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부주도형 시장화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 Study on the Public Housing Model for Residents' Participation suitable for Smart City (스마트시티에 적합한 주민참여형 공공주택 모델에 관한 연구)

  • Heo, Hak-Soo;Ryu, Gab-Sang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7 no.2
    • /
    • pp.1-6
    • /
    • 2021
  • In recent years, many people are living in a space limited by rapid global industr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and rapid urbanization is underway, with the global urban population estimated to be more than 70 percent in 2050. Due to rapid urbanization, government-led smart city models are being developed and introduced to solve various urban problems such as disaster safety, air pollution, water pollution, energy shortage, disease, crime and transportation. However, since ICT technology of public housing is being developed as a type of social overhead capital project, it is necessary to develop micro-smart city projects that residents can feel by developing services such as public safety, living environment, living welfare, and energy management for public housing resident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smart platform model of public housing for smart cit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planned and presented.

An Empirical Study on Improving Competitiveness of Korean Shipping Industry (한국 해운산업의 경쟁력강화 정책방안에 관한 실증연구)

  • Lee, Choong-Bae;Noh, Jin-Ho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6 no.3
    • /
    • pp.259-278
    • /
    • 2010
  • This study analyzes the achievement of the shipping policies and the priority for the promotion of such policies, in order to consider the features of the shipping industries in Korea and other advanced shipping countries and manage the rapidly changing shipping environment actively. Based on such analysis, this study also discusses the promotional strategy to strengthe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shipping industry. Regarding the promotion of the related polic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base for growth, strengthen a capacity of leading the market, and create an opportunity in the market. By considering such three factors, it has become known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market order is important for the establishment of a base for growth.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advancement of the shipping tax system. Also, the information-orientation and the knowledge-industrialization of the shipping industry need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strengthen a capacity of leading the market, the stable security of the labor force in the shipping industr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lso,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development and the upbringing of the global mega career and the shipping business. Regarding the creation of an opportunity in the market, it is important to expand the range of the shipping exchange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which will influence the administrative and the operative results related with the promotion of the related policies.

