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 조직

Search Result 4,670,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The Effect of IT Utilization Level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Differences among Large, Medium and Small-sized Enterprises (대.중.소규모 기업 간 정보기술 활용수준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 Cho, Se-Hyung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4 no.4
    • /
    • pp.183-19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T utilization leve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mong large, medium and small-sized enterprises. This study first assessed the immediate influence of IT utilization level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en further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organizational size and the environmental dynamism that had influen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T utilization leve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empirical test revealed that IT utilization level had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case of all sized enterprises. But, the sub-group analysis revealed that IT utilization level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case of large enterprises despite of higher IT utilization level tha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e relationship between IT utilization leve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not moderated significantly by environmental dynamism in case of all sized enterprises. But, the sub-group analysis revealed that environmental dynamism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T utilization leve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case of large and small-sized enterprises when there was a high level of environmental dynamism.

전자문서교환(EDI) 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특성 및 IS의 성숙도에 관한 연구

  • 문태수;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8.03a
    • /
    • pp.281-290
    • /
    • 1998
  • 본 연구는 IOS를 실현시키는 최근 정보기술 중 EDI를 대상으로 하여 국내 기업의조직적 특성과 기업이 보유한 정보시스템의 성숙도가 ISO의 확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IOS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조직규모, 조직 업종, 분권화, 공식화 등의 조직적 특성변수와 조직이 보유한 정보시스템의 성숙도 변수를 선장하여 각 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과 독립변수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North Korea's cyber organization-related information research (Based on organization status and major attack cases) (북한의 사이버조직 관련 정보 연구 (조직 현황 및 주요 공격사례 중심으로))

  • Kim, Jin G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111-114
    • /
    • 2020
  • 우리나라에 대한 사이버 공격의 배후로 추정되는 북한의 사이버조직에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사이버 공간의 특성상 공격 흔적이 남지 않기에 언론사들은 북한의 사이버조직과 관련하여 일관된 정보를 거의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갈수록 진화하는 북한의 사이버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비록 인터넷에 공개된 자료(논문, 기사 등)라 할지라도 이를 통해서 북한 사이버조직 현황 및 주요 공격사례를 중심으로 관련 정보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Effect of Security Culture on Security Compliance and Knowledge of Employees (조직의 정보보안 문화 형성이 조직 구성원의 보안 지식 및 준수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Hwang, Inho;Kim, Daejin;Kim, Taeha;Kim, Jinsoo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8 no.1
    • /
    • pp.1-23
    • /
    • 2016
  • This study proposes an alternative to minimize insider-caused security threats that are relatively difficult to control and cause high uncertainty in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Therefore,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effort and the security understanding of employees to eventually enhance security compliance intention among employees. We develop a research model and formulate hypotheses on the basis of past findings. Accomplished questionnaires are collected from 526 employees working in organizations where information security policy is being implemented. In addition, we prove the hypotheses using a structural model. After reviewing the structural model, the security knowledge of employees and information security culture are determined to positively influence the security compliance intention of employees. Moreover, top management support, security policy, security visibility, and security education programs are proven to be antecedent factors in establishing a security culture in organiz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guide organizations in formulating information security strategies to enhance the security compliance intention of employees.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Conflict and Job Withdrawal Intention of the Information Security Workers (정보보안 종사자의 조직갈등과 직무이탈 의도에 관한 연구)

  • Kim, Geunhye;Park, Kyudong;Shim, Mina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9 no.2
    • /
    • pp.451-46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nflict stages and job withdrawal intention of information security organizations. We applied Pondy's conflict theory and analyzed the case of information security workers in public enterprises. We found that the more information security workers emotionally accept the potential factors of organizational conflict, the higher the intention of job change of information security practitioner. On the other hand, the perception mechanism has a moderating effect of lowering the job change-out probabi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hat the manager of the organization will be able to utilize the conflict in the organizational direction.

