Tourist Attractions of China-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 도출 및 평가 -중국 농촌관광지를 대상으로-)

  • Sun, Chang Juan;Kim, Jong G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6 no.5
    • /
    • pp.937-945
    • /
    • 2016
  • Recently, Rural tourism in China is developing rapidly, however, the rural tourism remains unsatisfactory due to ignoring the landscape aspect which is considered as an integral part for rural tourism. Therefore, we aim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landscape elements on vitalization of rural tourism by evaluation of the landscape elements. To this end, we made a questionnaire survery concerning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landscape elements through factor analysis, and clamp IPA analysis. As the result, 1) Regional product, safety facilities and public parking lots are the primary considerations as primary factor. 2)Traffic facilities and accommodation should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Garbage collection facility, food and beverage facilities, network and electricity facility should be rectified and maintained; Regaining the original nature characteristics of river and lake, Securing the integrity of the visual appreciation by shelter landscape for Sewage Purification. Our study results may provide a basic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rural tourism attractions in China.

A study about Expert's Opinions for Establishing the Korean Disaster Prevention Village (한국형 방재마을 구축을 위한 전문가 의식조사 연구)

  • Lee, Ji-Hyang;Shin, Ki-Beom;Shin, Ho-Joon;Back, Min-Ho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13-113
    • /
    • 2011
  • 방재마을만들기는 지역방재개념을 도입하여 마을단위에서 자치단체와 주민들의 참여를 통해 지역자율 방재의식을 고취시키고, 마을에 조성되어 있는 환경적 영향을 고려하여 재해로 인한 취약요인을 조사하고 취약요인이 유사/인접되어 있는 마을을 대상으로 취약요인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재해예방사업의 추진이 필요하다. 방재시범마을만들기 구축사업의 계획범위는 동/리 행정구역 단위로 실질적인 생활권 단위로, 생활권 단위에서의 방재관련 사업의 패키지화를 통하여 지역의 자주적 방재역량이 향상되도록 하는 사업으로 현재 방재시범마을은 조성/운영중에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역방재 실무 담당자, 대학교수, 연구원 등 전문가를 대상으로 의식조사를 실시하여 현 실태조사를 토대로 한국형 방재마을 구축 방안에 대해 도출하고자 한다. 전문가 설문결과 현 지역의 방재대책은 전반적으로 미미하며, 구조적인 부분과 비구조적인 부분 모두 보강되어야함을 알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지역주민의 방재에 대한 관심부분은 상당히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방재마을이라는 사업의 이미지는 대부분의 응답자가 재해위험지구의 정비사업 혹은 지역단위의 종합적 방재대책이라는 의견이 다수였으며, 방재마을 전반에 대한 의견으로는 지자체의 추진의지, 방재마을관련 법 제도 정비, 사업예산의 지속적인 확보, 방재마을 홍보 및 주민참여 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지자체의 추진의지가 어느 정도냐에 따라 사업의 형태를 갖추고 성공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사업이 추진될 수 있는 방안 및 사업의 안정적 확보방안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한국형 방재마을 조성을 위해서는 주민참여가 바탕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방재마을 사업을 시민들의 풀뿌리 방재활동과 연계하여 추진하는 것도 요구된다.

  • PDF

Application of HEC-RAS Model for Flood Analysis (홍수해석을 위한 HEC-RAS 모형의 적용)

  • Hwang, Shin Bum;Min, Sang Ki;Kim, Sang Ho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00-100
    • /
    • 2011
  • 최근 지구온난화와 같은 기상이변으로 인하여 많은 재해가 유발되고 있으며, 태풍이나 집중호우와 같은 강우현상으로 하천의 범람 등의 홍수피해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하천에서의 홍수 피해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홍수 예 경보 시스템의 구축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74년부터 한강홍수통제소에서 홍수 예 경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남한강 유역의 경우 북한강보다 유역면적은 1.6배 넓지만 홍수조절능력을 지닌 구조물로는 충주댐이 유일하며, 충주댐의 저수량은 북한강의 소양강댐보다도 적기 때문에 북한강보다 홍수의 위험이 더 높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충주댐에서의 저수위와 방류량은 남한강 유역의 홍수발생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며, 실제로 2006년 집중호우 당시 상류의 단양지역과 하류의 여주지역에서는 충주댐의 저수위와 방류량 운영을 두고 많은 논쟁이 야기된 적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남한강 유역의 홍수 예 경보 활용을 위하여 HEC-RAS 모형을 이용한 수리학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수리학적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하도측량 자료와 하천정비기본계획서를 이용하여 모형의 단면을 구축하였다. 또한 모형의 정확성을 위하여 최근 가장 큰 홍수피해가 발생한 2006년 홍수사상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의 보정을 실시하였으며, 적용성과 신뢰성 검토를 위하여 2003년~2005년, 2007년~2008년에 발생한 홍수사상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 PDF

Automatic Rainfall and Waterlevel Downstream Flood Warning Techniques using Data Mining Techniques (Data Mining 기법을 이용한 자동우량과 자동수위에 의한 하류 홍수예경보 기법)