e-Navigation 관련 산업현황에 관한 기초연구

  • Choe, Han-Gyu;Gang, Byeong-Jae
    • 선박안전기술공단연구보고서
    • /
    • s.4
    • /
    • pp.1-108
    • /
    • 2007
  • 2007. 7. 23 IMO의 NAV(항해안전전문위원회)53차 회의에서는 e-Navigation을 해상에서의 안전, 보안, 해양환경보호를 목적으로 전자적인 수단에 의해 선박과 육상에서 해양정보를 수집, 교환, 표시함으로써 항구와 항구간의 항해 및 관련된 서비스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2005년 11월 영국의 교통부 장관 Stephen 박사는 Royal Institute ofNavigation에서의 연설에서 해상안전과 환경보호를 위하여 선박의 항해를 감시하는 관제소 및 항행하는 선박에 유용하고 정확한 정보가 더 많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그리고 첨단 기술에 의해 자동화된 항공 항법분야를 예로들면서, 선박의 항법 분야도 항해와 관련된 모든 시설 및 작업을 전자적 수단으로 대체하는 개념인 e-Navigation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영국은 이에 필요한 작업을 주도하겠다는 의견을 피력하였다. Stephen은 e-Navigation 도입으로 얻을 수 있는 이익으로 첫째, 항해 실수로 인한 사고 확률저감, 둘째,사고 발생 시 인명 구조 및 피해 확산을 위한 효율적 대응, 셋째, 전통적인항해시설 설치 불필요로 인한 비용 저감, 넷째 선박입출항 수속의 간편화 및항로의 효율적 운용으로 인한 상업적 이익 등을 들었다. 반면에e-Navigation 체계로 전환 시 예상되는 장애로는 첫째, 체계 구축을 위한 비용(특히 개발도상국가들의 경우 어려움 예상), 둘째, e-Navigation의 성과 달성을 위하여 세계 전 해역의 모든 선박이 e-Navigation 체계에 동참하도록유도하는 문제, 셋째, 전자해도 표시 및 선교 장비들에 대한 표준화 문제, 넷째, 육상에 설치할 e-Navigation 센터의 설계 및 구축 등을 꼽았다.IMO는 2005년 81차 MSC(해사안전위원회) 회의에서 영국이 일본, 마샬아일랜드, 네덜란드, 노르웨이, 싱가포르, 미국과 공동으로 제안한 ‘e-Navigation전략 개발’ 의제를 2006년 82차 MSC 회의에서 채택하고, NAV(항해 전문위원회)를 통하여 2008년까지 e-Navigation의 구체적 개념을 정립하고 향후 개발하여야 할 전략적 비전과 정책을 수립하기로 하였다. 이어서 영국을 의장으로 e-Navigation 전략개발 통신작업반이 구성되었는데, 지난 년간 19개국, 16개 전문기관이 참여하여 아래의 작업이 수행되었다. ○ e-Navigation 개념의 정의와 목적 ○ e-Navigation에 대한 핵심 이슈 및 우선 순위 식별 ○ e-Navigation 개발에 따른 이점과 단점의 식별 ○ IMO 및 회원국 등의 역할 식별 ○ 이행계획을 포함한 추가 개발을 위한 작업계획의 작성 IMO에서 수행되고 있는 e-Navigation 전략 개발 의제 일정은 2008년까지이다. 이 전략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는 e-Navigation이 포함할 서비스범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인프라 및 장비의 식별, 인프라 구축및 운용비용을 부담할 주체에 대한 논의, e-Navigation으로 인한 이익과 투자비용에 대한 비교 분석 등이다. 이 과정에서 정부, 선주, 항만운영자, 선원등의 입장 차이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경제 수준 차이는 전략 개발에있어 큰 어려움을 줄 것이므로, 이들이 합의된 전략을 만들기 위해서는 예정된 기간보다 다소 늦어질 가능성도 있다.e-Navigation 전략 개발이 완료되면 1단계로는 해상교통 관제시스템, 선박선교 장비, 무선 통신장비 등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각국 간에 자국 보유 기술을 표준화시키기 위한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2단계에서는 e-Navigation 체계 하에서의 다양하고 풍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관련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개발이 이루어질 것으로전망되는데, 이는 지난 10년간 육상에서 인터넷망 설치 후 이루어진 관련 서비스 산업의 발전을 돌아보면 쉽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e-Navigation 체계 하에서 선박의 항해는 현재와는 전혀 다른 패러다임으로 바뀔 것이다. 예를 들어 현재 입출항 시 요구되던 복잡한 절차는one-stop 쇼핑 형태로 단순화되고, 현재 선박 중심의 항해에서 육상e-Navigation 센터가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항해 체계로 바뀔 것이며, 해상정보의 공유와 활용이 무선 인터넷을 통해 보다 광범위하게 이루어질 것이 다.e-Navigation의 잠재적 시장 규모는 선박에 새로이 탑재될 지능형 통합 항법시스템 구축과 육상 모니터링 및 지원 시스템 등 직접 시장이 약 50조원,전자해도, 통신장비, 관련 서비스 컨텐츠 등 간접 시장의 규모가 150조원으로 총 200조원으로 대략 추산하고 있다. 향후 이 거대한 시장을 차지하기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금까지 항해 장비 관련 산업은 선진국의일부 업체들에 의해 독점되어 왔다. 우리나라는 조선과 해운에서 모두 선진국임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에서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해 왔다. e-Navigation체계 하에서는 전체 시장이 커지고 장비의 사양이 표준화됨에 따라 어느 소수 업체가 현재처럼 독점하기는 더 이상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e-Navigation은 우리나라도 항해 장비 분야 시장을 차지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조선 1위의 장점을 적극 활용한다면 다른 나라보다우위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분야의 시장은 IT 기술과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IT 강국인 우리나라가 충분한 경쟁력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그러나, EU를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이미 e-Navigation 에 대비한 연구를10여년 전부터 수행해 왔다. 앞에서 언급한 EU의 MarNIS 사업은 현재 거의마무리 단계로 당장 실용화 할 수 있는 수준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늦었지만 우리도 이를 따라잡기 위한 연구를 서둘러야 할 것이다. 국내에서도e-Navigation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2006년에는 관련 산학연 전문가들로 작업반을 구성하여 워크숍 등을 개최한 바 있다. 또한 해양수산부에서도e-Navigation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사업을 기획 추진하고 있다.그러나 현재 항해통신장비들의 기술기준은 ITU의 전파규칙(RR)과 IMO결의 및 SOLAS 협약을 따르고 있는데 이들 규약이나 결의에 대한 국제적인 추이와 비교할 때 국내의 기술은 표준화되지 못한 부분이 많은 실정이다.본 연구에서는 e-Navigation sytem중 표준화가 필요한 요소와 전자해도,AIS 등 e-Navigation(통합전자항법시스템)관련 국내산업현황 실태조사를 통해 국내 e-Navigation기술개발 동향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Concept and Protection System for the Geographical Indication (지리적 표시제도의 의의 및 보호체제 연구)

