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 활용

Search Result 40,418, Processing Time 0.065 seconds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 지식정보자원의 활용방안 분석;부산지역 시민들을 대상으로

  • Jeong, Chung-Sik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429-434
    • /
    • 2007
  • 이 연구는 공공부문이 구축/관리중인 지식정보자원의 시민활용 실태를 점검하고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지식정보자원의 시민활용성 제고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의 시민 200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인지도/활용도/활용장애요인과 유비쿼터스 기술에 대한 인지도/활용도/유용성을 조사하였고, 향후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공공행정, 교육학술, 사회문화/복지, 생활경제 등 4 대부문 16 개분야 32 개의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시민활용 의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인지도와 활용도는 보통보다 낮은 수준에 있으며, 그 이유로는 개인정보유출에 대한 불안, 지식정보자원 소재에 대한 정보부족, 지식정보자원 활용 비용의 부담 및 활용의 불편 등으로 나타났다. 향후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지식정보자원 활용의향에 대해서는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 교통/기상정보, U-Care 및 U-Health 정보, 금융, 공연예술, 관광여가 등의 정보에 대해서는 높은 의향을 보이나, 실생활과 직접 관련이 적고 전문적인 능력이나 관심이 요구되는 행정정보공개, 정책참여, U-학술연구 등에 대해서는 낮은 의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mand Analysis of Framework Data overlap (기본지리정보 중첩활용 수요분석)

  • Shin, Dong-Bin;Park, S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189-194
    • /
    • 2008
  • 국가지리정보체계의구축및활용등에관한 법률(이하 NGIS법)에 따라 국가GIS의 효과적인 구축 관리 및 활용을 위하여 기본지리정보가 구축되고 있다. 기본지리정보는 국가공간정보기반으로서 기본이 되는 데이터이며, 법적 근거에 따라 중첩활용이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본지리정보 중첩활용성 제고를 위하여 지리정보 중첩활용에 대한 수요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설문 응답자는 민간기업이 38.2%로 가장 많았으며, 교육기관, 정부투자기관, 연구기관,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기본지리정보 활용목적은 기술관련 업무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연구관련 업무용, 부가가치생산용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본지리정보 활용 우선순위는 교통분야가 가장 높았으며, 지적분야, 공간영상분야, 지형분야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본지리정보 상호간 중첩활용수요는 교통분야가 가장 높고, 지적분야, 공간영상분야, 지형분야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본지리정보 상호간 중첩활용 수요에 있어서도 '교통-시설물' 중첩활용수요가 가장 높았으며, '행정구역-교통', '행정구역-지적', '행정구역-시설물'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본지리정보 중첩활용을 위한 요구사항을 1순위부터 5순위까지 조사한 후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산한 결과 데이터품질이 가장 높았으며, 데이터포맷, 데이터모델, 데이터구축지침, 데이터생산사양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요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기본지리정보 중첩활용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범구축 등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상호호환성이 확보된 기본지리정보의 공급이 요구된다.

  • PDF

The Effect of Teacher Librarian's Information Literacy on Library-Assisted Instruction (사서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이 도서관활용수업에 미치는 영향)

  • Lee, Seung-G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1 no.4
    • /
    • pp.161-18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Effect of Teacher Librarian Information Literacy on Library-Assisted Instruction and on searching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Information Literacy.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re i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between the Library-Assisted Instruction and Teacher Librarian's Information Literacy. However the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extremely lacks forming a scheme and Information Literacy extremely lacks Information seeking Therefore subject teachers and the librarian teachers need to reinforce the cooperation to reinvigorate the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and systematic training program of Information seeking have to be practiced to increase Librarian Teacher's Information Literacy.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Jung-Yeoun;Jeong, Dong-Yo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2 no.4 s.58
    • /
    • pp.39-59
    • /
    • 2005
  • This study is aimed to evaluate the undergraduate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examine the current level of their capability of using information, and make a evaluation model to develop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consists of six fields information resources,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search, information analysis, information technology and presentation, and Information ethics. Based on the result of statistic factor analysis, the integrated evaluation model of information literacy, evaluation factor, and evaluation procedure can be suggested based on the instruction guidance.