정보시스템 아웃소싱 위험요인 평가 프로토타입의 개발: 비영리 조직을 중심으로

  • 김창수;백명기;한영춘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4.05a
    • /
    • pp.150-171
    • /
    • 2004
  • 오늘날과 잘은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기업의 경쟁우위와 비영리조직의 서비스 증대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기업은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비용절감은 물론, 생산성 향상, 경쟁력 강화, 조직 혁신을 도모하였으며, 정부기관이 주도하는 비영리조직은 일반 행정 분야를 비롯한 민원인을 위한 공공서비스의 분야에 이르기까지 공정하고 투명한 서비스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까지 기업의 정보시스템 아웃소싱 위험요인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비영리조직의 정보시스템 아웃소싱 도입단계별 위험요인에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영리조직의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기 위하여 비영리조직의 특수성을 고려한 아웃소싱 도입단계별 위험요인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Information Security Departmentalization Model (정보보호 전담조직 편성모델에 관한 연구)

  • Kang, Hyunsik;Kim, Jungduk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0 no.2
    • /
    • pp.167-174
    • /
    • 2015
  • Information security organization has normally been organized under the IT department. However, as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ecurity has gradually increased, the way of information security organized for 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has become a noteworthy issue. The need for separation of Information security organization from IT department is growing, such as restriction on the concurrent positions in CIO and CISO. Nowadays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Information security organization while relatively there has been minimal research regarding a departmentalization.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proposes a Information Security Departmentalization Model which is based on business risk and reliance on the IT for effectively organizing Information security organization, using Contingency theory. In addition, this study classified the position of Information security organization into Planning & Coordination, Internal Control, Management and IT and analyz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case.

전자적 파트너쉽(Electronic Partnerships)에서의 협력, 갈등, 성과간의 관계

  • 김재전;이석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8.10a
    • /
    • pp.261-274
    • /
    • 1998
  • 최근 EDI, EC, CALS 등과 같은 조직간 정보시스템을 가반으로 한 전자적 파트너십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조직간 정보시스템의 도입은 거래비용절감뿐만 아니라 거래 파트너와의 관계 개선 및 협력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조직간 정보시스템의 한 유형인 전자자료교환의 도입과 성과에 대한 사례연구 및 실증연구들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조직간 정보시스템이 조직간 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이 주제에 대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도출하였다. 향후에 모형을 더욱 정치화 시켜 경험적 자료를 토대로 검증하고자한다.

A Study on the Effective Factors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up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University Libraries (대학도서관의 조직구조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김명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8.08a
    • /
    • pp.133-136
    • /
    • 1998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효율적인 조직구조의 형성방안을 위하여 대학 도서관 조직구조의 상황변수, 기본변수, 구조형태 및 조직유효성 간에 상호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 것으로서 이론적인 배경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계한 후에 실증적인 검증을 시도하였다. 이 검증을 위하여 상황변수는 환경, 기술, 규모, 전략유형, 권력유형을 채택하고, 기본변수는 복잡화, 공식화, 집권화를 채택하였으며, 구조형태는 단순조직, 기능별조직, 분관조직, 주제별조직(I)(II)로 구분하였고, 조직유효성 변수는 능률성, 유연성, 정보자료관리 및 만족성을 채택하였으며, 만족성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으로 세분하였다. 연구결과 조직구조의 상황변수, 기본변수 및 구조형태는 상호간에 영향을 주며, 궁극적으로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주지만 그 내용은 극히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모든 측면에서 조직유효성이 높은 조직은 없고,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형태는 극히 미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The Effect of Information Security Related Stress and Person-Organization Fit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정보보안 관련 스트레스와 개인조직 적합성이 정보보안 지식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

  • Hwang, In-H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2
    • /
    • pp.247-258
    • /
    • 2021
  • Recently, organizations are demanding strict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from their employees. Strict information security policies and techniques can cause information security related st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negative effects of information security related techno stress and role stress that reduce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person-organization fit. The survey was conducted to people working in organizations with information security policies and system,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309 samples. As a result of the study, person-organization fit had a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but role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And, techno-stress negatively affected the person-organization fit. Additionally, role ambiguity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person-organization fit and knowledge sharing behavior.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to confirm the negative effects of information security related techno stress and role stres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minimizing negative behavior of insiders.