  • Choi, Chang-Jin;Lee, Jeong-Hun;Yeo, Un-Ki;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96-300
    • /
    • 2012
  • 최근 지구 온난화에 따른 이상 기후변화로 인해 게릴라성 집중호우와 같은 다양한 강우패턴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집중호우의 빈도 및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피해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하도의 정비, 댐 건설, 제방의 증고와 같은 구조적인 대책과 홍수예경보, 홍수보험, 통합홍수관리와 같은 비구조적인 대책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미래 기후변화에 대한 예측의 한계와 구조적 대책의 물리적 한계를 감안할 때 구조적 대책에 의한 방법만으로 변화하는 기후에 대응하여 홍수재해를 완벽하게 대처하기에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비구조적 대책에 의한 홍수피해저감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수문개발계획 대표유역인 낙동강유역에 위치한 위천유역을 연구대상으로 선택하였고 이러한 중소규모의 유역에서 홍수예경보의 한계를 극복하고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홍수유출시에 일어나는 유역내의 복잡한 물리적인 현상을 직접 고려하지 않고 입력자료와 출력자료의 관계로부터 학습과 추론을 통해 결론을 도출해내는 신경망, 퍼지, 유전자 알고리즘과 같은 Date Mining 기법을 사용하여 자동우량과 자동수위에 의한 하류 홍수예경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수위를 예측하였다.

  • PDF

A Study 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Joseon Royal Tomb's System - Focused on Joseon Royal Tombs Under the Eastern District Management Office - (조선왕릉의 능제보존관리에 관한 연구 - 동부지구관리소 산하 조선왕릉을 중심으로 -)

  • Choi, Jong-Hee;Lee, Chang-Hwan;Hwang, Kyu-Man;Kim, Kyu-Ye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3
    • /
    • pp.75-8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ethods of the Joseon Royal Tombs under the Eastern District Management Office.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we understood the process of change of Joseon royal tombs, and through field surveys and interviews, we understood the status of the interior and the surrounding area. In this process, topography, land use and flow of human traffic, architecture and stone objects, water system, historical forests, and facilities were set as the main evaluation indicators. Urbanization has damaged the original terrains of Royal Tombs as national roads, buildings and facilities have constructed in the inner and outer area of Joseon Royal Tombs. Construction of underground passage, land purchase, relocation and demolition of the buildings are required for the conservation of the Royal Tombs area, and then it is necessary to recover the original terrain. In the case of land use and pathways, there are many disconnection of the original ritual circulation, they should be maintained to remind the sacred atmosphere of the royal tomb. And It is necessary to collect accurate information on the lost buildings and stoneworks through literature survey and excavation investigation, and that investigations should be lead to the exposure or restoration of the ruins. Historical forests require periodic and ongoing monitoring and management,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new entrance area and appropriate facilities following the long-Term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These plans should be classified into short, medium and long-Term projects according to urgency and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with a long perspective to implement continuous and systematic projects.

Policy assessment of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mprovement Project for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 Multipurpose Rural Water Development Project in Pangyo District -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정책효과 분석 - 판교지구 다목적 농촌용수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 Kim, Soo-Jin;Bae, Seung-Jong;Yoo, Seunghwan;Kim, Yoonhyung;Yoon, Sungeun;Kim, Jeongh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27 no.1
    • /
    • pp.21-28
    • /
    • 2021
  • Since 2001, the Pangyo district multipurpose rural water development project has been promoted as a new target project for stable supply of agricultural water and improvement of the living environment of rural areas in Seocheon-gun. Detailed data analysis and logic must be reinforced, focusing on the items reorganized by the reorganization of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smooth promotion of projects by conducting a policy effect assessment following the reorganization of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system. This study conducted a policy assessment of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mprovement project for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The policy assessment is divided into three parts: project implementation conditions, policy effects and special assessments. The newly established policy effect is to assess the job effects, living conditions impact, environmental evaluation, and safety evaluation that contribute to the quality of life. Sixteen policy assessment items were selected and evaluat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comprehensive judgment of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of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mprovement project in the future.

Evaluation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within Detached Housing Areas in Pangyo City - Focusing on the Mixed use Housing Areas (가구내부 공유외부공지의 조성실태에 관한 연구 - 서판교 점포주택지를 중심으로)

  • Park, Kyung Seo;Kang, Jun M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6 no.1
    • /
    • pp.157-167
    • /
    • 2016
  • Detached residential housing areas are located in the west part of Pangyo City. Seven areas of them are designated for the displaced residents from their original homes by the city development, in which commercial use on the first floor is permitted. The District Plan for the areas were establishes, and one of its main goals is to secure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POPS). This research conducted a post enumeration survey on the POPS on the blocks in the seven areas, which blocks contain inner corridors between two rows of housing units. Analytical review of the survey result reveals that (1) POPS facing roads are mainly being used as parking lots or expansion-spaces for the commercial use on the first floor, (2) inner POPS forming corridors are being neglected and otherwise being used as storage areas or outdoor sub-kitchen spaces, and (3) no consideration has been taken for the continuity of the sloped corridors. Regardless of a few good practices in terms of air circulation and lighting, the POPS in the blocks prove to be limited in following the plan's original design intentions and princi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