A Correlation between the Education Gap and Information Literacy (교육격차와 정보활용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 『도서관과 정보생활』교과의 I·II 영역을 중심으로 -)

  • Kang, Bong-Suk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9 no.2
    • /
    • pp.179-19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economic condition of students, that is, the difference of basic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stemming from education gap. First, we investigated information literacy for high school freshmen who can control the difference of information utilization education experience by school. In doing the research, 629 high school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city were surveyed using web. we analyzed the educational gap between schools depending on their economic conditions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 gap and basic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ver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atio of students who get support for school expenses and basic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Second, regression equation was produc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of information literacy regression to analyze the effect of educational gap on basic information literacy. In addition, it seeks to consider alternatives that can improve the inequality of information literacy which is derived from education gap.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the Impact of Self Awareness on Information Literacy and Libraries (정보활용 교육이 도서관과 정보활용능력 자가인식에 미치는 영향)

  • Jung, Young-M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3 no.4
    • /
    • pp.265-280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contributes to change and improvement in university students' self awareness of information literacy and libraries.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which comprised the same questions on information literacy and libraries were executed on 47 students in an information literacy-related regular course at D University. The information literacy-related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 were based on ACRL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Standards for Higher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Excel and SPSS.

A Study of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Using Topic Modeling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정보활용교육 연구주제 분석 및 교육내용 제안)

  • Jihye, Yun;Yoo Kyung, J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9 no.4
    • /
    • pp.1-21
    • /
    • 2022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search topics and suggest an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by analyzing research articles on information literacy. For this purpose, we applied the topic modeling technique to 97 scientific articles and identified the core contents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such as media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and the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suggested an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by considering the Big 6 model,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of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y, and Association of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s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sidered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information ethics' to suggest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 Study on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Affecting on the Learning Effects in th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정보활용능력 교육 효과에 대한 학습자 영향요인 분석)

  • Jung, You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0.08a
    • /
    • pp.139-146
    • /
    • 2010
  • 대학에서 실행되고 있는 정보활용능력 교육에 따른 학습자의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자가인식의 변화는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효과에 영향에 미치는 학습자의 영향 요인을 조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D 대학의 한 학기 교양과목으로 개설되고 있는 정보활용능력 교육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해당과목 수강생 47명의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자가 인식을 교육전과 교육후의 질문지법을 통해 그 변화를 조사 분석하고 이들 학습자의 개인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학습자의 특성에는 인구통계학적인 특성 이외에 유사 교육 프로그램 경험 유무, 도서관에 대한 인식 등이 조사되었다.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자가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들은 ACRL의 고등 교육자를 위한 정보활용능력 평가기준을 참조하였고 사용된 분석도구는 Excel과 SPSS 17.0이다.

  • PDF

A Survey Research on Information Literacy in Public Librarian (공공도서관 사서의 정보활용능력 수준에 대한 실태조사)

  • Shin, Jeonga-A;Nam, You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4.08a
    • /
    • pp.237-242
    • /
    • 2014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의 정보활용능력 수준에 대한 자기인식과 실제 평가를 통해 Big6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공공도서관 사서의 정보활용능력 수준실태를 78명의 사서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연구 결과, 정보요구 영역은 높게, 정보평가 영역에 대해서는 다른 영역보다 낮게 나타났지만 모든 영역에 대해서 평균이상으로 조사되어 사서들의 정보활용교육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정보활용교육 경험여부에 대한 두 집단간의 차이는 정보이용 영역을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n Analysis on Gap of the Ability to Utilize Information Between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현직교원과 예비교사간의 정보활용능력 격차 분석)

  • Kim, Hyung-Jin;Nam, Young-Ho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5 no.6
    • /
    • pp.43-52
    • /
    • 2012
  • The ability to utilize information of learner can do self-directed learning that increases creativity of learner. But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s, if 2009 revision curriculum has to be enforce, the education of information knowledge and literacy is expected to leave the education undone at schools. Therefore the ability of leaners must develop through teaching in all subjects, and so the ability of teachers in the class is very important. We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s about the ability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and analyzed the gap of the ability between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The indexes of total ability of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are shown to be 74.4 points and 50.5 points out of 100. The ability of pre-service teachers is on the level about 68-percent as compared with the ability of in-service teachers. Therefor the education offices of cities and provinces and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es must establish for improvement of the ability of pre-service teach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