  • Go, Yong-Bu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3 no.3
    • /
    • pp.165-184
    • /
    • 2007
  • This study reviews the concept and protection system for the geographical Indication(GI) to support the Korea-EU FTA. A geographical indication(GI) is a name or sign used on certain products or which corresponds to a specific geographical indication or origin (eg. a town, region, or country). The use of a GI may act as a certification that the product possesses certain qualities, or enjoys a certain reputation, due to its geographical origin. In the WTO Agreement on Trade-Related Aspect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TRIPS"). There are, in effect, two basic obligations from Article 22 to article 23 on WTO member governments relating to GIs in the TRIPS agreement. Geographical Indications have long been associated with Europe as an entity, where there is a tradition of associating certain food products with particular regions, Under European Union Law, the protected designation of origin system which came into effect in 1992 and 2003 regulates the following geographical indications: Protected designation of origin(PDO) and protected geographical indication(PGI) and Traditional Specialty Guaranteed(TSG). They have 5,000 articles for GI. We have the GI system and 40 articles rotating to registration by the law for quality management of production in agriculture. Cinclusinally, geographical indications could potentially serve as tools to helf holders of trade benefit more equitable through the mutual Acceptance for Korea-EU FTA.

  • PDF

Suggestion of Implications for Korean Textiles and Clothing Apprenticeship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Vocational Education in Korea and Germany (한국과 독일 직업 교육 분석을 통한 한국 섬유·의류 도제교육에 관한 시사점 제안)

  • Lee, Ji-Soo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33 no.4
    • /
    • pp.49-64
    • /
    • 2021
  • Apprenticeship education in Korea started approximately in 2005, and is divided into government-led apprenticeship education and Gyeonggi-do-led apprenticeship education. Apprenticeship education for textile and clothing-related majors in Korea is a very different process compared to Germany, where the country, companies, and schools have cooperated with each other with a long tradition, and there are many points to be supplemented. In order to explore the literature on apprenticeship education in Germany and Korea, and to understand the phenomena or actual conditions that have not been shown in the literatur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o German professors living in South Ko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Germany's long tradition and positive percep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re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apprenticeship education, and it is positioned as a system of education process. Various associations related to apprenticeship education make systematic training manuals, and then distribute certificates to trainees who have completed these courses. Therefore, companies promote the stability of the job market by educating local talents through apprenticeship training to nurture industrial manpower. Currently, in Korea's apprenticeship education, a series of procedures for developing educational courses such as company discovery and job analysis for each company are entirely entrusted to vocational high schools. Therefore, public confidence and solidity in apprenticeship education were found to be insignificant.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cannot confirm a phenomenon that has not been shown in the literature review,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on German literature, and the number of samples interviewed is small. However, if,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 association dedicated to apprenticeship education is created in Korea and a systematic curriculum is developed,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stability of the textile and apparel labor market in the future.

Processes and Outcomes of Creative City Policies: Case Studies on UK-Tech City (창조도시정책의 추진과정과 성과에 대한 연구: 영국의 테크시티 정책을 중심으로)

  • Lee, Byung-mi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4
    • /
    • pp.597-615
    • /
    • 2016
  • Since 1997 the United Kingdom has pursued creative industry and creative city development in accordance with the New Labor Party policy, strengthening its cluster policy by assigning creative city policies to traditional manufacturing-oriented regions. Tech City in London, one of the most successful examples of digital clusters, is an area in which diverse ecosystems for venture business integration have been established, as the once barren space began to spontaneously develop. For this region, systematic linkages including universities, private companies, start-ups, and accelerators have been added, along with the UK government's active support system. As a result of this opportunity, the scale of the UK start-up ecosystem has significantly grown, the number of local companies has surged, and brand effect has greatly improved. Tech City is an example of a well-balanced combination of public effort and private governance, based on the region's historical background and its potential for growth. It is an effective coordination of public policy and private active investment, services, research, and education. The market platform for institutional technology and commercialization, and aggressive investment shares in the risk, have lead to its growth as a start-up and an innovative city. Britain's efforts to expand the nationwide cluster for the future-oriented digital economy is most notewort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